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부족(氣不足) / 기타 질환
익생처방관련 약초
기허(氣虛)
기혈양허(氣血兩虛)
노림(勞淋)
양허(陽虛)
추축(抽搐)
익생원인과 증상
기가 허하거나 부족한 것, 원기가 넉넉하지 못하거나 약해져 생기는 병을 말한다. 기허(氣虛)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기부족이 오면 얼굴이 창백하고 입맛이 없으며 어지럽고 권태감과 무력감이 심하여 말하기 싫어하고 누워 있기를 좋아하며 몸을 조금만 움직여도 땀이 나고 말소리가 약하며 가슴이 두근거리고 숨결이 밭은 증상을 보인다.
기허(氣虛)
계통 |
맥(脈) / 외형편(外形篇) |
원인과 증상 |
(1) 기능 부족, 원기(元氣) 부족. 혈분(血分)에 기(氣)가 없어 일어남. 불규칙한 식사나 과도한 노동으로 비위(脾胃)가 휴손(虧損)되어 원기가 쇠약하고 심화(心火)가 왕성하여 일어남. 눈에 정기와 광채가 없고, 말소리가 낮고 작으며, 권태무력(倦怠無力)함. 또 기허(氣虛)로 혈액 고섭(固攝)이 안되면 붕루(崩漏), 변혈(便血), 육혈(衄血) 등 만성 출혈이 일어남. (2) 폐허(肺虛). |
질병처방 |
가자피(訶子皮)[1]
|
|
보기탕(補氣湯)
|
기혈양허(氣血兩虛)
노림(勞淋)
계통 |
소변(小便) / 내경편(內景篇) |
원인과 증상 |
피로하여 발생하는 임증(淋症). 과도한 노역(勞役)이나 사려(思慮)로 비(脾)가 손상되거나, 성교에 너무 힘을 써서 정설(精泄)이 지나쳐 신(腎)을 손상하거나, 사려로 심(心)을 손상하여 생김. 안색이 창백하고, 기(氣)가 허하고 부족하며, 소변이 임력(淋瀝)하고, 배뇨 후 음부가 은근히 아프고, 사지가 권태롭고, 허리가 무겁고 아프며, 손·발바닥에 열이 나고, 혀가 붉으며, 맥이 세(細)·삭(數)함. 오래도록 낫지 않고, 피곤하거나 술을 마시면 증상이 더해짐. |
질병처방 |
익원고진탕(益元固眞湯)
|
양허(陽虛)
계통 |
허로(虛勞) / 잡병편(雜病篇) |
원인과 증상 |
신중진양(腎中眞陽)이 허하다는 뜻. 기가 허하고 명문화(命門火)가 약해진 증후로 신양허(腎陽虛), 비양허(脾陽虛)가 이 범주에 속함. 양허면 음성(陰盛)이 되고 대개 살이 찌며, 얼굴이 하얗게 되고, 입안이 마르고 목구멍이 아프며, 입과 혀에 헌데가 생기고, 말소리가 나오지 않고, 끈끈한 침이나 가래가 나오고, 손·발바닥에 열이 나고, 음경이 발기되지 않고, 대변이 마르고, 소변이 붉으며, 발열하면 자시(子時)에서 사시(巳時)까지 이르고, 도한(盜汗)이 나고, 우척맥(右尺脈)이 대개 약하거나 세(細)함. |
질병처방 |
계부탕(桂附湯)[3]
|
|
녹용대보탕(鹿茸大補湯)
|
|
사신단(四神丹)
|
|
삼기건중탕(蔘芪健中湯)
|
|
삼선단(三仙丹)
|
|
용부탕(茸附湯)
|
|
정기보허탕(正氣補虛湯)
|
|
증손낙령탕(增損樂令湯)
|
추축(抽搐)
계통 |
풍(風) / 잡병편(雜病篇) |
원인과 증상 |
힘줄이 뻣뻣하면서 수축과 이완이 장시간 교대로 일어나는 증. 열성 질병, 전간(癲癎), 파상풍, 서열(暑熱)로 기혈과 진액이 지나치게 손상되어 근(筋)을 자양하지 못하여 일어남. 또는 심기(心氣)가 허하거나, 심화(心火)로 인하거나, 비(脾)가 허하여 풍(風)을 생성하거나, 간로허한(肝勞虛寒)으로 인하여 생김. 몸에 권태감이 있고, 정신이 혼미하며 말을 못하고, 맥이 느림. 사지불온(四肢不溫)이 따르기도 하고, 음식을 먹는데 마목(麻木)이 되고, 아관긴급(牙關緊急)을 일으키고, 눈 안이 떨리며 붓기도 하고, 한열(寒熱)이 오가고, 머리가 흔들리고, 맥이 강급(强急)하기도 함. |
참고 |
의방유취(醫方類聚) |
질병처방 |
소궁황탕(小芎黃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