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생원인과 증상
위에 생긴 병증이 위점막에 이르러 궤양을 일으킨 경우이다. 때때로 밤중 또는 식후에 명치끝에 통증이 오며 어깻죽지까지 치밀 때가 있고 뒤쪽이 아플 때도 있다. 위산과다증이 있는 사람에게 많은데, 위에 염증을 일으켜 헐어서 짓무르고 결국에는 위벽에 구멍이 뚫려 복통이 심하며 토혈하는 경우도 생긴다. 반수 이상의 환자들이 구토를 한다. 피가 섞여 나오거나 강한 산성을 띠는 증상을 볼 수 있으며, 변이 검을 때는 위궤양을 의심해볼 수 있다. 심하면 위의 내용물이 복강(腹腔)으로 유출되어 급성 화농성 복막염을 일으키게 된다. 하혈·복부팽만감·토혈이 갑자기 일어난다. 여자보다는 남자에게 많고, 30~40대에서 가장 많이 일어난다. 정신적 스트레스나 알코올의 과음 등이 주요 원인이다.

계통 | 적취(積聚) / 잡병편(雜病篇) |
원인과 증상 | 심조(心阻). 가슴이 쓰리고 얼얼한 증. 폐음(肺陰)이 불충분해 간화(肝火)가 장위를 훈증하여 간위불화(肝胃不和)를 일으켰거나, 중초(中焦)에 담음(痰飮)이 있거나, 비기허한(脾氣虛寒)으로 소화가 안되어 일어남. 속이 비어 배가 고픈 것 같기도 하고 아픈 것 같기도 하며 괴롭고 답답한데, 때로 증상이 일어났다가 멎었다가 하고, 음식을 먹으면 그쳤다가 다시 일어남. 담음으로 오면 심하비만(心下痞滿)이 있고, 트림이 나고, 메스껍고, 점차 심하통(心下痛)이 나타남. 비기허한이면 신물이 올라오고, 썩은 냄새가 나는 트림을 하고, 메스껍고, 음식 냄새가 싫고, 심하비만이 있음. 위열(胃熱)로 오면 위 속이 매운 감이 있고, 냄새 나는 신물을 게움. 위한(胃寒)으로 오면 시고 멀건 물이 올라오고, 심하통이 있는데 찬 음식을 먹으면 더하며, 심복비만(心腹痞滿)이 따름. 간위불화면 신물이 올라오고 심번(心煩), 심하비만, 협통, 구고(口苦), 오심 등이 있음. |
질병처방 | 교태환(交泰丸) |
당귀보혈탕(當歸補血湯)[4] | |
반하온폐탕(半夏溫肺湯)[1] | |
삼성환(三聖丸)[1] | |
소식청울탕(消食淸鬱湯) | |
순기화중탕(順氣和中湯)[2] | |
양혈사물탕(養血四物湯) | |
연라환(連蘿丸) | |
자음건비탕(滋陰健脾湯) | |
청담환(淸痰丸) | |
출련환(朮連丸) | |
평간순기보중환(平肝順氣保中丸) | |
평위분소음(平胃分消飮) | |
화담청화탕(化痰淸火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