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자나무

 익생양술에서 "오미자나무"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동의보감에서 "오미자(五味子)/오미자나무 열매"로 처방에 사용됨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10~11월
6~8m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산기슭의 돌 많은 비탈 성미 따뜻하며, 시고 맵고 쓰고 달고 떫다.
분류 낙엽 활엽 덩굴나무 독성여부 없다.
번식 1회사용량 열매 5~7g
약효 열매 사용범위 오래 써도 무방하다.
어긋나는데 길이 7~10cm, 나비 3~5cm의 타원형, 긴 타원형 또는 달걀꼴로서 막질이며 가장자리에 이빨 모양의 톱니가 있고 끝이 뾰족하다. 뒷면의 맥 위에 털이 있다. 잎자루는 대개 붉은빛이 돈다.
6~7월에 약간 붉은빛이 도는 황백색의 꽃이 긴 꽃자루에 달려 피는데 향기가 좋다. 암수딴그루의 단성화이다. 꽃덮이는 6~9개로 갈라진다. 수꽃에는 5개의 수술이, 암꽃에는 여러 개의 암술이 있다. 꽃이 핀 다음에 암꽃의 꽃턱은 길이 3~5cm로 자라며 열매가 이삭 모양으로 달린다.
열매
8~9월에 길이 6~12mm의 동그란 장과가 잎겨드랑이에 달려 붉은색으로 익는데 마치 빨간 포도송이 같다. 열매 속에 1~2개의 씨가 들어 있다.
특징 및 사용
이름을 줄여서 오미자라고도 한다. 갈색의 줄기가 구불구불 길게 뻗어 자라면서 다른 나무를 기어오른다. 어린가지는 갈색, 큰 가지는 회갈색이다. 잎의 뒷면에 처음부터 털이 없는 유사종을 개오미자라고 한다. 또한 남오미자나무는 남쪽 지방에서만 자라는 늘푸른나무인 점이 다르다. 흑오미자는 열매가 검고 자르면 솔 냄새가 나는데 제주도에서 자란다. 생약인 오미자는 열매를 말린 것이다. 서리가 내린 뒤에 완전히 익은 열매를 따서 햇볕에 말려 사용한다. 열매에 신맛ㆍ단맛ㆍ쓴맛ㆍ짠맛ㆍ매운맛의 다섯 가지가 섞여 있어 오미자라 하는데 그중에서 신맛이 가장 강하다. 관상용ㆍ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으며 열매로는 화채를 만들어 먹는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약재를 취급할 때 철로 된 도구를 쓰지 않는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비뇨기ㆍ순환계ㆍ호흡기 질환을 다스리며, 건강 생활에 많이 이용된다.
오미자(五味子) / 오미자나무 열매
라틴명 Schisandrae Fructus
약재의 효능 익기(益氣)
수렴고삽(收斂固澁)  (수삽(收澁)하는 약물로써 기혈진액이 밖으로 과도하게 배출되는 것을 막는 효능임)
진양( 鎭陽)  (병이 가라앉기를 비는 것임.)
익정(益精)  (정기(精氣)를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생진(生津)  (진액을 자양하는 약물을 사용하여 고열 등의 원인으로 인한 진액 손상을 치료하는 방법.)
지갈(止渴)  (갈증을 그치게하는 효능임)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보신영심(補腎寧心)
염한(斂汗)  (표(表)가 허(虛)해서 저절로 땀이 나고 식은 땀이 나는 것을 약으로 수렴(收斂)시키는 방법임.)
거풍(祛風)  (안과 밖, 경락(經絡)및 장부(臟腑) 사이에 머물러 있는 풍사(風邪)를 제거하는 것임)
영수(寧嗽)  (음허(陰虛)로 급하게 숨을 헐떡이는 증상임.)
정천(定喘)
지구(止嘔)  (구역(嘔逆)을 멈추게 하는 효능임)
난수장(暖水臟)
안심신(安心神)  (심신(心神)을 안정시키는 효능임)
견근골(堅筋骨)  (근육과 뼈를 견고하게 하는 효능임)
해주독(解酒毒)  (술을 과하게 마셔 그 후유증으로 생긴 독(毒)을 풀어주는 효능임)
작용부위 신(腎) , 심(心) , 폐(肺)
성미 산감(酸疳) , 온(溫)
약전기재 대한약전 , 일본약국방 , 중국약전
주의사항 폐가실열자(肺家實熱者)는 복용하지 말 것.
독성 Doses up to 5 g/kg do not produce mortality in mice.1). Herb causes allergic reaction 2). Urticaria like dermatitis medicamentosa 3).
1) Huang, K.C., The pharmacology of Chinese herbs II, CRC press, 1999.
2) Chang H.M. et al., Advances in chinese medicinal research, world scientific pub. Co., Singapore, 117, 1984.
3) Chang H.M. et al., Advances in chinese medicinal research, world scientific pub. Co., Singapore, 120, 1984.
약재사용처방 가감백출산(加減白朮散) /  소갈전변증(消渴傳變證)
가감백호탕(加減白虎湯) /  소갈전변증(消渴傳變證)
가감사백산(加減瀉白散)[1] /  폐열후성(肺熱喉腥)
가감사백산(加減瀉白散)[2] /  천촉(喘促)화천(火喘)해수(咳嗽)
가감삼기탕(加減三奇湯) /  담천(痰喘)
가감신기환(加減腎氣丸) /  신소(腎消)
가감주경원(加減駐景元) /  내장(內障)
가감진심단(加減鎭心丹) /  탈영실정(脫營失精)
가감팔미원(加減八味元) /  소갈전변증(消渴傳變證)
가감팔미환(加減八味丸) /  신수부족(腎水不足)
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5] /  양각위연(兩脚痿軟)
가미삼요탕(加味三拗湯) /  한천(寒喘)
가미생맥산(加味生脈散) /  화천(火喘)
가미십전탕(加味十全湯) /  옹저(癰疽)
가미온담탕(加味溫膽湯)[2] /  허번불수(虛煩不睡)심허담겁(心虛膽怯)
가미이중탕(加味理中湯)[2] /  폐한(肺寒)위해(胃咳)
가미인삼자완산(加味人蔘紫菀散) /  노수(勞嗽)
가미전씨백출산(加味錢氏白朮散) /  불능식(不能食)소갈(消渴)
가미호잠환(加味虎潛丸) /  음양구허(陰陽俱虛)
감리기제환(坎離旣濟丸) /  음허화동(陰虛火動)노손(勞損)
강심탕(降心湯) /  격소(膈消)
겁로산(劫勞散) /  노수(勞嗽)폐위(肺痿)
계명환(鷄鳴丸)[1] /  천촉(喘促)해수(咳嗽)
고본건양단(固本健陽丹) /  신허불임(腎虛不姙)
고본환정환(固本還睛丸) /  예막차정(藝膜遮睛)난현풍(爛弦風)
고진음자(固眞飮子) /  오심번열(五心煩熱)음양구허(陰陽俱虛)
공청원(空靑元) /  침예(沈翳)
구선산(九仙散) /  구수(久嗽)
구원심신환(究原心腎丸) /  정충(怔忡)유정(遺精)적탁(赤濁)허로(虛勞)
궁귀보중단(芎歸補中湯) /  태루(胎漏)소관반산(素慣半産)
귤소산(橘蘇散) /  한수(寒嗽)신열유한(身熱有汗)
금화선방(噙化仙方) /  폐위(肺痿)해역상기(咳逆上氣)
기제환(旣濟丸)[1] /  소변불금(小便不禁)방광허한(膀胱虛寒)
기제환(旣濟丸)[2] /  포기불고(胞氣不固)소변불금(小便不禁)
녹용대보탕(鹿茸大補湯) /  허손(虛損)양허(陽虛)
녹용사근환(鹿茸四斤丸) /  신연(身軟)근골위약(筋骨痿弱)
녹용환(鹿茸丸) /  신허(腎虛)소갈(消渴)
단삼음자(團蔘飮子) /  폐위(肺痿)기수(氣嗽)노채(勞瘵)
당귀고(當歸膏) /  오로(五勞)허손(虛損)칠상(七傷)
대아교원(大阿膠元) /  타혈(唾血)노수(勞嗽)토혈(吐血)
대영수탕(大寧嗽湯) /  노수(勞嗽)
대조환(大造丸) /  기혈구허위(氣血俱虛痿)
대토사자원(大兎絲子元) /  소변불금(小便不禁)포기불고(胞氣不固)
도씨익원탕(陶氏益元湯) /  상한대양(傷寒戴陽)
독활탕(獨活湯)[1] /  허번불수(虛煩不睡)
마두령산(馬兜鈴散) /  자수(子嗽)
마황계지탕(麻黃桂枝湯)[1] /  토혈(吐血)상한육혈(傷寒衄血)
마황창출탕(麻黃蒼朮湯) /  야수(夜嗽)
만청자환(蔓靑子丸) /  안목혼암(眼目昏暗)
맥문동음자(麥門冬飮子) /  격소(膈消)
명목장수환(明目壯水丸) /  간신구허내장(肝腎俱虛內障)안화(眼花)
무비산약원(無比山藥元)[1] /  신허(腎虛)
무비산약원(無比山藥元)[2] /  칠상(七傷)오로(五勞)허로(虛勞)
문동음자(門冬飮子) /  소갈(消渴)
문동청폐음(門冬淸肺飮) /  폐위(肺痿)
백출안위단(白朮安胃丹) /  설리(泄痢)농혈리(膿血痢)
백출탕(白朮湯)[2] /  습수(濕嗽)
보수고(補髓膏) /  허로(虛勞)
보신양비환(補腎養脾丸) /  허로(虛勞)
보신환(補腎丸)[2] /  안목혼암(眼目昏暗)내장(內障)
보음환(補陰丸)[1] /  음허화동(陰虛火動)
보음환(補陰丸)[2] /  몽설(夢泄)도한(盜汗)조열(潮熱)객혈(喀血)음허화동(陰虛火動)
보익양영탕(補益養榮湯) /  오로(五勞)기혈양허(氣血兩虛)칠상(七傷)
보진탕(保眞湯) /  골증(骨蒸)조열(潮熱)유정(遺精)
보진환(補眞丸) /  명문화쇠(命門火衰)불사식(不思食)
보천대조환(補天大造丸) /  허로(虛勞)방로상(房勞傷)
보천환(補天丸)[2] /  음허(陰虛)
보폐탕(補肺湯) /  노수(勞嗽)
보화탕(保和湯) /  폐위(肺痿)노수(勞嗽)허로(虛勞)
복령오미자탕(茯苓五味子湯) /  수족냉비(手足冷痺)지음(支飮)
복신탕(茯神湯)[1] /  육맥허약(六脈虛弱)
복신황기탕(茯神黃芪湯) /  과거독음치병(寡居獨陰致病)
본사방양간원(本事方羊肝元) /  내장(內障)청맹(靑盲)
부화탕(敷和湯) /  도현(掉眩)이명(耳鳴)온려(瘟癘)황달(黃疸)
비정원(秘精元) /  소변백탁(小便白濁)
사신환(四神丸)[2] /  신설(腎泄)
사양보음탕(瀉陽補陰湯) /  음허화동(陰虛火動)
사제창백환(四製蒼柏丸) /  각슬위약(脚膝痿弱)
삼귀익원탕(蔘歸益元湯) /  주하(疰夏)
삼기건중탕(蔘芪健中湯) /  양허(陽虛)소기(少氣)
삼기보폐탕(蔘芪補肺湯) /  폐옹(肺癰)
삼소온폐탕(蔘蘇溫肺湯) /  한천(寒喘)
삼유음(蔘薷飮) /  곽란(霍亂)상서(傷暑)
삼일신기환(三一腎氣丸) /  신허(腎虛)
삼출건비환(蔘朮健脾丸) /  구설(久泄)
삼출보비탕(蔘朮補脾湯) /  폐옹(肺癰)
삼출조중탕(蔘朮調中湯) /  열수(熱嗽)
삼호삼백탕(蔘胡三白湯) /  곽란번갈(霍亂煩渴)
상단(上丹) /  음위(陰痿)
생맥산(生脈散) /  중갈(中暍)
생혈윤부음(生血潤膚飮) /  조증(燥證)
서각산(犀角散) /  추정안(墜睛眼)
서련환(瑞蓮丸)[2] /  허로(虛勞)
선복화탕(旋覆花湯) /  산후천급(産後喘急)
성심산(醒心散) /  심허열(心虛熱)
세폐산(洗肺散)[1] /  비창(鼻瘡)
세폐산(洗肺散)[2] /  열수(熱嗽)
소청룡탕(小靑龍湯) /  상한표증(傷寒表證)
수유내소원(茱萸內消元) /  음란편추(陰卵偏墜)
신귀자음환(神龜滋陰丸) /  각슬위약(脚膝痿弱)
신기환(腎氣丸) /  신허(腎虛)
신력탕(腎瀝湯) /  신장풍(腎臟風)
신선거승자원(神仙巨勝子元) /  허로(虛勞)
신선기제단(神仙旣濟丹) /  칠상(七傷)오로(五勞)
양기석원(陽起石元) /  정랭무자(精冷無子)
양심탕(養心湯) /  소수(少睡)경계(驚悸)
양혈장근건보환(養血壯筋健步丸) /  양각위연(兩脚痿軟)
연령고본단(延齡固本丹) /  중년양사불거(中年陽事不擧)수발조백(鬚髮早白)
연백익음환(連柏益陰丸) /  예막(翳膜)
영폐탕(寧肺湯) /  음허천급(陰虛喘急)
오미자(五味子)[1] /  정활(精滑)
오미자(五味子)[5] /  허로이수(虛勞羸瘦)
오미자(五味子)[6] /  폐허해수(肺虛咳嗽)
오미자(五味子)[7] /  소갈(消渴)
오미자산(五味子散) /  신설(腎泄)
오미자탕(五味子湯)[1] /  청궐(淸厥)족위(足痿)
오미자탕(五味子湯)[2] /  상한천촉(傷寒喘促)
오미자탕(五味子湯)[3] /  한천(寒喘)
오미자탕(五味子湯)[4] /  옹저번갈(癰疽煩渴)
오약평기탕(烏藥平氣湯) /  각기위증(脚氣危證)
오자연종환(五子衍宗丸) /  무사(無嗣)
오즙옥천환(五汁玉泉丸) /  소갈(消渴)
옥천산(玉泉散) /  소갈(消渴)
온신산(溫腎散) /  요척통(腰脊痛)명문화쇠(命門火衰)
온폐탕(溫肺湯)[2] /  한수(寒嗽)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1] /  구고(口苦)
육종용환(肉蓯蓉丸) /  백음(白淫)
윤신환(潤腎丸) /  비신구허(脾腎俱虛)
윤폐제수음(潤肺除嗽飮) /  구수(久嗽)
윤폐환(潤肺丸)[1] /  성시(聲嘶)
응신음자(凝神飮子) /  노채(勞瘵)
이감탕(二甘湯) /  자한(自汗)
이모영수탕(二母寧嗽湯) /  식적수(食積嗽)
이지환(二至丸) /  음양구허(陰陽俱虛)
익기환(益氣丸) /  소기(少氣)
익수고진단(益壽固眞丹) /  허로(虛勞)
익음신기환(益陰腎氣丸) /  신허내장(腎虛內障)
인삼관화고(人蔘款花膏) /  한수(寒嗽)
인삼궁귀탕(人蔘芎歸湯)[1] /  노수(勞嗽)
인삼백합탕(人蔘百合湯) /  혈수(血嗽)
인삼산(人蔘散)[3] /  담수(痰嗽)
인삼양영탕(人蔘養榮湯) /  음양구허(陰陽俱虛)
인삼양폐탕(人蔘養肺湯) /  폐위(肺痿)
인삼오미자산(人蔘五味子散) /  음허천급(陰虛喘急)
인삼음(人蔘飮) /  내상발열(內傷發熱)
인삼음자(人蔘飮子) /  천행해수(天行咳嗽)
인삼익기탕(人蔘益氣湯) /  마목(麻木)
인삼자완탕(人蔘紫菀湯) /  구천(久喘)
인삼정천탕(人蔘定喘湯) /  풍한천(風寒喘)
인삼청진환(人蔘淸鎭丸) /  화수(火嗽)
인삼청폐산(人蔘淸肺散) /  담수(痰嗽)실음(失音)
인삼평보탕(人蔘平補湯) /  신허(腎虛)
인삼평폐산(人蔘平肺散) /  폐위(肺痿)
인숙산(仁熟散) /  담허(膽虛)
자보양영환(滋補養榮丸) /  간허(肝虛)
자소반하탕(紫蘇半夏湯) /  담천(痰喘)
자소음자(紫蘇飮子) /  한수(寒嗽)
자완산(紫菀散) /  폐위(肺痿)
자음대보환(滋陰大補丸) /  음양구허(陰陽俱虛)
자음양영탕(滋陰養榮湯) /  소갈(消渴)
자음지황환(滋陰地黃丸)[1] /  목혼(目昏)혈소신로(血少神勞)신허(腎虛)
자음청화고(滋陰淸化膏) /  화수(火嗽)
자혈양근탕(滋血養筋湯) /  족위(足痿)
정기보허탕(正氣補虛湯) /  양허(陽虛)
정천탕(定喘湯)[1] /  폐허구천(肺虛久喘)
정천화담탕(定喘化痰湯) /  담천(痰喘)
정폐탕(定肺湯) /  기천(氣喘)
조위탕(調衛湯) /  자한(自汗)
증익귀용원(增益歸茸元) /  신허(腎虛)
지모복령탕(知母茯苓湯) /  폐위(肺痿)
지황음자(地黃飮子) /  중풍설음(中風舌瘖)
차비거홍방(搽鼻去紅方) /  비사(鼻齄)
천금연수단(千金延壽丹) /  허로(虛勞)
천문동음(天門冬飮) /  자수(子嗽)
천문동음자(天門冬飮子) /  녹로전관(轆轤轉關)
천왕보심단(天王補心丹) /  정충(怔忡)경계(驚悸)
천화산(天花散)[1] /  소갈(消渴)
청금강화단(淸金降火丹) /  상초열(上焦熱)
청금음(淸金飮) /  해수(咳嗽)
청금탕(淸金湯) /  기천(氣喘)
청룡산(靑龍散) /  기수(氣嗽)
청서익기탕(淸暑益氣湯) /  중갈(中暍)
청신감로환(淸神甘露丸) /  허로이수(虛勞羸瘦)
청신익기탕(淸神益氣湯) /  비위구허(脾胃俱虛)
청심보혈탕(淸心補血湯) /  경계(驚悸)
청조탕(淸燥湯) /  양각위연(兩脚痿軟)탄탄(癱瘓)
청폐생맥음(淸肺生脈飮) /  서열번갈(暑熱煩渴)
청폐자음산(淸肺滋陰散) /  후옹(喉癰)음허화동(陰虛火動)
청폐탕(淸肺湯)[2] /  담수(痰嗽)구수(久嗽)
청혼탕(淸魂湯) /  음위(陰痿)음랭(陰冷)
충화양위탕(沖和養胃湯) /  내장(內障)
탁리복령탕(托裏茯苓湯) /  옹저(癰疽)
탁리황기탕(托裏黃芪湯)[1] /  옹저(癰疽)
통치성음약일방(通治聲音藥一方) /  건해(乾咳)건수(乾嗽)성아(聲啞)
파극환(巴戟丸)[1] /  탈정(脫精)
파극환(巴戟丸)[2] /  포비(胞痺)
팔미관동화산(八味款冬花散) /  한수(寒嗽)
패모산(貝母散)[1] /  화수(火嗽)
패모탕(貝母湯) /  구수(久嗽)
평보진심단(平補鎭心丹) /  백탁(白濁)유정(遺精)경계(驚悸)
평폐산(平肺散) /  담천(痰喘)
행소음(杏蘇飮) /  기천(氣喘)
행소탕(杏蘇湯) /  한수(寒嗽)
행인전(杏仁煎) /  실음(失音)
행자탕(杏子湯) /  한수(寒嗽)
현토고본환(玄菟固本丸)[2] /  신허(腎虛)
현토단(玄菟丹) /  소갈(消渴)
환골단(換骨丹) /  중풍(中風)탄탄(癱瘓)
환소단(還少丹) /  음위(陰痿)
환정환(還睛丸)[2] /  안화(眼花)
환정환(還睛丸)[3] /  안병(眼病)
활혈윤조생진음(活血潤燥生津飮) /  소갈(消渴)
황기십보탕(黃芪十補湯) /  음양구허(陰陽俱虛)
황기익손탕(黃耆益損湯) /  허로(虛勞)
황기인삼탕(黃芪人蔘湯) /  중갈(中暍)
황기탕(黃芪湯)[1] /  소기(少氣)
황기탕(黃芪湯)[2] /  자한(自汗)도한(盜汗)
황기탕(黃芪湯)[5] /  소갈(消渴)
황련지황탕(黃連地黃湯) /  삼소(三消)
회양구급탕(回陽救急湯) /  상한음증(傷寒陰證)
회양반본탕(回陽返本湯) /  음성격양(陰盛格陽)
후박전(厚朴煎) /  변혈(便血)하혈(下血)
흑지황환(黑地黃丸) /  치(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