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두염(喉頭炎) / 외과 계통

 익생양술에서 "후두염(喉頭炎)"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기담(氣痰)"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인후종통(咽喉腫痛)"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조담(燥痰)"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폭음(暴音)"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후두는 인두(咽頭)와 기관(氣管) 사이의 부분을 말하는데, 여섯 개의 연골로 둘러싸여 있는 기도(氣道)의 일부를 이루고, 중앙부에는 발성 기관인 성대가 있다. 이 후두에 생기는 염증이 후두염이다. 후두카타르라고도 한다. 주요 증상으로는 목이 아프고 가래가 나온다. 급성후두염에 걸리면 목이 쉬거나 심할 경우 목소리가 거의 나오지 않게 된다. 기침과 가래가 나오고 가래에 피가 섞이기도 하며 미열이 생기기도 한다.
기담(氣痰)
계통 담음(痰飮)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조담(燥痰)과 같은 뜻. 폐경(肺經)에 습(濕)이 있어서 생김. 맥이 삽(澁)하고, 얼굴이 하얗게 되고, 기상천촉(氣上喘促)하고, 오한 발열하며, 마음이 괴로움. 또 담(痰)이 걸려 잘 나오지 않고 쌀알처럼 작게 뭉쳐 뱉어지지 않음.
질병처방 가미사칠탕(加味四七湯)[1]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2]
옥분환(玉粉丸)[2]
윤하환(潤下丸)
이현산(二賢散)
전호반하탕(前胡半夏湯)
인후종통(咽喉腫痛)
계통 화(火)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후풍(喉風), 후관옹(喉關癰) 등으로 인후가 벌겋게 붓고 아픈 것. 심화(心火), 상화(相火)가 위로 타올라서 일어남. 심(心)·신(腎) 2경은 인후에 관계되며, 심화의 세력은 완만하나 열결(熱結)하면 아프고 부음. 상화의 세력은 빠르고 목이 잠김. 허화(虛火)와 실화(實火)로 나뉨. 실화는 기름진 음식으로 열독(熱毒)이 온결(蘊結)해 생기며 번갈(煩渴), 변비, 풍담옹색(風痰壅塞) 등이 따름. 허화는 화를 잘 내거나 주색으로 인해 생기며 인후와 혀가 마르고, 대변이 잘 나오지 않고, 심맥(心脈)이 허삭(虛數)하고 신맥(腎脈)이 미(微)함.
질병처방 금소환(金消丸)
길경(桔梗)[2]
마발(馬勃)
불수산(佛手散)[2]
상청원(上淸元)[1]
석해(石蟹)
용뇌음자(龍腦飮子)
우방자탕(牛蒡子湯)
증손여성탕(增損如聖湯)
청량산(淸凉散)[2]
청화보음탕(淸火補陰湯)
필용방감길탕(必用方甘桔湯)
형개탕(荊芥湯)[2]
형황탕(荊黃湯)[2]
호화상비아(瓠花上飛蛾)
조담(燥痰)
계통 담음(痰飮)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기담(氣痰), 담증(痰證)의 하나. 폐경(肺經)에 습(濕)이 있어서 일어남. 담은 희고 적으며, 때로 작게 뭉쳐서 쌀알 같고 잘 안 뱉어짐. 얼굴이 허옇고, 기상천촉(氣上喘促)이 있고, 입안과 목구멍이 건조하며, 한열(寒熱)이 오가고, 마음이 즐겁지 않고, 맥이 삽(澁)함.
참고 의학입문(醫學入門)
질병처방 과루인(瓜蔞仁)
폭음(暴音)
계통 유행병(流行病)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폭후음(暴喉音). 졸음(卒音). 갑자기 목이 쉬거나 소리가 나지 않는 것. 평소에 신(腎)이 허한 데에 여풍(癘風)으로 손상되어 일어남. 말소리가 건삽(蹇澁)해 말이 잘 안 나오고, 정강이가 마르고 늘어지며, 이롱(耳聾)이 되기도 하고, 요배(腰背)가 서로 당기고 아프며, 걷지 못함.
질병처방 황기복신탕(黃芪茯神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