옻나무

 익생양술에서 "옻나무"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동의보감에서 "건칠(乾漆)/옻나무 진"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생칠(生漆)/옻나무 진"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청칠(淸漆)/옻나무"로 처방에 사용됨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연중
12~20m 취급요령 생옻 또는 포칠(苞漆)을 내어 쓴다.
생지 산기슭, 마을 부근, 논밭둑에 식재 성미 따뜻하며, 맵다.
분류 낙엽 활엽 교목 독성여부 있다.
번식 분주ㆍ꺾꽂이ㆍ씨 1회사용량 2∼3g
약효 나무껍질 사용범위 옻을 타는 사람은 접촉이나 복용을 금한다.
동속약초 붉나무의 나무껍질
어긋나고 9~11개의 작은 잎으로 구성된 홀수 1회 깃꼴겹잎이며 가지 끝에 모여 달린다. 잎자루가 포함된 길이는 25~40cm이다. 작은 잎은 길이 7~20cm의 달걀꼴 또는 타원 모양의 달걀꼴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은 다소 둥글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앞면에는 털이 약간 있으나 뒷면에는 많다.
5~6월에 연한 녹황색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원추 꽃차례를 이루며 달려 피는데 길이 15~25cm의 긴 꽃이삭이 밑으로 늘어진다. 암수딴그루의 단성화 또는 잡성화이다. 수꽃과 암꽃 모두 꽃잎과 꽃받침 조각이 각각 5개씩이다. 수꽃에는 5개의 수술과 퇴화한 암술이 있다. 암꽃에는 암술대가 3개로 갈라진 암술 1개와 퇴화한 수술 5개가 있다.
열매
10월에 지름 6~8mm의 동글납작한 핵과가 달려 연한 황색으로 익는데 털이 없으며 광택이 있다.
특징 및 사용
칠목(漆木)이라고도 한다. 나무껍질은 회백색이고 껍질눈이 있으며 작은 가지는 회황색이다. 어릴 때는 가지에 털이 있다가 곧 없어진다. 잎을 칠엽(漆葉), 씨를 칠수자(漆樹子), 나무껍질을 칠수피(漆樹皮), 나무 중심부를 칠수심(漆樹心)이라 한다. 공업용ㆍ도료ㆍ식용ㆍ약용으로 널리 이용된다. 나무껍질에 상처를 내면 수액(진)이 분비되는데 이를 생옻이라 하며, 건조시켜 굳힌 것을 마른옻 즉 건칠(乾漆)이라 한다. 수액을 채취할 때 처음에는 무색 투명하지만 공기에 노출되면 산화 효소의 작용으로 검게 변하여 옻이 된다. 옻은 칠기 제조나 여러 가지 기구의 도료, 목제품의 점착제로 쓰인다. 또 약재로도 쓴다. 수액에는 우루시올이라는 유독 성분이 들어 있어 만지면 옻이 오르기 쉬우나 옻을 타는 사람은 10명 중 1명 정도이다. 옻을 만질 때는 손과 얼굴에 식물유ㆍ광물유의 기름을 바르고, 작업이 끝나면 따뜻한 비눗물로 깨끗이 씻는다. 어린잎은 식용할 수 있다. 약으로 쓸 때는 주로 옻닭으로 요리해서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계피ㆍ차조기를 금한다.
건칠(乾漆) / 옻나무 진
라틴명 Lacca Sinica Exsiccata
약재의 효능 파어(破瘀)  (어혈을 강하게 깨뜨려서 제거하는 효능임)
소적(消積)  (적취(積聚)를 제거하는 효능임)
속근골(續筋骨)  (뼈나 근육이 끊어진 것을 이어주는 효능임)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산어거체(散瘀去滯)
경신(輕身)  (몸을 가볍게 하는 효능임)
내로(耐老)  (늙는 것을 방지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비(脾)
성미 신(辛) , 온(溫) , 유독(有毒)
약전기재 한국생약규격집
주의사항 임산부, 신체허약자, 울혈(鬱血)이 없는 자는 쓸 수 없음.
약재사용처방 건칠(乾漆)[1] /  전시노채(傳尸勞瘵)삼충병(三蟲病)
건칠(乾漆)[2] /  혈심통(血心痛)구종심통(九種心痛)
관중환(貫衆丸) /  삼시충(三尸蟲)구충병(九蟲病)
교태환(交泰丸) /  조잡(嘈雜)
만병환(萬病丸) /  실녀월경불통(室女月經不通)
만응환(萬應丸)[2] /  적취(積聚)
만통환(萬痛丸) /  월폐(月閉)제복통(臍腹痛)
맥전산(麥煎散) /  골증(骨蒸)
무이산(蕪荑散)[1] /  회궐(蛔厥)
사초기각환(四炒枳殼丸) /  적취(積聚)창만(脹滿)
삼릉전원(三稜煎元)[2] /  육적(肉積)
삼릉화적환(三稜化積丸) /  적취(積聚)
생지황탕(生地黃湯)[1] /  축혈(畜血)
세탑탕(洗溻湯) /  음식창(陰蝕瘡)
소적보중환(消積保中丸) /  비괴(痞塊)
웅사환(雄砂丸) /  제충(諸蟲)
증미사물탕(增味四物湯)[1] /  혈가(血瘕)
증미사물탕(增味四物湯)[2] /  혈적(血積)
촌금정자(寸金錠子) /  치루(痔瘻)
치혈훈일방(治血暈一方)[1]>동의보감((東醫寶鑑) /  혈훈(血暈)
침사환(鍼砂丸) /  곡달(穀疸)주달(酒疸)
탈명단(奪命丹)[4] /  포의불하(胞衣不下)
통경환(通經丸) /  혈가(血瘕)실녀월경불통(室女月經不通)
향릉환(香稜丸) /  육취(六聚)오적(五積)
희로환(晞露丸) /  징가(癥瘕)장담(腸覃)
생칠(生漆) / 옻나무 진
라틴명 Rhois Crudus Resina
약재의 효능 거장충(去長蟲)  (장충(長蟲)을 제거하는 효능임)
파어혈(破瘀血)  (어혈(瘀血)을 없애는 작용이 비교적 강한 약으로 어혈을 없애는 방법임.)
작용부위 간(肝) , 비(脾)
성미 독렬(毒烈)
주의사항 어혈적체(瘀血積滯)가 없거나 허약한 자 및 옻을 타는 사람은 먹지 말 것.
약재사용처방 거삼시충일방(去三尸蟲一方) /  삼시충(三尸蟲)
칠웅환(漆雄丸) /  수고(水鼓)
청칠(淸漆) / 옻나무
라틴명 Rhois Crudus
약재의 효능 파어(破瘀)  (어혈을 강하게 깨뜨려서 제거하는 효능임)
소적(消積)  (적취(積聚)를 제거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비(脾)
성미 유독(有毒)
주의사항 독이 심하므로 신중하게 쓸 것. 어혈유체(瘀血有滯)가 없으면 먹지 말 것.
약재사용처방 거삼시충원(去三尸蟲元) /  삼시충(三尸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