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서(伏暑) / 서(暑)

 익생양술에서 "이질(痢疾)"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복서(伏暑)"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법정 전염병의 한 가지이다. 하리(下痢)·적리(赤痢)·이점(痢漸)·이증(痢症) 등 여러 가지 이름이 있으며, 마른 콧물이나 고름처럼 흐들흐들한 곱이 나오는 것이 창자를 씻어 내는 것과 같다 하여 장벽(腸癖·腸澼)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배가 아프고 속이 켕기면서 뒤가 잦고 당기고 무직하며 곱이나 피고름이 섞인 대변을 자주 누는 병증이다. 항문이 벌어져서 오므라들지 않고 통증과 함께 고열이 나는 증세를 보인다. 주로 부패한 음식물, 소화되기 어려운 음식물, 불결한 음료수, 익지 않은 과일 등을 먹었을 때 생기며, 폭음·폭식 또는 기생충이나 알레르기 등에 의해서도 생기고, 배가 차가울 때 많이 일어난다. 12시간에서 3일 정도의 잠복기를 거쳐 열·설사·복통·혈변 등의 전형적인 이질 증세를 보이거나 설사를 주증세로 보이는 경우도 있다. 동의보감에 따르면 이질은 설사와는 달라서 농이 나오기도 하고 피가 나오기도 한다. 또 통증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도 있다. 공통된 점은 모두가 속이 급하고 뒤가 무겁다는 점이다.
·아메바성이질 : 이질 아메바의 경구(經口) 감염으로 생기는 전염병. 열대·아열대 지방에 많다. 대장 점막에 특유한 궤양이 새기고 점혈변(粘血便)의 설사가 며칠 동안 계속된다. 재발하기 쉽다.
·세균성이질 : 이질균의 경구 감염으로 생기는 급성 전염병. 급작스러운 발열과 복통에 이어 점액·혈액이 섞인 설사를 하는 것이 특징이다.
·바이러스성이질 : 유행성이며 심한 물 설사를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에 의한 이질.
·금구리(噤口痢) : 이질로 말미암아 입맛이 없어져서 음식을 먹지 못하는 병.
·냉리(冷痢) : 한냉습(寒冷濕)으로 혈액 순환의 장애를 일으켜 생긴 이질.
복서(伏暑)
계통 서(暑)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복기온병(伏氣溫病)의 하나. 먼저 독사(毒邪)를 감수했는데 이어 풍한(風寒)에 갇혀 점점 속으로 들어가 삼초(三焦), 장위간(腸胃間)에 잠복해 가을이나 겨울에 발병함. 곽란토사, 또는 이질설사, 복통이 있거나 학질로 한열왕래(寒熱往來)가 있음. 또 번갈(煩渴)하고 열담(熱痰)이 많거나, 안팎으로 열이 나고 번조(煩躁)하며 자한(自汗)이 남. 서독(暑毒)이 깊이 들어가면 헛소리를 하고, 번갈(煩渴)하며, 옷을 벗으려 하고, 대변이 굳고, 소변은 붉고 껄끄러우며, 메스껍고, 하혈(下血)이 있기도 함. 발병 시기에 따라 복서추발(伏暑秋發), 만발(晩發), 복서상한(伏暑傷寒), 동월복서(冬月伏暑) 등이 있음. 또, 사기(邪氣)가 반표반리에 잠복한 것과 영분(營分)에 있는 것의 2종으로 나뉨.
참고 의학입문(醫學入門)
질병처방 계령감로산(桂苓甘露散)
소서원(消暑元)
주증황련환(酒蒸黃連丸)[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