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생원인과 증상
담은 몸의 분비액이 순환하다가 어느 국소(局所 : 몸의 한 부분)가 삐거나 접질렸을 때 거기에 응결되어 결리고 아픈 증상을 말한다. 분비액이 몸 안의 순환을 원활히 하지 못하고 응결되는 증상이 심해지면 어느 부위뿐만 아니라 몸 전체를 움직이지 못하는 증상까지 초래하며, 그대로 방치하면 전신마비로까지 전개될 수 있다. 동의고전에서는 몸 안의 진액이 일정한 부위에 몰려 걸쭉하고 탁하게 된 것을 담이라 하며, 몸 안의 진액이 여러 가지 원인으로 제대로 순환하지 못하고 일정 부위에 몰려 생긴 병증을 넓은 의미에서 담음(痰飮)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걸쭉하고 탁한 것은 담이고, 묽고 맑은 것은 음이다.
·경담(驚痰) : 몹시 놀랐을 때, 담이 가슴 속에 뭉쳐 가슴이 두근거리고 몹시 아픈 증세. 히스테리의 한 가지로 여자들에게 많다.
·습담(濕痰) : 습기로 인하여 생기는 담. 희고 멀건 가래가 많이 나오고 가슴이 답답하거나 메스껍고 숨이 차며 기침을 한다. 배가 더부룩하고 설사하며 누런 기름때 같은 설태가 끼는 증상이 나타난다.
·식담(食痰) : 음식에 체하거나 나쁜 피가 맺혀 덩어리를 이루며 답답하고 퉁퉁해지는 담병. 음식이 잘 소화되지 않아 가슴이 그득하고 막힌 것 같으며 입에서 냄새가 나고 때로 설사하기도 한다.
·열담(熱痰) : 본래 담이 있는 사람이 섭생을 잘 못하거나 외감병을 잘못 치료하여 열이 속에 몰려서 생기는 병증. 화담(火痰)이라고도 한다. 몸에 열이 심하고 얼굴이 충혈되며 눈이 짓무르고 목이 잠긴다. 가래가 누러면서 걸쭉하고 뱉어도 잘 나오지 않으며 번열증이 나고 가슴이 두근거리며 입이 마르고 대변이 굳다.
·조담(燥痰) : 조사로 폐의 진액이 줄어들어 생긴다. 목구멍과 입 속이 마르고 해소가 나며 숨이 차는 병이다. 울담(鬱痰)이라고도 한다. 가래양은 적고 색은 희며 때로 작은 알갱이 같은 것이 잘 뱉어지지 않는다.
·주담(酒痰) : 술을 많이 마셔 생긴 담증을 말한다. 술은 열과 습을 성하게 하는 성질이 있어 담을 잘 생기게 한다. 술을 마신 이튿날 음식이 당기지 않고 가래가 심하며 신물을 토하는데, 술을 마시면 심해진다.
·풍담(風痰) : 풍증을 일으키는 담 또는 풍증으로 말미암아 생기는 담을 말한다. 담이 간경에 몰려 생긴다. 어지럽고 눈앞이 캄캄해지며 얼굴색이 검푸르고 가슴이 답답하며 옆구리가 그득한 감이 있다. 멀건 가래에 거품이 섞여 나오는 경우가 많다.
·한담(寒痰) : 본래 담이 있는데다 한사를 받거나 한습이 성해서 생기는 담병이다. 냉담(冷淡)이라고도 한다. 팔다리가 차고 마비되어 근육이 군데군데 뭉쳐 쑤시고 아프다. 멀건 흰 가래가 나오고 숨이 차며 기침이 나고 목 안이 가렵다. 때로 오한이 나면서 열이 나고 머리가 아프다. 다리와 무릎에 맥이 없고 나른하며 등과 허리가 뻣뻣하고 아프며 뼈마디가 시리고 저리다.
담궐(痰厥)
계통 | 담음(痰飮) / 내경편(內景篇) |
원인과 증상 | 담이 성해서 일어나는 궐증(痰盛氣厥). 한담(寒痰)이 심포에서 헤매고 수도(隧道)가 통하지 않아서 생김. 목에 가래가 끓고, 담연(痰涎)으로 숨이 거칠고, 사지가 궐랭(厥冷)하고, 혼미(昏迷)하고, 설태는 백니(白膩)하고, 맥은 현활(弦滑)함. |
참고 |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 |
질병처방 |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3] |
청화화담탕(淸火化痰湯) | |
학정단(鶴頂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