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부팽만(腹部膨滿) / 소화기 계통

 익생양술에서 "복부팽만(腹部膨滿)"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두창복창(痘瘡腹脹)"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복창(腹脹)"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복창통(腹脹痛)"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비민(痞悶)"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수결흉(水結胸)"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습열창만(濕熱脹滿)"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식적(食積)"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심복창통(心腹脹痛)"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심하비(心下痞)"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심하비경(心下痞硬)"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심하비만(心下痞滿)"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심흉비통(心胸痞痛)"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양독결흉(陽毒結胸)"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열실결흉(熱實結胸)"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위심통(胃心痛)"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음독결흉(陰毒結胸)"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중만(中滿)"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한창(寒脹)"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혈창(血脹)"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복부가 부풀어오르는 증상이다. 복장팽만(腹腸膨滿)이라고도 한다. 위장에 내용물이 가득 차 있는 느낌이 들며, 가스저류·복수 등에 의한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배가 점점 부풀어 터질 듯한데, 배를 두드리면 북 소리가 난다. 심하면 몸이 붓고 팔다리가 여위고, 만성이 되면 뱃속은 비어 있는데 배는 팽팽하게 붓는다. 동의고전에서는 복창(腹脹) 또는 창만(脹滿)이라 한다. 창은 배가 불러올라 팽팽해진다는 뜻이고, 만은 속이 그득하다는 뜻이다. 또한 복만(腹滿)이라 하는데, 배가 창만한 증상이다.
·고창(鼓脹) : 장관(腸管) 안에 많은 가스가 차서 배가 땡땡하게 붓는 병. 배가 불러 오르면서 그득하고 속이 비어 있어 마치 북과 같다 하여 고창이라 한다. 장폐색·위궤양·급성복막염 등에서 볼 수 있고 구토나 복통을 유발한다.
·고장(鼓腸) : 창자에 많은 가스가 들어차 배가 불룩해진 상태이다.
두창복창(痘瘡腹脹)
계통 소아(小兒)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두창독이 장위(腸胃)에 몰려서 배가 팽팽히 불어나는 것. (1) 비위(脾胃)에 열이 잠복해 심기(心氣)가 내리지 않아서 생기면 소변적삽(小便赤澁)을 동반함. (2) 혈열독(血熱毒)이 성해서 생기면 마마가 마르고 자색(紫色)이 되며, 대변이 안 나옴. (3) 어혈(瘀血)이 안에 있어서 생기면 번조, 소변리(小便利), 대변흑(大便黑) 등의 증상이 나타남. (4) 찬 음식으로 비기(脾氣)가 허하여 생기면 기촉체허(氣促體虛), 대변리(大便利), 소변비(小便秘) 등이 나타남. (5) 허약하여 생기면 이명(耳鳴), 기천(氣喘), 궐역창백조갈(厥逆瘡白躁渴) 등이 있음.
질병처방 가미선풍산(加味宣風散)
복창(腹脹)
계통 황달(黃疸)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복만(腹滿). 배가 몹시 부르고 팽팽히 당기는 것. 습열(濕熱)이 간담(肝膽)에 울결(鬱結)하거나, 혹은 한습(寒濕)으로 비(脾)가 상하거나, 비허(脾虛)나 기체(氣滯)로 일어남. 처음엔 심하비만(心下痞滿), 협통, 안색여흑(顔色黎黑). 오심번열(五心煩熱), 피곤, 식욕부진, 트림, 심한 설사나 변비 등이 있음. 점차 몸이 여위고, 배가 더 불러오르고, 배와 옆구리에 종물(腫物)이 만져짐. 말기에는 기혈(氣血)이 아주 쇠약해짐. 한습으로 비가 상하면 배가 팽팽히 불어나고, 몸이 무겁고, 손발이 싸늘하고, 설태는 희고 끈끈하며, 맥은 침지(沈遲)하거나 현긴(弦緊)함. 기체(氣滯)면 흉복(胸腹)이 창만하고 답답하며 트림이 나고, 칠정(七情)으로 더해지며, 맥은 침현(沈弦)하거나 침삽(沈澁)함. 비허(脾虛)면 복부가 때때로 창만하고, 적게 먹고, 몸이 노곤하고, 아침에 덜하고 저녁에 더해지며, 대소변이 청리(淸利)하고, 맥은 허연(虛軟)함.
참고 성제총록(聖濟總錄)
질병처방 광출궤견탕(廣朮潰堅湯)
삼화신우환(三花神祐丸)[2]
소적환(消積丸)
심평탕(審平湯)
염(鹽)[5]
외부약(外敷藥)
욱리인(郁李仁)[5]
정력목향산(葶藶木香散)
제생자소자탕(濟生紫蘇子湯)
침향음(沈香飮)[2]
퇴황환(退黃丸)
팔미이중환(八味理中丸)
후박(厚朴)[5]
복창통(腹脹痛)
계통 배(腹)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배가 팽팽해지고 아픈 것.
질병처방 길경(桔梗)[3]
비민(痞悶)
계통 배(腹)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속이 더부룩하고 답답한 증. 기(氣)나 습담(濕痰)이 몰릴 때, 또는 여윈 사람에서 열이 중초(中焦)에 맺혀서 발생함. 흉중(胸中)이 창만(脹滿)하나 통증이 없음. 명치 밑이 막히나, 실질(實質)은 없음.
질병처방 염(鹽)[5]
수결흉(水結胸)
계통 흉(胸)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수결(水結). 큰 열은 없고 다만 머리에 땀이 조금 나는 결흉.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에서 표(表)에 있는 사기(邪氣)를 오히려 내리면 속의 정기(正氣)가 상하여 사열(邪熱)이 되어 열이 심하(心下)로 들어가 수음(水飮)과 결합하여 생김. 경증이면 심하정충(心下怔忡), 두한(頭汗)이 있음.
질병처방 기출탕(枳朮湯)
반하복령탕(半夏茯苓湯)[1]
습열창만(濕熱脹滿)
계통 창만(脹滿)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습열로 생긴 고창(鼓脹). 심복창만(心腹脹滿), 소변불리(小便不利), 대변활설(大便滑泄) 등이 따름.
질병처방 목향순기환(木香順氣丸)[2]
식적(食積)
계통 흉(胸)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과식으로 소화가 안되어 속에 정체(停滯)되어 생긴 적(積). 가슴과 배가 답답하고, 때로 딴딴한 비괴(痞塊)가 있고, 복통이 심하여 손을 대지 못함. 신트림이 나고, 신물이 올라오고, 식욕이 없고, 대변은 굳거나 설사하고, 설태는 황니(黃膩)함.
질병처방 가미기출환(加味枳朮丸)
내소산(內消散)
대안환(大安丸)
도계기보환(桃溪氣寶丸)
도씨평위산(陶氏平胃散)
묘응단(妙應丹)[1]
보화환(保和丸)[2]
보화환(保和丸)[3]
산사자(山楂子)
삼릉소적환(三稜消積丸)
삼릉전(三稜煎)
삼릉전(三稜煎)[2]
소식산(消食散)
소식환(消食丸)
소적정원산(消積正元散)
아위원(阿魏元)
아위환(阿魏丸)[1]
아위환(阿魏丸)[2]
좌비환(佐脾丸)
청기화담환(淸氣化痰丸)[2]
홍원자(紅圓子)
심복창통(心腹脹痛)
계통 위(胃)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명치와 배가 불러오고 아픈 것. 창만(脹滿)을 볼 것.
질병처방 평위산(平胃散)[1]
심하비(心下痞)
계통 흉(胸)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명치 밑이 그득하면서 더부룩한데 만지면 유연하고 아프지는 않은 증. 대개 상한(傷寒)의 표사(表邪)가 풀리지 않은 데에 하법(下法)을 잘못 써서 사기(邪氣)와 습담(濕痰)이 뭉치고 한열(寒熱)이 서로 엉겨서 생김. 오한, 한출(汗出), 구갈(口渴), 소변불리(小便不利) 등이 따름. 우사(憂思)로 기가 맺혀서 일어나면 배가 약간 아프고, 입맛이 떨어짐.
질병처방 귤련기출환(橘連枳朮丸)
기실(枳實)[2]
심하비경(心下痞硬)
계통 상한(傷寒)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명치 밑이 그득하고 딴딴한 증상. 사열(邪熱)과 위(胃)의 수음(水飮)이 어울려 생김.
질병처방 도씨황룡탕(陶氏黃龍湯)
심하비만(心下痞滿)
계통 상한(傷寒)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심하비(心下痞)와 심하만(心下滿). 심하부가 팽만하여 더부룩하면서 실질적으로 만져지는 것은 없는 것. 음복양축(陰伏陽蓄)으로 기혈이 운행하지 못하여 비(脾)의 청기(淸氣)가 오르지 않고 하행(下行)하며 위(胃)의 탁기(濁氣)가 내리지 않고 상역(上逆)하여 일어남. 또 습열(濕熱)이 아주 심하거나, 담기(痰氣)가 상역해도 일어남. 울노(鬱怒), 어혈(瘀血), 습담(濕痰) 등도 원인이 될 수 있음.
질병처방 감초사심탕(甘草瀉心湯)
계지인삼탕(桂枝人蔘湯)[2]
귤피기출환(橘皮枳朮丸)
목향화체탕(木香化滯湯)
심흉비통(心胸痞痛)
계통 기(氣)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심하(心下)가 비만(痞滿)하고 가슴이 아픈 것. 위완통(胃脘痛) 참조.
질병처방 도기기각환(導氣枳殼丸)
양독결흉(陽毒結胸)
계통 흉(胸)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결흉(結胸) 참조. 양독으로 결흉이 된 것. 사기(邪氣)가 표(表)에 있는데 땀을 내지 않고 오히려 하약(下藥)을 써서 표열이 속으로 들어가 본래 있던 담음(痰飮)과 맺혀 일어남. 또 어린아이가 본래 담열(痰熱)이 있는데 풍한(風寒)이 밖에서 침범해 담이 폐장의 기관(氣管) 사이에 응결(凝結)하여 일어남. 심하비만(心下痞滿), 단기(短氣), 번조천만(煩躁喘滿), 심중오뇌(心中懊惱), 항강(項强), 흉고(胸高), 복통거안(腹痛拒按), 설상조갈(舌上燥渴) 등이 있음. 혹은 해질 무렵에 조열(潮熱)이 나고, 심하에서 소복(小腹)까지 경만(硬滿)하며, 촌구맥(寸口脈)은 부(浮)하고 관맥(關脈)은 침(沈)함.
질병처방 파결단(破結丹)
열실결흉(熱實結胸)
계통 흉(胸)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열결흉(熱結胸). 열실(熱實)에 의한 결흉. 상한(傷寒) 때 땀을 내야 하는데 하약(下藥)을 써서 속의 정기(正氣)가 손상되어 체표(體表)의 사열(邪熱)이 허한 틈을 타고 속으로 들어가 가슴속의 담음(痰飮)과 뭉쳐 생김. 심하(心下)가 딴딴하며 아픔. 단기(短氣), 발열, 오뇌(懊惱), 번갈(煩渴), 정신혼미, 구조변폐(口燥便閉) 등이 따르며 맥이 침활(?滑)함. 혹은 흉고(胸高), 복통거안(腹痛拒按), 설상번갈(舌上煩渴), 오후조열 등이 있고 심하에서 소복(小腹)까지 딴딴하고 그득하며 촌구맥(寸口脈)이 부(浮)하고 관맥(關脈)이 침(沈)함.
참고 통속상한론(通俗傷寒論)
질병처방 시함탕(柴陷湯)
위심통(胃心痛)
계통 흉(胸)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위완통(胃脘痛). 궐심통(厥心痛)의 하나. 명치 부위의 통증. 장기간의 음식부절(飮食不節), 기포노권(飢飽勞倦), 비위허한(脾胃虛寒), 정지울결(情志鬱結) 등으로 위경(胃經)에 있는 사(邪)가 가슴으로 올라와 생김. 명치 아래가 아픈데 심하면 가슴이 그득하고 배가 불러옴. 외감(外感), 내상(內傷)이 같지 않으므로 외감위완통, 내상위완통을 볼 것.
질병처방 가미기출환(加味枳朮丸)
청울산(淸鬱散)
음독결흉(陰毒結胸)
계통 흉(胸)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음독으로 일어난 결흉. 상한(傷寒) 때 태양경(太陽經)에 사기(邪氣)가 있는데 너무 일찍 설사시켜 표열(表熱)이 속으로 들어가 본래 있던 수음(水飮)과 결합해 생김. 명치 아래가 그득하고 단단하며 아픔.
참고 상한론태양병(傷寒論太陽病)
질병처방 파결단(破結丹)
중만(中滿)
계통 창만(脹滿)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흉복창만(胸腹脹滿). 배 안이 그득하고 소화가 안되는 증상. 기허(氣虛), 식체(食滯), 한탁(寒濁)의 상충(上衝), 습열조체(濕熱阻滯) 등으로 비위(脾胃)의 운화작용이 잘 되지 않고 기(氣)가 막혀 일어남.
질병처방 광출궤견탕(廣朮潰堅湯)
부자산수유탕(附子山茱萸湯)
분소탕(分消湯)
삼화신우환(三花神祐丸)[2]
중만분소탕(中滿分消湯)
중만분소환(中滿分消丸)
한창(寒脹)
계통 창만(脹滿)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감한(感寒)으로 일어나는 창만(脹滿). 한사(寒邪)를 외감(外感)하거나 한기가 속으로 들어가서 음기(陰氣)가 모여 엉겨서 오래도록 흩어지지 않고 장위를 내공(內攻)해 일어남. 복부창만, 불사음식(不思飮食), 구토, 심번(心煩), 사지궐랭(四肢厥冷) 등이 나타나고 맥은 지약(遲弱)함.
질병처방 순기목향산(順氣木香散)
온위탕(溫胃湯)[3]
중만분소탕(中滿分消湯)
후박귤피전(厚朴橘皮煎)
혈창(血脹)
계통 창만(脹滿)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1) 혈맥이 통하지 않아 생긴 창만(脹滿). 어혈이 속에 쌓이고 기가 돌지 못한 데에 한사(寒邪)가 껴서 혈맥이 돌지 못해 일어남. 복창(腹脹), 번조(煩躁), 천급(喘急), 허한궐역(虛汗厥逆) 등이 있고 앞가슴과 팔 안쪽에 출혈반이 보임. 또한 소변이 붉고, 대변이 검음. (2) 축혈창(蓄血脹).
질병처방 도노환(桃奴丸)
산혈소종탕(散血消腫湯)
인삼궁귀탕(人蔘芎歸湯)[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