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역(呃逆:딸꾹질) / 기타 질환

 익생양술에서 "애역(呃逆:딸꾹질)"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열격(噎膈)"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열식(噎食)"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해역(咳逆)"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흘역(吃逆)"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딸꾹질은 흔히 물이나 음식을 급히 삼켰을 때 나타나는데, 횡격막(橫膈膜)의 경련으로 성문(聲門 : 좌우 성대 사이에 있는 좁은 틈. 곧, 숨이 통하는 구멍)이 갑자기 닫히면서 소리를 내는 현상이다. 폐기(閉氣)·흘역(吃逆)이라고도 한다.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도 있으나, 간장병·적리(積痢 : 이질)를 심하게 앓을 때, 갑자기 매운 음식을 먹었을 경우에도 딸꾹질을 한다. 가벼운 딸꾹질을 멈추게 하려면 큰 소리로 놀라게 하거나 숨을 멈추고 냉수를 단숨에 마시면 된다. 그러나 심한 딸꾹질은 몇 시간 또는 며칠 동안 계속되는 경우도 있는데 많은 고통이 따르게 마련이다.
·반사성딸꾹질 : 소화기 질환(간염·위염·췌장염 등), 호흡기 질환(폐렴)과 복부 수술 뒤에 생긴다.
·신경성딸꾹질 : 뇌종양·뇌출혈·전간·히스테리 때문에 생긴다.
·중추자극성딸꾹질 : 전염성균 독소(유행성뇌염·적리 등), 물질 대사 독소(소변독증·알콜중독증·당뇨병성혼수) 등에 의해서 생긴다.
·자극성딸꾹질 : 심장 질환·종격동염(縱隔洞炎) 때 횡격막 신경이 자극을 받아 생긴다.
열격(噎膈)
계통 내상(內傷)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격열(膈噎). 격인(膈咽). 열색(噎塞). 음식을 못 넘기거나 넘겨도 위(胃)에 내려가지 못하고 곧 게우는 병증. 기혈이 휴손(虧損)된 데에 감정의 변화가 심하여 비위(脾胃)를 상해 혈액이 마르고 기가 막혀서 생긴 담(痰) 때문에 기가 오르내리지 못하고 식도가 장애받아 일어남. 목과 가슴에 막힌 감이 있고, 목이 메어 음식을 넘기기 힘들고, 넘겨도 위에까지 내려가지 못하고 곧 토함, 심하면 흉격 부위가 아프고, 여위며, 대변이 굳음. 허증(虛證)과 실증(實證)으로 나뉨. 얼굴이 황백색이고 윤기가 없으면 허한(虛寒)이고, 얼굴이 붉으며 윤택하면 실열(實熱)임. 맥은 촌구맥(寸口脈)이 대개 긴(緊)·(芤)함.
질병처방 계곡대(鷄穀袋)
과루실환(瓜蔞實丸)[2]
노우구중연(老牛口中涎)
당귀양혈탕(當歸養血湯)
마박아(馬剝兒)
방합(蚌蛤)[2]
방합분(蚌蛤粉)
삼일승기탕(三一承氣湯)[3]
신기산(神奇散)[1]
우유(牛乳)[6]
윤장고(潤腸膏)
인삼이격환(人蔘利膈丸)
자침환(紫沈丸)
저두강(杵頭糠)
정향투격탕(丁香透膈湯)
천금양비원(千金養脾元)
취건반(炊乾飯)
태창환(太倉丸)
열식(噎食)
계통 구토(嘔吐)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열격(噎膈). 반위(反胃)로 음식물을 토하는 것.
질병처방 갈호(蝎虎)
구선탈명단(九仙奪命丹)
성회산(聖灰散)
팔선고(八仙膏)
해역(咳逆)
계통 해수(咳嗽)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해수(咳嗽)하면서 기가 상역(上逆)하는 것. 해역두통과 해역구토가 있음.
질병처방 귤피죽여탕(橘皮竹茹湯)
반하생강탕(半夏生薑湯)
승명탕(升明湯)
흘역(吃逆)
계통 해수(咳嗽)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애역(呃逆). 딸꾹질. 비위허한(脾胃虛寒)으로 기가 아래서 역(逆)하고 위에서 치미는 데에 한(寒)·열(熱) 또는 기체(氣滯)·식체(食滯)가 있거나, 담수(痰水)가 심하(心下)에 머물러 쌓이거나, 갑자기 화를 내어 기역(氣逆)해 담궐(痰厥)하거나, 상한열병에 잘못 하(下)하는 등으로 생김. 또 노권으로 거듭 상하여 위중(胃中)이 허랭(虛冷)하거나, 생랭물(生冷物)이나 한제(寒劑)를 먹어 양기(陽氣)가 막혀 위로 올라오지 못해 일어남. 실증(實證) 때는 딸꾹질 소리가 힘이 있고 연속적이며, 입술과 전신에 열감이 있음. 허증(虛證)이면 3-5회, 7-8회 정도 계속하다가 멎거나 오래 계속되고, 이마에 땀이 나고, 소리는 약하며, 얼굴이 창백하고, 손발이 싸늘함. 한애(寒呃), 열애(熱呃), 기애(氣呃), 어애(瘀呃), 허애(虛呃) 등으로 나뉨.
질병처방 귤피(橘皮)[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