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훈(眩暈) / 적취(積聚)

 익생양술에서 "현훈(眩暈)"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현훈(眩暈)"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가끔 눈앞이 아찔아찔하여 별이 보이면서 어지러운 증세를 가리킨다. 현기(眩氣)·두훈(頭暈)·어지럼증·어질증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외감이나 내상으로 간·비·신의 기능장애로 생긴다. 현(眩)은 눈앞이 아찔해지는 것이고, 훈(暈)은 머리가 핑핑 돌아가는 듯한 자각 증상을 나타낸 것이다. 그러므로 현훈을 목현(目眩)·두훈이라고도 하는 것이다. 어지럼증은 누구나 일상생활에서 피로·긴장·충격·멀미·스트레스·수면부족 등이 올 때 흔히 겪는 증상이다. 그러나 문제는 증상이 매일 계속되거나 수주에서 수개월 동안 반복적으로 발작하는 경우이다. 심하면 정상적인 생활을 하기가 매우 어렵다. 또 어지럼증이 있을 때 안구진탕(眼球震盪 : 눈동자가 왔다갔다하는 현상)이나 구역질·구토·발한·이명·난청 등의 증상을 동반할 수 있다. 어지럼증은 흔한 만큼 그 원인이 다양하므로 빨리 그 원인을 알아내는 것이 치료의 지름길이다. 어지럼증은 동맥경화·고혈압·저혈압과 같은 심장 혈관 계통의 질병, 각종 빈혈·백혈병과 같은 혈액 질병, 머리의 외상과 그 후유증, 뇌염·뇌종양과 같은 중추 신경 계통의 질병, 갑상선기능저하·저혈당·간성혼수 같은 내분비 및 대사성 질병, 내이염을 비롯한 이비인후과 질병, 그 밖에 약물 중독 및 부작용 등과 같은 많은 질병에서 볼 수 있다.
현훈(眩暈)
계통 적취(積聚)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두혼목현(頭昏目眩)하고 훈궐(暈厥)하는 것. 대개 간(肝)·비(脾)·신(腎)의 기능장애로 일어남. 심하면 핑 돌아서 쓰러지고 가슴이 막히며 구토가 일어남. 원인에 따라 상풍현훈(傷風眩暈), 중서현훈(中暑眩暈), 풍열현훈(風熱眩暈), 한습현훈(寒濕眩暈), 담화현훈(痰火眩暈), 기울현훈(氣鬱眩暈), 기허현훈(氣虛眩暈), 상습현훈(傷濕眩暈), 혈허현훈(血虛眩暈), 간사현훈(肝邪眩暈) 등으로 나눔.
참고 소문지진요대론(素問至眞要大論)
질병처방 궁신탕(芎辛湯)
궁출탕(芎朮湯)
방풍산(防風散)[1]
연라환(連蘿丸)
천궁산(川芎散)[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