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열(發熱) / 기타 질환
익생처방관련 약초
객열(客熱)
경열(驚熱)
내상발열(內傷發熱)
노열(勞熱)
대열(大熱)
면열(面熱)
발열(發熱)
삼초열(三焦熱)
상초열(上焦熱)
상한대열(傷寒大熱)
상한발열(傷寒發熱)
소아골증(小兒骨蒸)
소음객열(少陰客熱)
순창(脣瘡)
신열유한(身熱有汗)
실화(實火)
여창(臚脹)
음허화왕(陰虛火旺)
장열(壯熱)
조열(潮熱)
태열(胎熱)
풍열(風熱)
한열왕래(寒熱往來)
허열(虛熱)
혈열(血熱)
혈허발열(血虛發熱)
익생원인과 증상
체온이 정상보다 높아지는 증상을 말한다. 주로 식욕부진·두통·불면증·소화기능장애 등의 증세를 수반한다. 동의고전에서는 원인에 따라 발열을 외감발열과 내상발열로 나누고, 시간과 표현 형태에 따라 작열·장열·미열·발열오한·한열왕래·조열·일포조열로 나눈다. 이 밖에 열은 높지 않으나 열감이 나는 번열·내열·두열·오심번열·수족심열 등도 있다. 발열의 구체적인 원인은 다음과 같다.
·전염병이나 화농균 또는 세균에 의한 발열.
·기생충에 의한 발열.
·약물에 의한 발열.
·신경성 발열.
·일사병에 의한 발열.
·체내 세균 분열에 의한 발열.
·음허발열 : 날마다 오후나 밤만 되면 춥고, 조열(潮熱 : 밀물처럼 일정한 시간에 정기적으로 일어나는 신열)이 나는 병증. 음기가 허하여 열이 일어나는데, 여러 가지 소모성 질병 때 볼 수 있다.
객열(客熱)
계통 |
소아(小兒) / 잡병편(雜病篇) |
원인과 증상 |
(1) 외부에서 침입한 열로, 장부(臟腑)에서 생긴 것이 아니라는 뜻. 상초(上焦)의 흉격간에 열감이 있고, 입이 마르고, 심번(心煩)하고, 수족에 장열(壯熱)이 있음. (2) 상한병(傷寒病)에서 허열(虛熱)이나 가열(假熱)을 말함. |
질병처방 |
지마(脂麻)[3]
|
경열(驚熱)
계통 |
소아(小兒) / 잡병편(雜病篇) |
원인과 증상 |
소아가 전신에 열이 있으나 그다지 높지 않은 증. 열로 잘 놀라고, 또는 놀라서 열이 남. 사열(邪熱)이 심경(心經)을 치면 정신이 어지럽혀져 놀라게 됨. 상반신에 자한(自汗)이 나고, 밤에 자주 놀라며, 번조 심계하고, 불안해하며, 얼굴이 때로는 파래지고 땀이 남. |
질병처방 |
소아청심환(小兒淸心丸)
|
내상발열(內傷發熱)
계통 |
내상(內傷) / 잡병편(雜病篇) |
원인과 증상 |
내상으로 생긴 열. 음식, 노역(勞役), 칠정(七情) 등으로 음양의 균형이 깨지고 기혈이 손상되어 일어남. 대개 허증(虛證)에서 나타남. 음허발열(陰虛發熱), 양허발열(陽虛發熱), 혈허발열(血虛發熱), 기허발열(氣虛發熱) 등으로 나눔. |
질병처방 |
인삼음(人蔘飮)
|
노열(勞熱)
계통 |
화(火) / 잡병편(雜病篇) |
원인과 증상 |
허로발열(虛勞發熱). 기혈휴손(氣血虧損) 또는 음양휴손(陰陽虧損)으로 허화(虛火)가 상증(上蒸)하여 일어남. 주로 골증조열(骨蒸潮熱), 오심번열(五心煩熱) 등 영양부족증, 기혈부족증이 겸해 나타남. |
참고 |
단계심법(丹溪心法) |
질병처방 |
시호(柴胡)[3]
|
|
황자계(黃雌鷄)[6]
|
대열(大熱)
면열(面熱)
계통 |
얼굴(面) / 외형편(外形篇) |
원인과 증상 |
두열(頭熱). 두면열(頭面熱). 머리에 열감이 있는 증상. 무절제한 식사로 위(胃)의 소화작용이 잘 안되어 열독이 생겨 양명경(陽明經)을 돌다가 두면(頭面)에 와서 일어나거나, 풍화상염(風火上炎)하여 발생함. 풍화상염으로 생기면 얼굴이 붓고, 코가 자주빛이 됨. |
질병처방 |
승마황련탕(升麻黃連湯)
|
발열(發熱)
계통 |
상한(傷寒) / 잡병편(雜病篇) |
원인과 증상 |
신열(身熱). 체온이 평열(平熱)을 넘는 것으로, 많은 질병에서 나타남. 외감(外感)과 내상(內傷)으로 분류됨. 외감발열은 육음(六淫) 또는 역려기(疫癘氣)로 일어나고 실증(實證)에 속함[상한(傷寒), 온병(溫病)]. 내상발열은 음식, 칠정내상(七情內傷)으로 음양(陰陽)이 조화되지 않아 기혈(氣血)의 쇠약을 야기하거나, 또는 장부의 병변(病變)과도 유관하며, 대개 허증(虛證)에 속함. 상태, 시간에 따라 장열(壯熱), 작열(灼熱), 미열(微熱), 발열오한, 오열(惡熱), 한열왕래(寒熱往來), 조열(潮熱), 일포발열(日哺發熱) 등과 번열(煩熱), 내열(內熱), 두열(頭熱), 오심번열(五心煩熱) 등으로 나눔. 체온이 높지 않고 열상(熱象)이 조금 나타나는 것도 있음. |
질병처방 |
시호연교탕(柴胡連翹湯)
|
|
치시기황탕(梔豉枳黃湯)
|
삼초열(三焦熱)
상초열(上焦熱)
상한대열(傷寒大熱)
계통 |
상한(傷寒) / 잡병편(雜病篇) |
원인과 증상 |
상한발열(傷寒發熱). 발열은 대개 표증(表證)에 속함. 즉 한사(寒邪)가 기표(肌表)에 몰리면 주리가 속에서 닫혀 열이 남. 두액(頭額), 수족, 흉배(胸背) 등에 닿으면 아주 뜨겁게 느껴짐. |
질병처방 |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1]
|
상한발열(傷寒發熱)
계통 |
상한(傷寒) / 잡병편(雜病篇) |
원인과 증상 |
상한 때의 발열. 한사(寒邪)가 처음에는 태양경(太陽經)에 들어가 표(表)를 침범하여 기표(肌表)에 몰리고 주리가 밀폐되어 열이 남. 이마, 수족, 가슴, 등이 아주 뜨겁게 느껴짐. 땀을 안 내면 영위(營衛)가 모두 상하고 양사(陽邪)가 속에서 어지렵혀 번조(煩躁)함. 또 내상(內傷)을 끼면 맥이 세소(細小)하거나 허(虛)하고, 다리가 끝에서부터 차짐. |
참고 |
상한론태양병(傷寒論太陽病) |
질병처방 |
녹두죽(綠豆粥)
|
|
생리(生梨)[1]
|
|
석고(石膏)[7]
|
|
인삼강활산(人蔘羌活散)[2]
|
|
인시(人屎)[1]
|
|
치자(梔子)[7]
|
소아골증(小兒骨蒸)
계통 |
소아(小兒) / 잡병편(雜病篇) |
원인과 증상 |
소아의 골증열. 골증열(骨蒸熱) 참조. 대개 감병(疳病)의 여독(餘毒)으로서 뱃속에 벽괴(癖塊)가 있거나, 상한(傷寒)이 나은 후 너무 일찍 고기를 먹어서 생김. 열은 있고 오한은 없으며, 밤이면 발병했다가 자고 일어나면 도한(盜汗)이 바로 멎음. 몸이 점점 약해짐. |
질병처방 |
별(鱉)[5]
|
소음객열(少陰客熱)
계통 |
상한(傷寒) / 잡병편(雜病篇) |
원인과 증상 |
족소음신경(足少陰腎經)과 수소음심경(手少陰心經)에 열이 머물러 있는 것. 삼양경(三陽經)에서 전변(傳變)되거나, 족소음신경과 수소음심경이 직접 열사(熱邪)를 받아 생김. 또는 음허화왕(陰虛火旺)으로 생김. 신음(腎陰)의 손상으로 심화(心火)가 지나치게 성하면 야간발열, 심번불와(心煩不臥), 설강(舌絳), 구조(口燥), 맥세삭(脈細數) 등의 증상이 나타남. |
질병처방 |
감초탕(甘草湯)[1]
|
순창(脣瘡)
계통 |
구설(口舌) / 외형편(外形篇) |
원인과 증상 |
순파(脣破). 입술에 생긴 헌데. 비위울열(脾胃鬱熱)로 생김. 입술이 붓고 아프며 짓무르고 패여서 헒. |
질병처방 |
사위탕(瀉胃湯)[1]
|
신열유한(身熱有汗)
계통 |
해수(咳嗽) / 잡병편(雜病篇) |
원인과 증상 |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에서 열이 많이 나고 땀이 나면 계지탕증(桂枝湯證)임. |
참고 |
상한론(傷寒論) |
질병처방 |
귤소산(橘蘇散)
|
실화(實火)
계통 |
인후(咽喉) / 외형편(外形篇) |
원인과 증상 |
화열(火熱)이 극도로 왕성해서 생긴 실열증(實熱證). 간담(肝膽)과 위장의 실열증상 때 흔히 나타남. 장열(壯熱), 두통, 충혈, 구건(口乾), 구고(口苦), 번조(煩躁), 불안, 구갈인음(口渴引飮), 복통, 거안(拒按), 협통, 변비, 심하면 토혈(吐血), 때로 발진(發疹) 등이 있음. 혀가 홍색이고, 혓바늘이 돋고, 맥은 활삭(滑數)하며 유력(有力)함. |
질병처방 |
청량산(淸凉散)[2]
|
여창(臚脹)
계통 |
내상(內傷) / 잡병편(雜病篇) |
원인과 증상 |
명치와 배가 불러오면서 그득하고 열이 나는 것. |
참고 |
소문육원정기대론(素問六元正紀大論) |
질병처방 |
벽해수(碧海水)
|
음허화왕(陰虛火旺)
계통 |
진액(津液) / 내경편(內景篇) |
원인과 증상 |
음정휴손(陰精虧損)으로 허화(虛火)가 왕성해진 것. 번조이로(煩躁易怒), 양관조홍(兩顴潮紅), 구건인통(口乾咽痛), 성욕항진(性慾亢進) 등이 있음. |
질병처방 |
당귀육황탕(當歸六黃湯)
|
장열(壯熱)
조열(潮熱)
태열(胎熱)
계통 |
소아(小兒) / 잡병편(雜病篇) |
원인과 증상 |
신생아에게 나타나는 열증(熱證). 임신중에 여러 번 놀랐거나, 열성 음식을 과식하거나, 또는 온약(溫藥)을 잘못 먹어 속에 열이 축적되어 태기가 훈증되어 일어남. 갓난아이가 가래가 많고, 호흡이 가빠 헐떡이며, 눈을 감고, 눈이 충혈되고, 눈등이 부으며, 자주 하품을 하고, 온 몸에 장열(壯熱)이 나고, 소변이 붉고, 대변이 안 나오며, 때때로 놀라고 답답해함. |
질병처방 |
생지황탕(生地黃湯)[2]
|
|
양유방(釀乳方)[2]
|
풍열(風熱)
계통 |
한(汗) / 잡병편(雜病篇) |
원인과 증상 |
풍사(風邪)와 열사(熱邪)가 겹친 것. 발열이 중하고 오한은 경하며, 구갈(口渴)이 나고, 혀끝이 붉고, 설태는 미황색이며, 맥은 부(浮)·삭(數)함. 심하면 입안과 혀가 마르고, 눈이 충혈되고, 목이 아프고, 코피가 남. |
질병처방 |
박하(薄荷)[4]
|
|
선열단(宣熱丹)
|
|
세간명목탕(洗肝明目湯)
|
한열왕래(寒熱往來)
계통 |
허로(虛勞) / 잡병편(雜病篇) |
원인과 증상 |
갑자기 춥다가 갑자기 열이 나는 증상. 정기(正氣)와 사기(邪氣)의 다툼으로 일어남. 오한 때는 열이 없고, 열이 나면 오한이 없음. 양이 허하면 오한 뒤에 열이 나고, 음이 허하면 열이 난 뒤에 오한함. 대개 구고(口苦), 인건(咽乾), 목현(目眩), 흉협창만(胸脇脹滿), 맥허(脈虛) 등이 따르고 소양경증(少陽經證)에 나타남. |
질병처방 |
당귀(當歸)[4]
|
허열(虛熱)
계통 |
소아(小兒) / 잡병편(雜病篇) |
원인과 증상 |
음양·기혈 부족으로 나는 열. 골위(骨痿)가 생기고, 살이 타는 듯하며, 근맥이 이완되고, 혈이 마르고, 모발이 빠지고, 자한(自汗)이 나고, 호흡이 짧고, 음식을 못 먹고, 맥은 허(虛)하고 무력(無力)함. |
질병처방 |
지골피산(地骨皮散)[3]
|
혈열(血熱)
계통 |
화(火) / 잡병편(雜病篇) |
원인과 증상 |
(1) 혈분열(血分熱). 혈분에 열이 있는 것. 토혈(吐血), 육혈(衄血), 객혈(喀血), 변혈(便血), 요혈(尿血) 등 출혈 증상과 반진 또는 오후조열이 있고 여자는 월경선기(月經先期)가 나타나며 맥은 현(弦)·삭(數)함. (2) 출혈 및 빈혈에 따르는 발열. |
질병처방 |
사순청량음(四順淸凉飮)
|
|
지골피산(地骨皮散)[1]
|
|
황련(黃連)[9]
|
혈허발열(血虛發熱)
계통 |
화(火) / 잡병편(雜病篇) |
원인과 증상 |
혈허열(血虛熱). 혈허로 일어나는 노열(勞熱). 실혈과다나 음식, 노권(勞倦) 등으로 비위내상(脾胃內傷)이 악화되어 발생함. 몸에 열이 나고, 얼굴이 벌개지고, 목구멍이 마르고 구갈(口渴)이 나며, 잠을 못 잠. |
질병처방 |
당귀보혈탕(當歸補血湯)[2]
|
|
당귀보혈탕(當歸補血湯)[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