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토피성피부염(태열:胎熱) / 피부과 계통

 익생양술에서 "아토피성피부염(태열:胎熱)"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각슬위약(脚膝痿弱)"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두창(頭瘡)"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완선(頑癬)"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우피선(牛皮癬)"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유전성과민증(아토피성 질환)의 하나이다. 천식성양진(喘息性痒疹)이라고도 한다. 어머니가 임신 중에 입덧이 너무 심해서 무심코 매운 음식을 많이 먹었다거나, 술을 많이 마셨다거나, 병이 나서 더운 성분의 약을 많이 복용했다거나, 주변 상황이 나빠서 마음이 편치 않았다거나 하는 여러 가지 경우에 생긴 많은 열들이 탯줄을 타고 태아에게 전달되었다가 태어나자마자 또는 일정 시간이 지난 다음 갑자기 얼굴·머리·몸에 열꽃이 피는 것을 말한다. 태중(胎中)의 열로 인한 증상이므로 태열(胎熱)이라고도 한다. 고질적인 습진성 피부병 가운데 하나로 가려움증이 심해서 긁다 보면 피부 이곳저곳이 상처 투성이가 되면서 피가 맺히고 진물까지도 나게 된다. 심한 가려움과 전형적인 피부 병변을 특징으로 하는 비특이성 염증성 피부 질환으로 흔한 소아의 알레르기 피부 질환이다.태열이라는 용어는 한의학에서 쓰는 용어이며, 서양 의학에서는 아토피성피부염이라고 한다.특징은 다음과 같다.
·얼굴에 좁쌀 같은 빨간 피진(皮疹)이 먼저 생기며 귀의 뒤쪽, 팔다리의 오금, 발목, 손목 등 온몸으로 퍼져 나간다.
·피부가 건조하고 가려워져서 긁게 되면 쉽게 피부가 감염되고 결막염이 반복된다.
·태열로 인한 탈모증도 생길 수 있다.
·아토피 증상은 알레르기성 비염·천식 혹은 축농증과 같은 다른 형태의 알레르기로 발전하게 된다.
원인은 다음과 같다.
·유전 : 부모 양쪽이 아토피 피부염 환자일 경우 아이가 아토피 환자가 될 확률은 80% 정도이며, 한쪽 부모가 환자일 경우 확률은 50% 정도이다.
·계란·우유·콩 등 주로 단백질 섭취가 많으면 잘 생긴다.
·집 안의 먼지(진드기·곰팡이·꽃가루·털실, 대기 오염 물질 등) 때문에, 또한 봄철에는 삼나무나 버드나무의 꽃가루 때문에 더 심해질 수 있다.
·피부가 건조한 사람은 겨울에 증세가 더 심해진다.
각슬위약(脚膝痿弱)
계통 족(足)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양 다리가 여위어서 힘이 없고 움직이지 못하는 증상. 삼양·삼음병(三陽·三陰病), 편고(偏枯) 때 볼 수 있음. 기허(氣虛)로 습열(濕熱)을 물리치지 못하면 대근(大筋)은 연약하여 짧아지고, 소근(小筋)은 이완되어 길어져 마음대로 수축할 수 없게 됨.
질병처방 가미사근원(加味四斤元)
건보환(健步丸)
사제창백환(四製蒼柏丸)
신귀자음환(神龜滋陰丸)
우슬(牛膝)[5]
두창(頭瘡)
계통 소아(小兒)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1) 두부(頭部) 습진. (2) 태독(胎毒). 나았다가 도지곤 하여 뿌리뽑기가 어려움.
질병처방 백압(白鴨)[2]
완선(頑癬)
계통 부스럼(諸瘡)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상반신에 생긴 선(癬)으로 옴과 비슷하며 좀처럼 낫지 않고 꼬집어도 아픈 것을 모름. 풍(風)·습(濕)·열(熱)이 피부에 침습해 오랫동안 막혀서 풍이 성해지고 충(蟲)으로 변해 일어남. 끊임없이 가렵다가 경계가 뚜렷한 둥근 홍반(紅斑)이 나타나서 둘레가 조금 도드라지고 그 위에 작은 구진, 물집이 생김. 긁으면 아프지 않고, 표면에 비늘이 생기고 피부가 두터워지며, 색소 침착이 일어나고, 소양감이 심함.
질병처방 근수피(槿樹皮)
조근환(皂根丸)
우피선(牛皮癬)
계통 부스럼(諸瘡)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완선(頑癬). 섭령창(攝領瘡). 피부가 발작적으로 가려워 자주 긁어 소가죽처럼 점차 두터워지는 병증. 풍습열(風濕熱)이 피부를 침습하여 막혀서 오래되면 풍이 성해져 충(蟲)으로 바뀌고 피부에 선(癬)이 생김. 대개 성인의 목에 발생하고 팔꿈치, 무릎 뒤쪽, 회음, 대퇴 안쪽에도 생김. 처음에는 몹시 가렵고 긁으면 홍반이 생기며, 간혹 갈색의 구진이 생겨 가렵고 긁으면 인설이 떨어지며 융합해서 편평한 구진이 되어 태선(苔癬) 모양이 되고 피부색은 변치 않거나 담갈색이고 경계가 뚜렷함. 경과가 만성적이고, 재발하여 피부가 점차 두터워짐. 밤이면 소양감이 심하며, 정서 상태와 유관함. 임상에서 국한성과 범발형으로 나눔.
질병처방 갈묘고(蝎猫膏)
구피혜저(久皮鞋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