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코올중독 / 중독에 관한 계통

 익생양술에서 "알코올중독"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상주(傷酒)"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주로(酒勞)"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주상(酒傷)"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술을 장기간에 걸쳐 습관적으로 마시는 동안 그만두려 해도 그만둘 수 없게 된 상태를 말한다. 알코올의존증·음주중독·술중독이라고도 한다. 간장 질환, 위장염 증상, 안면이나 코의 모세 혈관 확장, 일시적 기억상실, 판단장애, 정신적·도덕적 퇴폐행위 등을 일으키며, 술을 먹지 않으면 수전증·불안감을 비롯한 여러 가지 금단 증상을 일으키므로 계속 술을 찾게 된다.
상주(傷酒)
계통 내상(內傷)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주상(酒傷). 술을 과음해서 생긴 병증. 장기간의 음주로 비위(脾胃)를 상하고 음혈(陰血)이 작상(灼傷)되어 비신양허(脾腎兩虛)를 일으킴. 두통, 현훈, 오심, 구토, 시물전도(視物顚倒), 인후폐민(咽喉閉悶) 등이 있고 심하면 손발이 떨리거나 수축되며 혼수에 빠짐. 또, 비위가 상해 흉격비색(胸膈痞塞), 음식감소, 대변당설(大便溏泄) 등이 있음. 음주가 지나치면 징적(癥積), 황달, 고창 등이 생김.
참고 증치요결(證治要訣)
질병처방 갈근(葛根)[6]
백배환(百杯丸)
주증황련환(酒蒸黃連丸)[3]
해주화독산(解酒化毒散)
주로(酒勞)
계통 내상(內傷)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음주과도로 비위(脾胃)가 손상되어 생긴 허로(虛勞). 몸에 열이 나고, 입안에 기름기가 돌고 음식맛을 모르며, 오래되면 노채가 됨.
질병처방 우간급우백엽(牛肝及牛百葉)
주상(酒傷)
계통 화(火)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상주(傷酒). 음주 과다. 술의 성(性)은 열로서 승발행산(昇發行散)하여 경맥을 흥분시키고 탁예(濁穢)를 따라 하행하지 않고 곁으로 스며들어 위(胃)를 거쳐 담(膽)에 들어가 담이 그 열을 뇌에 옮기면 비연(鼻淵), 두한(頭汗), 뇌열(腦熱) 등이 나타나고 장으로 쏟아지면 대변당, 습열사주(濕熱下注) 등의 증이 되며 담즙이 차고 넘쳐 경락으로 스며들면 주단이 됨. 오심구역, 혼모현훈, 두통 등이 따르기도 함.
질병처방 갈화해정탕(葛花解컲湯)
갈황환(葛黃丸)[2]
감국화(甘菊花)[2]
납설수(臘雪水)[1]
녹두분(綠豆粉)
대금음자(對金飮子)
삼두해정탕(三豆解컲湯)
생숙탕(生熟湯)[1]
선태산(蟬蛻散)
승마갈근탕(升麻葛根湯)[2]
인삼산(人蔘散)[2]
전라(田螺)[3]
죽여(竹茹)[1]
청피(靑皮)[5]
해소주독일방(解燒酒毒一方)
황련(黃連)[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