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질환]성장발육촉진(成長發育促進) / 소아 질환

 익생양술에서 "[소아질환]성장발육촉진(成長發育促進)"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감리(疳痢)"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감질(疳疾)"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냉감(冷疳)"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냉열감(冷熱疳)"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소아기병(小兒鬾病)"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오감(五疳)"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사람이 성장하는 시기는 태아로부터 시작하여 영아기(생후 2주~1세), 유아기(2~5세), 아동기(6~12세)를 거쳐 소년기(13~18세)까지 지속된다. 성장 속도가 가장 빠른 시기는 신생아부터 1세까지이며, 1세 이후부터는 성장 속도가 느려진다. 각 개인의 성장은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유전적 특성과 생활 습관의 복잡한 상호 관계에 의해 결정된다. 물론 고열량·고영양가의 음식 및 약제가 필요하며, 특히 유아기에는 성장 촉진을 위한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
감리(疳痢)
계통 소아(小兒)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감질(疳疾)에 이질이 겹친 것. 위장이 허약한 데에 날것이나 찬것을 잘못 먹어 생김. 감질 증상에 배가 아프고, 항문이 열려 아물지 않고, 이급후중(裏急後重)이 있고, 피곱똥이 그치지 않고, 잘 낫지 않으며 오래 감.
참고 병명휘해(病名彙解)
질병처방 계자(鷄子)[9]
마치현(馬齒莧)[7]
목향원(木香元)
암순(䳺鶉)
감질(疳疾)
계통 소아(小兒)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감증(疳證). 감병(疳病). 소아가 여러가지 만성질환으로 몸이 여위고 진액이 고갈하는 증. 소아의 기혈이 부족한 데에 젖이나 음식 부절로 비위(脾胃)가 손상 받아서 생김. 또 아이의 젖이 모자라 너무 일찍 밥을 먹여 그 형기를 모상(耗傷)하거나, 토사나 중병 후 역독(疫毒), 기생충, 육음(六淫) 등으로 생김. 5세 미만의 아이에서 나타남. 얼굴이 누렇고 여위며 윤기가 없고, 헛배가 부르고, 배에 정맥노장이 있고, 불안해서 잘 욺. 영양불량, 만성 소화불량에서 나타나며, 오래되면 발육이 장애되고, 정기가 약해져 잡병이 겹침. 증상에 따라 감열(疳熱), 감사(疳瀉), 감갈(疳渴), 감리(疳痢), 감종창(疳腫脹) 등이 있으로 분류함. 부위에 따라 뇌감(腦疳), 안감(眼疳), 구감(口疳), 아감(牙疳), 척감(脊疳), 비감(鼻疳) 등으로 분류함. 또 오장 및 병인, 병리에 따라 간감(肝疳), 심감(心疳), 비감(脾疳), 폐감(肺疳), 신감(腎疳), 감로, 회감(蛔疳) 등으로 분류함.
참고 전씨소아약증직결(錢氏小兒藥證直訣)
질병처방 비아환(肥兒丸)
십미노회환(十味蘆薈丸)
냉감(冷疳)
계통 소아(小兒)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감증(疳證)이 오래되어도 잘 낫지 않는 것. 소아가 비위(脾胃)가 허약한 데에 한사(寒邪)가 침입해 뱃속이 허랭(虛冷)하고 운화작용이 안되어 발생함. 얼굴과 눈이 붓고, 복창(腹脹)이 있고, 대변이 활설(滑泄)하고 기름기가 있으며, 번갈(煩渴)하고, 몸이 누렇게 야윔.
참고 병명휘해(病名彙解)
질병처방 목향환(木香丸)
사군자환(使君子丸)
지성환(至聖丸)
냉열감(冷熱疳)
계통 소아(小兒)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1) 열감과 냉감. 열감의 원인은 외감사(外感邪)이고, 냉감은 내상(內傷)임. 보통 감(疳)이 새로 생기면 열감, 오래된 것은 냉감이라고 함. 열감은 코밑의 짓무름, 두창습양(頭瘡濕痒), 오심번열(五心煩熱), 구갈냉음(口渴冷飮), 번조(煩躁), 기와(嗜臥), 두열(頭熱), 족랭(足冷), 조열(潮熱) 등이 있음. 냉감은 활설부지(滑泄不止), 오색리(五色痢), 지체연약(肢體軟弱), 면려목종, 음식부진 등의 증상이 있음. (2) 한열이 교대로 있는 감병.
참고 유과증치준승(幼科證治準繩)
질병처방 여성환(如聖丸)
소아기병(小兒鬾病)
계통 소아(小兒)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소아계병(小兒繼病). 기병(鬾病). 아우 타는 병. 젖이 떨어지기 전에 어머니가 임신하여 영양이 태원(胎元)을 양육하느라 젖이 묽어 영양불량으로 생김. 한열(寒熱)이 오가면서, 안색이 누렇고 몹시 여위며, 기운이 없고, 배만 부르고 팔다리는 가늘며, 머리카락이 별로 없고, 매사에 즐거워하지 않고, 설사가 조금씩 남.
질병처방 용담탕(龍膽湯)[2]
오감(五疳)
계통 소아(小兒)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오장감(五臟疳). 심감(心疳) 또는 경감(驚疳), 간감(肝疳) 또는 풍감(風疳), 비감(脾疳) 또는 곤감(滾疳), 폐감(肺疳) 또는 기감(氣疳), 신감(腎疳) 또는 급감(急疳) 등을 말함.
참고 소아약증직결(小兒藥證直訣)
질병처방 소감환(消疳丸)
연담환(連膽丸)
오감소식원(五疳消食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