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행반창(天行斑瘡) / 부스럼(諸瘡)

 익생양술에서 "농가진(膿痂疹)"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천행반창(天行斑瘡)"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부스럼 딱지가 앉는 농포(膿疱 : 고름집. 물집이 곪아 고름으로 차 있음)가 주된 증상인 피부병의 총칭. 진물과 고름이 섞인 딱지가 두껍고 지저분하며 색은 누르스름하다. 포도상 구균·연쇄상 구균 등의 화농균감염으로 생긴다. 수포형·가피형(딱지형)·모낭형의 세 가지 타입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농가진이라 하면 수포형을 가리킨다. 어린아이에게 많이 발생하고 여름에 유행한다. 갑자기 얼굴이나 손발에 작고 빨간 알갱이 같은 뾰루지가 생기는데 이것이 수포가 되고 3~4일이 되면 엄지손가락 또는 달걀만큼 커진다.
·수포형 : 여름철에 갑자기 아주 작고 빨간 뾰루지가 피부에 생긴다. 3~4일이 지나면 저절로 없어진다.
·가피형 : 긁으면 터지며 진액이 흘러 금방 아문다.
·모낭형 : 다른 부분으로 옮아가 온몸으로 번지며 딱지가 생긴다. 원인은 포도상 구균이며 증상이 심하면 하루 사이에 큰 피해를 보게 된다.
천행반창(天行斑瘡)
계통 부스럼(諸瘡)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전염성이 있는 피부염으로, 전신의 피부에 고름집이 생긴 것.
질병처방 치천행반창일방(治天行斑瘡一方)[1]
치천행반창일방(治天行斑瘡一方)[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