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산(半産) / 부인(婦人)

 익생양술에서 "유산·조산(流産·早産)"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반산(半産)"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임신 기간은 수태로부터 분만까지 283일로 계산한다. 그 안에 태아가 죽어서 나오거나(유산), 달이 차기 전에 해산하는 경우(조산)를 말한다. 임신 제28주 이전에 태아가 몸 밖으로 배출되는 일을 유산이라 하는데, 대부분 태아가 죽어서 나오며, 살아서 나오는 경우에도 거의 죽게 된다. 또 임신 29주 이후부터 38주 미만 사이의 분만을 조산이라 하는데, 이 시기에는 일반적으로 신생아의 발육이 가능하다. 자궁에 이상이 있거나 육체적·정신적으로 심한 충격을 받았을 때 발생한다. 3회 이상 유산이 되는 것을 습관성 유산이라 하는데, 원인을 찾아서 치료해야 한다.
·습관성유산 : 자궁의 발육부전·기형·위치 이상, 만성자궁내막염, 당뇨, 만성신장염, 매독, 과도한 성교, 알코올중독, 니코틴중독, 정신불안, 영양장애, 허약체질 등이 원인이 되어 많이 일어난다. 유산을 피하려면 무거운 짐 운반, 장거리 여행, 심한 운동을 피하고 정신적인 안정과 충분한 영양 섭취를 해야 한다. 또한 유산의 기미가 있으면 안정을 취하고 전문의의 조치를 받도록 한다.
·취생유산(醉生流産) : 별 이상도 없는데 태아가 달이 차기 전에 죽어서 나오는 경우를 일컫는다.
·타태(墮胎) : 임신 3개월 이후에 저절로 태아를 모체 밖으로 배출하는 경우이다. 즉 자연 유산·자연 조산을 말한다. 반산(半産)·소산(小産)이라고도 하며, 한편으로는 유산의 의미도 있다.
·활태(滑胎) : 임신 때마다 거의 같은 시기에 연속해서 두 번 이상 유산 또는 조산되곤 하는 것을 말한다.
·사태(死胎) : 태아가 뱃속에서 이미 죽어서 나오는 경우이다.
반산(半産)
계통 부인(婦人)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소산(小産). 반생(半生). 실태(失胎). 임신 3개월 후의 자연유산. 기혈(氣血) 부족으로 태원(胎元)을 양육하지 못하거나, 또는 태원에 열이 있거나, 선천적으로 허약하거나, 우울해하거나 과로하여 정력을 허손(虛損)하거나, 색욕을 삼가지 않아 생기(生氣)를 손상하거나, 질박(跌撲)·섬좌(閃挫) 등 외상이나 열병·온학(溫瘧) 등으로 태가 화(火)를 받거나, 태아쪽에 원인이 있을 수도 있음. 처음엔 하복부 통증과 자궁출혈이 가볍게 있다가, 진행되면 임신이 유지되지 않고 자궁 내용물이 나옴. 내용물이 다 나오면 복통과 출혈이 멎으나, 다 안 나오면 증상이 계속됨.
질병처방 교애궁귀탕(膠艾芎歸湯)
백편두산(白扁豆散)
안영탕(安榮湯)
안태환(安胎丸)
오미안태환(五味安胎丸)
천금보태환(千金保胎丸)
치반산우방(治半産又方)
치반산일방(治半産一方)
화통탕(和痛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