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역(呃逆:딸꾹질)
의 익생양술 단방처방 처방목차
20 건
20 건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기가 허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열매꼭지 6개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감수, 대극, 술, 원화, 참기름, 찬물을 금한다.
열매꼭지 20개와 생강 덩이뿌리 10쪽을 2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두 번에 나누어 복용한다. 복용 중에 참기름, 참깨를 금한다.
백도라지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뽕나무, 산수유, 자란을 금한다.
뿌리줄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열매 4~5개와 설탕 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3~4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돼지고기를 금한다.
온포기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비위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가 장복하면 젖이 나오지 않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뿌리 생즙 80~10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공복에 먹는다. 복용 중에 맥문동, 지황(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을 금한다. 비위가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나무속껍질 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심한 경우 2일 정도 복용한다.
잎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3~4회 정도 복용한다. 진하게 달이면 마시기가 쉽지 않다.
덩이줄기 3~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또는 덩이줄기 생즙 3숟가락과 꿀 1숟가락을 1회분 기준으로 섞어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당귀, 박쥐 똥, 하눌타리, 현삼, 황련을 금한다.
온포기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남자가 20일 이상 장복하면 양기가 준다고 전해진다.
뿌리줄기 35~40g을 생즙을 내거나 열매송이 2개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지황(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을 금한다. 소변불리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씨 속알맹이 10~12g 또는 잔가지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회 정도, 심하면 3~4회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3~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정도 복용한다. 과다 복용이나 장복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온포기 또는 씨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정수고갈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열매를 2~3회 정도 양껏 먹는다.
쓸개(웅담) 0.5~1.0g을 1회분 기준으로 2~3회 정도 따뜻한 물로 복용한다. 간염, 결핵, 심장병, 종양, 허약 체질로 생긴 병증이나 고질병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6~7일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5~6일 복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