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통 | 부인(婦人) / 잡병편(雜病篇) |
원인과 증상 | 임신심번(姙娠心煩). 임신기에 나타나는 번민(煩悶), 불안, 심계(心悸), 선경(善驚) 등 병증. 화사(火邪)가 폐에 들어가 폐음(肺陰)이 휴학되어 일어남. 포(胞)는 신(腎)에 걸려 있는데 신수(腎水)가 양태(養胎)하느라 부족해져 화(火)가 폐로 올라가 폐를 단련하기 때문임. 또 정담(停痰)이나 적음(積飮)이 있거나, 한열(寒熱)이 서로 뭉쳐 기가 막혀 펴이지 않아도 일어남. 음허(陰虛)면 오후조열과 수심번열(手心煩熱)이 있고, 혀가 짙은 홍색을 띠며 설태가 없고, 맥은 세(細)·삭(數)함. 담화(痰火)면 두훈(頭暈), 심하비만(心下痞滿), 오심, 구토 등이 있고 누런 설태가 낌. 간울(肝鬱)이면 옆구리가 그득하며 아프고, 맥은 현(弦)·삭(數)함. |
참고 | 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 |
질병처방 | 죽력탕(竹瀝湯) |
죽엽탕(竹葉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