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염(乳房炎) / 산과 계통

 익생양술에서 "유방염(乳房炎)"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유방결핵(乳房結核)"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유옹(乳癰)"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유방에 생긴 염증을 말한다. 젖꼭지에 생긴 작은 상처를 통해 화농균이 침입하여 일어나는 젖샘의 염증이므로 유선염(乳腺炎)이라고도 한다. 대개 젖을 먹이기 시작하여 첫 6주 이내에 발생하는데, 갑자기 젖 먹이기를 멈추어 모유가 축적될 경우 유관이 막히거나 모유가 배출되지 않은 부위가 감염되는 것이다. 대개 유방의 한 부분에만 발생하며, 증상은 서서히 며칠에 걸쳐 나타난다. 수유 여성 10명 중 1명꼴로 발생한다.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다.
·젖샘이 부어 빨개지고 통증이 심하다.
·압통과 발적이 같이 나타나면서 유두 주변으로 퍼진다.
·발생 부위에 부종과 동통이 온다.
·심한 독감 같은 고열과 오한이 발생할 수 있다.
치료하지 않으면 유방의 염증이 서서히 악화되어 유방농양(乳房膿瘍)이라는 고름 주머니가 생기는데, 건드리기만 해도 몹시 아픈 단단한 종괴(腫塊)가 된다.
유방결핵(乳房結核)
계통 젖(乳)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유결핵(乳結核). 유핵(乳核). 유방에 생긴 만성 염증의 하나. 발육기의 허약 체질에 많으며 간양울화(肝陽鬱火), 비허(脾虛), 담탁응결(痰濁凝結)로 생김. 유방에 딴딴한 멍울이 생겨 밀면 밀리고 닿아도 아프지 않으며 살색도 변하지 않다가, 여러 달 후에 커져 피부가 약간 붉고 조금 아픔. 만성이 되어 물렁해지면 이미 곪은 것임. 터지면 묽은 고름과 비지 같은 게 나오고 누공이 생기며, 썩은 살이 잘 빠져나오지 않고 겨드랑이에 가래톳이 생김. 유로(乳?), 유암(乳癌) 등에서 나타남.
질병처방 귤엽산(橘葉散)
단자청피탕(單煮靑皮湯)
지패산(芷貝散)
청간해울탕(淸肝解鬱湯)
유옹(乳癰)
계통 제법(諸法)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유옹종(乳癰腫), 취유(吹乳). 투유(妬乳). 취내(吹嬭). 우울(憂鬱)이나 폭로(暴怒) 등으로 간(肝)이 손상되어 간기가 울결하거나, 위열(胃熱)이 응체하거나, 또는 아기가 젖꼭지를 물어 감염으로 생김. 초기엔 유방에 딴딴한 멍울이 생겨 붓고 아프며 젖이 잘 나오지 않고 오한, 발열 등의 전신 증상이 수반됨. 점차 더 딴딴해지고 크게 부으며 화끈거리고 통증이 심하며 곪음.
참고 주후방(켪後方)
질병처방 가미지패산(加味芷貝散)
곡목피(槲木皮)
과루산(瓜蔞散)
귤엽산(橘葉散)
귤피산(橘皮散)
내탁승마탕(內托升麻湯)
누로산(漏蘆散)[1]
만금일취고(萬金一醉膏)
만청(蔓菁)
묘아모(猫兒毛)
백지(白芷)[5]
비룡탈명단(飛龍奪命丹)
석고(石膏)[4]
선전화독탕(仙傳化毒湯)
신효과루산(神效瓜蔞散)
영응고(靈應膏)[1]
영응고(靈應膏)[2]
인동주(忍冬酒)
인동탕(忍冬湯)
적소두(赤小豆)[3]
지주(蜘蛛)[2]
채명단(寨命丹)
천금내소산(千金內消散)
청상엽(靑桑葉)
충위경엽(茺蔚莖葉)[2]
포공영(蒲公英)
포황초(蒲黃草)
황과루(黃瓜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