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구건조증(眼球乾燥症) / 안과 계통

 익생양술에서 "안구건조증(眼球乾燥症)"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참통(磣痛)"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눈물의 양이 부족하여 결막 및 각막이 건조해지는 병증이다. 안구건조증은 눈알이 뻑뻑하거나 깔깔한 느낌이 들다가 심해지면 통증이 오며, 때로는 두통과 어깨통증, 정신피로감 등이 같이 나타난다. 이런 증세가 오면 눈이 충혈되고 따갑거나 이물감이 느껴지며 결막염이나 각막연화증과 같은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근본적으로는 간장·신장·심장이 피곤해지면 안구건조증이 나타나게 되는데, 오랫동안 컴퓨터를 친다거나 책을 본다거나 작업에 열중하게 되면 간장과 심장에 열이 생겨 피가 제대로 순환되지 않기 때문에 정혈이 되지 않아 생기기도 한다. 다른 경우로는 성생활을 지나치게 하면 신장이 약해지면서 허열(虛熱)이 상승하여 눈에 피로가 나타난다. 정신적인 피로가 누적되면 기(氣)가 허약해져서 눈에 피로가 나타나기도 한다. 비타민A의 결핍, 류머티즘관절염, 눈꺼풀의 병적 노출 등이 원인이 되는 수도 있다.
참통(磣痛)
계통 눈(眼)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눈이 마르고 먼지가 들어간 것처럼 깔깔하며 아픈 것. 음액휴갈(陰液虧竭), 장부노열(臟腑勞熱)로 일어남. 특히 간열(肝熱)이 눈으로 올라와 생김.
질병처방 국화산(菊花散)[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