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독(腫毒)
의 익생양술 단방처방 처방목차
323 건
323 건
온포기를 생즙을 내거나 짓이겨서 1일 5~6회 2~3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로 환부를 자주 씻는다.
온포기를 진하게 달인 물로 1일 5~6회 2~3일 정도 환부를 씻는다.
온포기를 진하게 달인 물로 1일 5~6회 2~3일 정도 환부를 씻는다.
온포기를 진하게 달인 물을 1일 5~6회 2~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 또는 꽃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로 환부를 자주 씻는다. 남자가 20일 이상 장복하면 양기가 준다고 전해진다.
잎 15~20개를 달인 물로 환부를 자주 씻는다.
뿌리줄기 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로 환부를 자주 씻는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온포기를 진하게 달인 물로 환부를 씻거나 짓이겨서 환부에 붙인다.
온포기를 삶은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온포기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복용하면서 달인 물로 환부를 씻는다.
잎 또는 줄기를 달인 물을 1일 5~6회 2~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나무 또는 열매를 달인 물로 환부를 자주 씻는다.
온포기 또는 씨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 또는 뿌리를 진하게 달인 물을 1일 5~6회 2~3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잔가지를 달인 물을 1일 4~6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싹이 난 씨를 말려서 가루를 내어 환부에 뿌려준다.
온포기 또는 뿌리를 달인 물로 환부를 자주 씻는다.
씨 또는 잎을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온포기를 달인 물을 1일 2~3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바른다.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복용 중에 맨드라미를 금한다.
온포기를 달인 물을 1일 3~4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를 달인 물을 1일 4~5회 3~6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뿌리 7~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온포기를 생즙을 내거나 달인 물을 1일 5~6회 2~3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를 생즙을 내거나 달인 물을 1일 4~5회 3~5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를 진하게 달인 물을 1일 5~6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뿌리줄기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복용 중에 금불초를 금한다. 음기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장복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꽃을 달인 물을 1일 5~6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열매를 달인 물을 1일 5~6회 4~5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를 진하게 달인 물을 1일 5~6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덩이뿌리를 달인 물을 1일 5~6회 3~5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를 짓이기거나 가루를 내어 1일 4~5회 정도 나을 때까지 환부에 붙이거나 뿌린다.
온포기를 생즙을 내거나 달인 물을 1일 5~6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를 달인 물을 1일 5~6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 생즙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온포기 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하면서 생즙을 내어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 8~10g을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온포기를 짓이겨 붙이거나 달인 물을 1일 5~6회 나을 때까지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 또는 열매를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온포기 또는 열매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 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5~6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줄기 또는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인 물을 1일 2~3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를 달인 물을 1일 5~6회 3~5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나 꽃 또는 뿌리줄기를 달인 물을 5회 이상 환부에 바른다.
뿌리 또는 꽃을 달인 물을 1일 2~3회 2~3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잔가지 7~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를 달여서 1일 5~6회 3~5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잎이나 뿌리 5~6g 또는 열매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잎이나 뿌리를 달이거나 열매를 날것으로 4~5회 정도 복용한다. 과다 복용이나 장복을 금한다.
단삼
뿌리를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5~6회 정도 환부에 바르거나 뿌린다. 심하면 4~6일 정도 계속한다.
뿌리를 진하게 달여서 짓이겨 죽같이 반죽을 해서 1일 4~5회 3~4일 정도 환부에 얇게 바른다.
온포기를 짓이겨서 1일 3~4회 2~4일 정도 환부에 붙인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바른다.
뿌리줄기 0.5~1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바른다. 비위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독성이 강하므로 신중히 사용한다.
말린 열매를 진하게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말린 열매를 산제로 하여 물에 개어서 환부에 붙인다.
온포기 또는 뿌리를 짓찧어 환부에 붙인다.
잎 또는 씨를 진하게 달인 물을 환부에 바른다. 또는 잎이나 씨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생즙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나무껍질 또는 꽃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를 진하게 달인 물로 환부를 자주 씻는다.
뿌리 또는 온포기를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잎 또는 잔가지를 달인 물을 1일 5~6회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 생즙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온포기를 진하게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잔가지 또는 열매를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덩이뿌리를 진하게 달여서 짓이겨 죽같이 반죽을 해서 1일 3~5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 또는 뿌리를 달인 물을 1일 5~6회 2~3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나무줄기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뿌리를 진하게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잔가지 또는 뿌리 6~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2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로 1일 3~5회 환부를 씻는다.
온포기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를 진하게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열매를 진하게 달인 물을 1일 5~6회 2~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덩이뿌리 5~10g을 1회분 기준으로 생즙을 내어 10회 이상 공복에 복용한다.
비늘줄기 15~20쪽을 1회분 기준으로 구워서 5~6회 정도 공복에 먹는다. 또는 짓찧어 환부에 붙인다. 복용 중에 개고기, 맥문동, 백하수오를 금한다. 음기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잎 또는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발라준다.
온포기 또는 뿌리를 달인 물을 1일 5~6회 2~3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비늘줄기를 진하게 달여서 짓이겨 죽같이 반죽을 해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하면서 반죽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를 진하게 달인 물을 1일 5~6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를 생즙을 내거나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온포기를 짓이겨서 바르거나 달인 물로 1일 5~6회 3~4일 정도 환부에 온습포를 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줄기를 생즙을 내거나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온포기를 진하게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온포기를 진하게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온포기를 달인 물을 1일 5~6회 3~5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를 달인 물을 1일 5~6회 2~3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꽃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위가 약하거나 설사 증세가 있거나 열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잎 8~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씨를 달인 물을 1일 5~6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와 비늘줄기를 함께 짓찧어 환부에 바른다.
뿌리와 쑥을 같은 비율로 섞어 짓이겨서 1일 3~4회 2~3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잎 또는 줄기 생즙을 3~4회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를 짓이겨서 1일 5~6회 2~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를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온포기를 짓이겨서 1일 5~6회 2~3일 정도 환부에 붙인다.
온포기를 생즙을 내거나 달인 물을 1일 5~6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를 달인 물을 1일 5~6회 2~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뿌리를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온포기를 달인 물을 1일 5~6회 2~3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를 달인 물을 1일 5~6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를 산제로 하여 12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3~6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를 달인 물을 1일 5~6회 정도 상처가 아물 때까지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를 생즙을 내거나 달인 물을 1일 5~6회 3~5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를 생즙을 내어 1일 5~6회 5~6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가 마르지 않을 정도로 자주 바른다.
꽃 또는 잎을 생즙을 내어 소금을 약간 섞은 뒤 환부에 자주 바른다.
껍질을 달인 물을 1일 5~6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 또는 뿌리를 달인 물을 1일 2~3회 2~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 생즙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덩이줄기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양의 피, 해조류(김, 다시마, 미역, 바닷말, 서실, 청각, 파래)를 금한다.
열매를 짓찧어 환부에 붙인다.
온포기를 달인 물을 1일 5~6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를 진하게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온그루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바른다. 어린이는 익은 열매를 금한다.
온포기를 진하게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뿌리를 진하게 달인 물을 1일 5~6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를 생즙을 내어 환부에 자주 바른다.
온포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잎 또는 잔가지를 달인 물을 1일 5~6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 20~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5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1일 5~6회 4~5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뿌리줄기를 생즙을 내거나 달인 물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를 생즙을 내거나 달인 물을 1일 5~6회 3~5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를 달인 물로 1일 5~6회 3~5일 정도 환부를 씻거나 심하면 온포기를 짓이겨 거즈에 싸서 붙인다.
온포기를 생즙을 내거나 달인 물을 1일 5~6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잎 또는 꽃을 달인 물을 1일 5~6회 4~5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잎 또는 뿌리를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꽃 또는 뿌리를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뿌리를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온포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덩이뿌리를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잔가지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오배자(붉나무의 벌레혹) 달인 물을 1일 5회 이상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바른다.
뿌리줄기를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온포기 또는 잎을 생즙을 내어 1일 5~6회 나을 때까지 환부에 바른다.
잎을 생즙을 내거나 달인 물을 1일 5~6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를 달인 물을 1일 5~6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르거나 심하면 짓이겨서 환부에 붙인다.
온포기를 생즙을 내어 1일 5~6회 3~5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를 짓이겨 환부에 붙이거나 달여서 1일 5~6회 2~4일 정도 복용한다.
비늘줄기를 달여서 1일 5~6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인 물을 1일 5~6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씨 속알맹이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로 환부를 자주 씻는다. 쌍인(씨 속알맹이가 두 개인 것)을 쓰지 않는다. 복용 중에 조, 칡, 황금, 황기를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삼(대마)
온포기를 달인 물로 환부를 자주 씻는다.
온포기를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온포기 또는 비늘줄기를 생즙을 내어 환부에 바른다.
나무나 뿌리 또는 씨를 생즙을 내거나 달인 물을 1일 5~6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열매(상수리) 20~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바른다.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5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비늘줄기를 달인 물을 1일 5~6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몸에 열이 있거나 음기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를 달인 물을 1일 5~6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를 생즙을 내어 환부에 자주 바른다.
덩이뿌리를 진하게 달인 물을 1일 2~3회 2~3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 또는 뿌리줄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뿌리를 달여서 1일 5~6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뿌리를 생즙을 내거나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나무껍질 가루와 숫돌 가루를 같은 양으로 섞어 물에 개어서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를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뿌리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를 달인 물을 1일 5~6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바른다. 복용 중에 깽깽이풀, 하눌타리를 금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비늘줄기를 생즙을 내거나 달인 물을 1일 2~3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잔가지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하면서 생즙이나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온포기 20~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하거나 달인 물을 자주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를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온포기를 달인 물을 1일 3~4회 2~3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뿌리를 달인 물을 1일 5~6회 정도 나을 때까지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를 진하게 달인 물을 1일 3~5회 2~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 또는 꽃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심하면 4~5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를 생즙을 내거나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온포기를 달인 물을 1일 5~6회 3~5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를 생즙을 내거나 달인 물을 1일 5~6회 3~5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를 달인 물을 1일 4~5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뿌리를 삶은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뿌리줄기를 달인 물을 1일 5~6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 또는 씨를 달인 물로 환부를 자주 씻는다.
온포기 또는 뿌리를 생즙을 내거나 달인 물을 1일 5~6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 또는 열매를 달인 물로 환부를 자주 씻는다.
온포기를 달인 물로 환부를 자주 닦아준다.
나무껍질이나 잎 또는 열매를 삶은 물로 환부를 자주 씻는다.
온포기 또는 뿌리를 달인 물로 환부를 자주 씻는다.
수염을 진하게 달인 물을 3~4일 정도 환부가 나을 때까지 자주 바른다.
온포기를 생즙을 내거나 달인 물을 1일 5~6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뿌리 1~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신중히 사용한다.
씨 또는 뿌리 8~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바른다.
뿌리 또는 꽃을 달인 물을 1일 5~6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잔가지 또는 열매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로 환부를 자주 씻는다.
씨를 기름을 내어 1일 3~5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율무쌀에 소금을 약간 넣고 끓여서 1/2탕기를 1회분 기분으로 1일 3회 3~5일 정도 복용한다. 유산의 위험이 있으므로 임신부는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줄기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바른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잎을 달인 물을 1일 5~6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를 달인 물을 1일 5~6회 3~5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잎 또는 줄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인삼
뿌리(재배삼)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삼, 복령을 금한다. 혈압이 높은 사람은 신중히 사용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뿌리껍질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온포기를 달인 물을 1일 5~6회 3~5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씨 속알맹이를 짓이겨서 1일 3~4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 또는 덩이뿌리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5~6회 3~4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나무껍질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로 환부를 자주 씻는다.
뿌리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5회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바른다.
씨와 달걀 흰자위 1개분을 같은 비율로 섞어서 환부에 붙인다.
온포기를 생즙을 내거나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줄기 또는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바른다. 복용 중에 모란, 찬물을 금한다. 설사의 위험이 있으므로 기준량을 지킨다. 장복을 금한다.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잎 또는 뿌리를 생즙을 내거나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온포기에 소금을 약간 처서 믹서에 갈아 냉장고에 넣어두고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를 달인 물을 3~4회 정도 환부에 자주 바른다.
온포기를 짓이겨서 나을 때까지 환부에 붙인다.
온포기를 짓이겨서 거즈에 싸서 횐부에 붙여준다.
온포기를 생즙을 내거나 달인 물을 1일 5~6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 또는 뿌리를 달인 물을 1일 5~6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 또는 뿌리를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잔가지 또는 잎을 달인 물을 1일 3~4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싹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를 달여서 1일 5~6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를 생즙을 내거나 달인 물을 1일 5~6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정수고갈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를 생즙을 내거나 달인 물을 1일 5~6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비늘줄기를 짓찧어 나을 때까지 환부에 갈아붙인다.
온포기 또는 뿌리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측백나무를 금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온포기를 생즙을 내거나 달인 물을 1일 5~6회 3~5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뿌리줄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잉어를 금한다. 비위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를 달인 물로 환부를 자주 씻는다.
열매를 달인 물을 1일 5~6회 3~5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를 달인 물을 1일 5~6회 3~5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뿌리를 진하게 달인 물을 1일 5~6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 또는 뿌리를 달인 물을 1일 5~6회 3~5일 정도 환부에 바르거나 심하면 온포기를 짓이겨서 환부에 붙인다.
뿌리 또는 온포기를 생즙을 내거나 달인 물을 1일 5~6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뿌리를 생즙을 내어 1일 3~5회 나을 때까지 환부를 씻는다.
덩이뿌리(백하수오)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개고기, 마늘, 무, 바닷물고기, 쇠고기, 파를 금한다. 출혈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온포기 또는 씨를 달인 물을 1일 5~6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 또는 뿌리 6~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바른다.
뿌리 또는 온포기를 생즙을 내거나 달인 물을 1일 5~6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덩이줄기를 생즙을 내어 환부에 자주 바른다.
온포기 또는 뿌리줄기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덩이뿌리를 달인 물을 1일 5~6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를 달인 물을 1일 5~6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 또는 꽃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바른다.
씨 가루, 황벽나무 가루, 밀가루를 함께 개어서 환부에 붙인다.
나무껍질 또는 열매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버섯을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를 생즙을 내어 환부에 자주 바른다.
온포기 또는 씨를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덩이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개고기, 겨우살이, 마늘, 무, 바닷물고기, 파를 금한다. 출혈증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온포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생강을 금한다. 비위가 허약하거나 소갈증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를 달인 물을 1일 5~6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꽃 또는 뿌리를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나무 또는 뿌리를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온그루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바른다.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깽깽이풀, 대추, 생강, 오갈피, 황기를 금한다. 설사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구리, 철)를 쓰지 않는다.
나무껍질 또는 뿌리를 달여서 1일 5~6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줄기를 달인 물을 1일 5~6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명아주, 모란, 살구 씨, 생강, 토란을 금한다.
뿌리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녹각, 목련, 방풍, 백선, 복령, 살구 씨, 여로, 현삼을 금한다.
나무껍질이나 뿌리껍질 또는 열매를 달인 물을 1일 5~6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뿌리를 진하게 달인 물을 1일 5~6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잔가지 또는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바른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뿌리줄기를 짓이기거나 달인 물을 1일 5~6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뼛가루를 환부에 뿌려준다.(종기를 아물게 할 때)
통째 생으로 짓이겨서 1일 5~6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거위기름을 1일 5~6회 2~3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통째 삶은 물을 1일 3~4회 정도 환부에 바른다. 심하면 3~4일 정도 계속한다.
벌집을 진하게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말린 백강잠(백강병으로 죽은 누에)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정도 복용한다.
말린 백강잠(백강병으로 죽은 누에)을 가루를 내어 환부에 바른다.
통째 1마리를 볶아서 말려 가루를 내어 환부에 자주 뿌려준다.
돼지기름을 구리 그릇에 고아서 4~6회 정도 환부에 바른다.
통째 0.3~0.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매우 강하므로 기준량을 엄격하게 지킨다.
통째 1마리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통째 달인 물을 환부에 바른다. 또는 볶아서 말려 가루를 내어 환부에 뿌려준다.
통째 말린 가루와 지네 진액(빈 병에 지네 4~5마리를 산 채로 넣고 밀봉한 후 섭씨 30도에서 3일 정도 두면 액체가 나온다)을 섞어서 고약으로 만들어 두었다가 환부에 바른다.
통째 짓찧어 생즙을 내어 환부에 자주 바른다.
통째 말린 다음 볶아서 태운 가루를 나을 때까지 환부에 바른다.
말벌
벌집을 통째 달이거나 가루를 내어 환부에 자주 바른다.
붕사를 물에 타서 환부에 바른다.
얼음
상태가 심하면 얼음주머니로 1회에 20~30분씩 4~5회 정도 환부를 문질러준다.
통째 구운 가루와 참기름을 섞어 개어서 환부에 자주 바른다.
통째 300g 이상을 달인 물로 1일 3~4회 나을 때까지 환부를 씻는다.(지렁이를 다룰 때는 그릇에 지렁이를 넣고 지렁이가 잠길 정도로 물을 부은 다음 식초나 소주를 1숟가락 넣어 30분쯤 뒤에 뱃속의 똥이나 먹은 것을 다 게워내면 물로 깨끗이 씻어 사용한다.)
지렁이물(통째 흑설탕과 함께 병에 넣어두면 물이 생긴다.)을 환부에 자주 발라준다.(지렁이를 다룰 때는 그릇에 지렁이를 넣고 지렁이가 잠길 정도로 물을 부은 다음 식초나 소주를 1숟가락 넣어 30분쯤 뒤에 뱃속의 똥이나 먹은 것을 다 게워내면 물로 깨끗이 씻어 사용한다.)
통째 3마리 정도를 1회분 기준으로 달인 물로 환부를 자주 씻는다.
뿔을 달인 물로 환부를 자주 씻어준다.
통째 2~3마리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바른다.
통째 말린 후 가루를 만들어 환부에 자주 뿌려준다.
황토
흙 20~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로 환부를 자주 씻어낸다.
뿌리껍질 적당량을 달여 1일 3~4회 종독에 6~7일간 바른다.
뿌리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6~7일 복용한다.
온포기 적당량을 달여 1일 2~3회 종독에 7~8일간 바른다.
종인 10~12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7~8일 복용한다.
온포기를 적당량 달여 1일 3~4회 종독에 8~10일간 바른다.
씨 적당량을 달여 1일 3~4회 부위에 5~6일간 바른다.
뿌리 적당량을 달여 1일 3~4회 부위에 7~8일간 바른다.
열매 적당량을 달여 1일 3~4회 부위에 6~7일간 바른다.
뿌리 적당량을 달여 1일 3~4회 부위에 7~8일간 바른다.
온포기 적당량을 달여 1일 3~4회 부위에 7~8일간 바른다.
뿌리 적당량을 달여 1일 3~4회 부위에 5~6일간 바른다.
뿌리줄기 적당량을 달여 1일 3~4회 부위에 5~6일간 바른다.
뿌리 적당량을 달여 1일 3~4회 부위에 6~7일간 바른다.
뿌리 적당량을 달여 1일 3~4회 부위에 7~8일간 바른다.
뿌리 적당량을 달여 1일 3~4회 부위에 5~6일간 바른다.
온포기 적당량을 달여 1일 3~4회 부위에 5~6일간 바른다.
온포기 적당량을 달여 1일 3~4회 부위에 7~8일간 바른다.
온포기 적당량을 달여 1일 3~4회 부위에 7~8일간 바른다.
온포기 적당량을 달여 1일 3~4회 부위에 7~8일간 바른다.
전체 60~80g을 1회분으로 1일 2~3회 4~5일 정도 탕전복용한다.
전체 적당량을 1회분으로 1일 2~3회 6~7일 정도 탕전복용한다.
식초 적당량을 1회분으로 1일 2~3회 4~5일 정도 탕전복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