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란(霍亂) / 유행병(流行病)

동의보감에서만 "곽란(霍亂)"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곽란(霍亂)
계통 |
유행병(流行病) / 잡병편(雜病篇) |
원인과 증상 |
갑자기 크게 토하고 사(瀉)하는 증상. 중기(中氣)가 본래 허한 데에 칠정(七情)에 내상하거나, 육음(六淫)을 외감하거나, 혹은 음식에 상하거나, 악기(惡氣) 오독(汚毒)을 맞거나, 양열(陽熱)이 밖으로 통하지 못하거나, 음한(陰寒)이 안에 잠복하여 일어남. 심복창통(心腹脹痛), 증한장열(憎寒壯熱), 두통현훈 등이 따름. 먼저 가슴이 아픈 후 토하거나, 토한 후 배가 아프고 설사하거나, 또는 심복(心腹)이 모두 아프고 토사가 교대로 일어나며 맥이 홍대(洪大)함. 손발이 따뜻하면 쉽게 낫고, 손발이 싸늘하면 낫기 어려움. 만약 양기(陽氣)가 쇠절(衰絶)하여 혀가 말리고 음낭이 수축되면 죽음. 열곽란, 한곽란, 건곽란, 임신곽란, 산후곽란 등이 있음. |
질병처방 |
감란수(甘爛水)[2]
|
|
계령백출산(桂苓白朮散)
|
|
과저묵(鍋底墨)
|
|
노화(蘆花)
|
|
백출후박탕(白朮厚朴湯)
|
|
삼유음(蔘薷飮)
|
|
소산(小蒜)[1]
|
|
수근(水芹)[5]
|
|
우분(牛糞)
|
|
이향황련산(二香黃連散)
|
|
익원산(益元散)[2]
|
|
임금(林檎)[2]
|
|
청서육화탕(淸暑六和湯)
|
|
침향온위환(沈香溫胃丸)
|
|
태을신정단(太乙神精丹)
|
|
향유(香薷)[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