석창포

 익생양술에서 "석창포"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동의보감에서 "석창포(石菖蒲)/석창포"로 처방에 사용됨
분포 남부 지방 채취기간 가을
30~50cm 취급요령 줄기ㆍ잎ㆍ수염뿌리를 제거한 후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냇가 등의 물가 성미 따뜻하며, 맵다.
분류 상록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분근 1회사용량 2~5g
약효 뿌리줄기 사용범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뿌리줄기 끝에서 뭉쳐나는데 마치 대검(大劍)처럼 생겼다. 잎몸은 길이 30~50cm, 나비 2~8mm의 선형으로서 중맥이 없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끝이 뾰족하다. 바깥쪽 잎의 밑 부분이 안쪽 잎의 밑 부분을 감싸고 엇갈리며 2줄로 배열한다.
6~7월에 황록색으로 피는데 잎처럼 생긴 길이 10~30cm, 나비 3~5mm의 꽃줄기 옆에 수상 꽃차례를 이루며 많은 꽃이 다닥다닥 달린다. 꽃줄기는 삼각형에 가까우며 꽃이삭의 길이는 5~10cm이다. 꽃덮이 조각은 6개이다.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으며 암술머리는 공 모양이다. 씨방은 상위이고 6각형이다.
열매
8~9월에 달걀 모양의 둥근 삭과가 녹색으로 달려 익는데 밑 부분에 꽃덮이 조각이 남아 있다. 씨는 긴 타원형이고 밑 부분에 털이 많다.
특징 및 사용
석장포ㆍ석향포ㆍ애기석창포ㆍ바위석창포라고도 한다. 또한 물 속에서 자라는 잎의 모양이 검을 닮아서 수검(水劍)이라 부르기다 한다.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으며 많은 마디의 밑에서 수염뿌리가 나오는데 땅 속으로 들어간 뿌리줄기는 마디 사이가 길고 흰색이지만 땅 위로 나온 뿌리줄기는 마디 사이가 짧고 녹색이 돈다. 관상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뿌리줄기를 석창포라 하며 약재로 사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소화 기능에 효험이 있으며, 피부병증을 다스린다.
석창포(石菖蒲) / 석창포
라틴명 Acori Graminei Rhizoma
약재의 효능 개심공(開心孔)  (심공(心孔)을 열어주는 효능임)
이구규(利九竅)  (구규(九竅)가 막힌 것을 뚫는 효능임)
보오장(補五臟)  (오장(五臟)을 보하는 효능임)
난장위(暖腸胃)  (장위(腸胃)를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명이목(明耳目)  (눈과 귀를 밝게 하는 효능임)
발성음(發聲音)  (목소리를 회복시키는 효능임)
거습(祛濕)  (약재를 이용하여 습사(濕邪)를 없애는 것임)
제풍(除風)  (풍(風)의 기운을 제거하는 효능임)
축담(逐痰)  (담을 제거하는 효능임)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벽악(辟惡)  (몸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악기(惡氣)를 몰아내는 효능임)
소종(消腫)  (옹저(癰疽)나 상처가 부은 것을 가라앉히는 치료법임)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열비(悅脾)
산적(散積)  (적체된 것을 해소하는 효능임)
분청화탁(分淸化濁)  (소장(小腸)에서 소변(小便)과 대변(大便)의 생성과정이 잘 일어나도록 돕는 효능임)
선신익지(醒神益智)
경신(輕身)  (몸을 가볍게 하는 효능임)
연년(延年)
작용부위 심(心) , 위(胃)
성미 미온(微溫) , 신고(辛苦)
약전기재 한국생약규격집
독성 Not to be used pregnancy 1).
1) AHPA Safety & Labeling Guideliness SubCommittee;Michael McGuffin, Chair; Christopher Hobbs, L.Ac; and Roy Upton.
약재사용처방 가감고본환(加減固本丸) /  노인혼모(老人昏冒)
가감보심탕(加減補心湯) /  건망(健忘)
가감하수오산(加減何首烏散) /  역양풍(癧瘍風)개선(疥癬)자백전풍(紫白癜風)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1] /  유정(遺精)
가미정지환(加味定志丸) /  정충(怔忡)경계(驚悸)
가미청심음(加味淸心飮) /  소변적탁(小便赤濁)
개심산(開心散) /  건망(健忘)
공자대성침중방(孔子大聖枕中方) /  건망(健忘)
구선영응산(九仙靈應散) /  음위(陰痿)
궁귀음(芎歸飮) /  이명(耳鳴)풍롱(風聾)
궁지산(芎芷散) /  이명(耳鳴)풍롱(風聾)
극통산(튽痛散) /  냉심통(冷心痛)
난궁종사환(煖宮螽斯丸) /  무사(無嗣)
대오보환(大五補丸) /  심허(心虛)
목향유기음(木香流氣飮) /  기통(氣痛)종창(腫脹)
묘응환(妙應丸)[2] /  적백탁(赤白濁)
벽사단(辟邪丹)[2] /  사수(邪祟)
보심환(補心丸) /  심허수전(心虛手戰)
복신탕(茯神湯)[2] /  부인귀교(婦人鬼交)언어섬란(言語譫亂)
복신황기탕(茯神黃芪湯) /  과거독음치병(寡居獨陰致病)
부종통치일방(浮腫通治一方) /  음종(陰腫)
비해분청음(萆薢分淸飮) /  소변백탁(小便白濁)
사신탕(瀉腎湯) /  임(淋)
삼령백출환(蔘苓白朮丸) /  병후허약(病後虛弱)
삼령원(蔘苓元) /  식역증(食㑊症)
상표소산(桑螵蛸散)[1] /  소변백탁(小便白濁)
색이단(塞耳丹) /  농외(聾聵)
서각음자(犀角飮子) /  이롱(耳聾)농이(膿耳)
석창포(石菖蒲)[1] /  건망(健忘)전간(癲癎)
석창포(石菖蒲)[4] /  복장충(腹藏蟲)
석창포(石菖蒲)[5] /  비사입목(飛絲入目)
섭생음(攝生飮) /  졸중풍(卒中風)
성산자(聖散子) /  습온(濕溫)풍온(風溫)역려(疫癘)
성심산(醒心散) /  심허열(心虛熱)
수화분청음(水火分淸飮) /  적백탁(赤白濁)
신선기제단(神仙旣濟丹) /  칠상(七傷)오로(五勞)
양영탕(養榮湯) /  수족불인(手足不仁)불어(不語)풍중혈맥(風中血脈)
여의단(如意丹) /  귀수(鬼祟)전광(癲狂)노채(勞瘵)온역(瘟疫)
연령고본단(延齡固本丹) /  수발조백(鬚髮早白)중년양사불거(中年陽事不擧)
영지원(寧志元) /  경계(驚悸)
영지화담탕(寧志化痰湯) /  전광(癲狂)
오사고삼원(烏蛇苦蔘元) /  대풍창(大風瘡)
이삼단(二蔘丹) /  중풍(中風)건망(健忘)
익신산(益腎散) /  신허이롱(腎虛耳聾)
인삼평보탕(人蔘平補湯) /  신허(腎虛)
자석양신환(磁石羊腎丸) /  이롱(耳聾)
자음대보환(滋陰大補丸) /  음양구허(陰陽俱虛)
자음지황탕(滋陰地黃湯) /  이롱(耳聾)
장원환(壯元丸) /  건망(健忘)정충(怔忡)
장천사초환단(張天師草還丹) /  수발황락(鬚髮黃落)
전설고(轉舌膏) /  중풍불어(中風不語)
정백환(定魄丸) /  경간(驚癎)
정신단(靜神丹) /  경계(驚悸)
정심원(定心元) /  노육반정(努肉攀睛)
정지환(定志丸) /  심허(心虛)건망(健忘)
조원산(調元散) /  행지(行遲)
주자독서환(朱子讀書丸) /  건망(健忘)
지황음자(地黃飮子) /  중풍설음(中風舌瘖)
진사영지환(辰砂寧志丸) /  전광(癲狂)경계(驚悸)
창포환(菖蒲丸) /  어지(語遲)
척담탕(滌痰湯) /  중풍(中風)담미심규(痰迷心竅)
천금연수단(千金延壽丹) /  허로(虛勞)
천왕보심단(天王補心丹) /  경계(驚悸)정충(怔忡)
천화산(天花散)[3] /  두후실음(痘後失音)
청신산(淸神散) /  이중청(耳重聽)
청신해어탕(淸神解語湯) /  어삽(語澁)중풍(中風)
청심온담탕(淸心溫膽湯) /  전간(癲癎)
총명탕(聰明湯) /  건망(健忘)
축보환(丑寶丸) /  전간(癲癎)정충(怔忡)
칠진산(七珍散)[2] /  산후불어(産後不語)
태무신출산(太無神朮散) /  장역(瘴疫)사시온역(四時瘟疫)
투이통(透耳筒) /  이명(耳鳴)졸롱(卒聾)
팔물정지원(八物定志元) /  경계(驚悸)
팔진산(八珍散)[2] /  산후불어(産後不語)
해어환(解語丸) /  중풍(中風)어삽(語澁)
행인전(杏仁煎) /  실음(失音)
형소탕(荊蘇湯) /  풍한졸아(風寒卒牙)
호마산(胡麻散) /  자백전풍(紫白癜風)은진(癮疹)창개(瘡疥)
화제추도산(和劑抽刀散) /  한적복통(寒積腹痛)
환기산(換肌散) /  대풍창(大風瘡)
환소단(還少丹) /  음위(陰痿)
후박환(厚朴丸) /  중초토식(中焦吐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