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예백함(花瞖白陷) / 눈(眼)

 익생양술에서 "각막궤양·각막염(角膜潰瘍·角膜炎)"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화예백함(花瞖白陷)"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각막은 눈동자의 앞에 있는 둥근 접시 모양으로 된 투명한 막이다. 신경이 많이 몰려 있어 자극에 민감하며, 초점을 맞추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각막궤양과 각막염은 삼눈의 일종으로서, 각막궤양은 각막이 짓무르고 허는 증상이며, 각막염은 각막에 염증이 생겨 각막이 흐려지는 병으로 곪는 것과 곪지 않는 것으로 크게 나눈다. 각막염이나 각막궤양에 걸리면 통증이 매우 심하며 치료하지 않으면 시각의 이상을 초래하여 실명할 수도 있다. 콘택트 렌즈를 착용하는 사람들이 각막염이나 각막궤양에 걸릴 확률이 높다.
화예백함(花瞖白陷)
계통 눈(眼)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화예(花瞖). 백함어린(白陷魚鱗). 조화백함(棗花白陷). 흑정 주위에 흰 막이 생겨 점차 사방으로 퍼지면서 가운데가 패여 그 모양이 꽃잎이 벌어진 것 같은 병증. 간(肝)·폐(肺)에 화열(火熱)과 풍사(風邪)가 뇌(腦)를 치밀어서 생김. 심하면 흑정의 심층까지 패인 데에 황인(黃仁)이 끼임. 먼저 흑정 중심에 취성장(聚星障)이 생기기도 함. 궤양이 깊고 누런 색을 띠면 중한 상태로서, 흔히 황액상충(黃液上衝)을 일으킴. 흑정에 생긴 궤양이 나은 후에도 흰 흠집이 나고 그밖에 눈부심, 눈물, 깔깔한 감, 아픔 등을 수반함. 치료하지 않으면 해정(蟹睛)이 되고 시력장애가 있음.
질병처방 용뇌산(龍腦散)
탕포산(湯泡散)[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