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저(癰疽) / 제법(諸法)

 익생양술에서 "종기(腫氣)"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옹저(癰疽)"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피부에 생기는 큰 부스럼이다. 종(腫)·종물(腫物)이라고도 한다. 털구멍이 포도상 구균에 감염되어 염증이 피부 깊은 곳까지 미친 경우이다. 먼저 털구멍 위로 좁쌀 같은 것이 솟아올랐다가 점차 화농(化膿)하여 빨갛게 부어오르고 열이 나면서 강한 통증이 오게 된다. 그 다음에는 종기가 터져 속에 있던 고름이 나오면 부기가 빠지고 통증도 없어지면서 자연히 낫지만, 흉터가 남을 수 있다.
옹저(癰疽)
계통 제법(諸法)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옹(癰)은 체표(體表)와 장부(臟腑)가 곪는 것임. 외옹(外癰)은 체표에 생기고 내옹(內癰)은 장부에 생기며 각기 폐옹(肺癰), 간옹(肝癰), 장옹(臟癰), 위완옹(胃脘癰), 신옹(腎癰)으로 나뉨. 저(疽)는 헌데가 깊고 잘 낫지 않는 것임. 부위에 따라 음저와 발저, 증상에 따라 유두저(有頭疽)와 무두저(無頭疽)로 나눔. 내인옹저(內因癰疽)는 칠정온결(七情蘊結), 조심과도(操心過度), 고량후미(膏梁厚味)로 장부가 훈증되거나 성교 등으로 원기(元氣)가 휴손되어 생김. 외인옹저(外因癰疽)는 육음(六淫)이 침습하거나, 여름에 밖에서 자거나 습지(濕地)에 앉거나 누워 풍한(風寒)이 경락(經絡)에 침습하여 생김. 내인옹저는 귀하게 자랐거나 비만한 사람에게 생기기 쉽고, 헌데가 딴딴하고 뿌리가 깊으며, 편평하고 고름이 없으며, 표실이허(表實裏虛)로 독이 나오기 어려움. 외인옹저는 대개 옴이 약하고 몸을 많이 쓰는 사람이 앓기 쉽고, 한열(寒熱)이 오가며, 근골(筋骨)이 쑤셔서 걷기가 힘들고, 습담(濕痰)이 유주(流注)하여 탄탄(癱瘓)이나 구안와사(口眼喎斜) 등이 나타남.
질병처방 가미불환금정기산(加味不換金正氣散)
가미십기산(加味十奇散)
가미십전탕(加味十全湯)
감국(甘菊)[4]
거수고(去水膏)
거악산(去惡散)
격피취농법(隔皮取膿法)
괴화주(槐花酒)
구보환(狗寶丸)
국로고(國老膏)[1]
궁귀탁리산(芎歸托裏散)
나미고(糯米膏)[1]
납반환(蠟礬丸)
내고청심산(內固淸心散)
내소황련탕(內疏黃連湯)
내탁강활탕(內托羌活湯)
내탁산(內托散)[1]
내탁천금산(內托千金散)
노회고(爐灰膏)[3]
녹각산(鹿角散)[2]
대황(大黃)[7]
만응고(萬應膏)[1]
모침(茅鍼)
목향빈랑산(木香檳榔散)
묘승산(妙勝散)
백봉선화(白鳳仙花)
벽려(薜荔)
복룡간(伏龍肝)[3]
비방탈명산(秘方奪命散)
사농환(射膿丸)
사향산(麝香散)[3]
사호산(四虎散)
삼신고(三神膏)
상회수(桑灰水)
생귀(生龜)[1]
생기산(生肌散)[2]
생기산(生肌散)[3]
선방활명음(仙方活命飮)
성유탕(聖愈湯)
소식산(消蝕散)
수징고(水澄膏)
승양익위산(升陽益胃散)[1]
신이고(神異膏)[1]
신효탁리산(神效托裏散)
십선산(十宣散)
연교패독산(連翹敗毒散)
염창산(斂瘡散)
염탕(鹽湯)[1]
영위반혼탕(榮衛返魂湯)
영응고(靈應膏)[1]
영응고(靈應膏)[2]
오리대황탕(五利大黃湯)
오향연교탕(五香連翹湯)
오향탕(五香湯)
옹저창구심대방(癰疽瘡口深大方)
용천고(涌泉膏)
운모고(雲母膏)[2]
원지주(遠志酒)
위약(圍藥)
유분탁리산(乳粉托裏散)
이향산(二香散)[2]
인동등(忍冬藤)[3]
인동주(忍冬酒)
인동환(忍冬丸)
자금정(紫金錠)[2]
저제탕(猪蹄湯)
조각자(皂角刺)
지통당귀탕(止痛當歸湯)
천금내소산(千金內消散)
천산갑산(穿山甲散)
철정란(鐵井爛)
체침환(替鍼丸)[1]
체침환(替鍼丸)[2]
침수고(沈水膏)
타농산(打膿散)
탁리복령탕(托裏茯苓湯)
탁리산(托裏散)
탁리소독산(托裏消毒散)
탁리황기탕(托裏黃芪湯)[1]
탕세방(湯洗方)
투농산(透膿散)
해독탕(解毒湯)[2]
호(葫)
홍옥산(紅玉散)[2]
황감산(黃甘散)
황기(黃芪)[5]
황기(黃芪)[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