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하증(帶下症) / 부인과 계통

 익생양술에서 "대하증(帶下症)"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대하(帶下)"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오색대하(五色帶下)"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적백대하(赤白帶下)"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대하는 농성·혈성·점액성 등 원인에 따라 증세가 다르나, 여성의 분비액이 많아져 적색·백색·무색 등의 대하가 질(膣) 밖으로 흘러내리는 현상을 말한다. 임산부의 경우 무색이거나 백색의 대하는 염려하지 않아도 되지만, 적색 대하는 반드시 치료해야 한다. 흔히 몸 안의 냉한 기운이나 월경·유산 또는 임신중절 수술 등의 원인에 의하여 자궁 안에 상처가 생겨 화농균에 감염되거나 자궁발육부전·정신장애 등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대하가 오래 계속되면 가려움증·습진 등 부작용이 있을 수도 있다.
·백대하 : 질에서 허연 분비물이 흐르는 대하증.
·적대하 : 질에서 피가 섞인 붉은 분비물이 흐르는 대하증.
대하(帶下)
계통 포(胞)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1) 대(帶). 여성의 성기에서 흘러나오는 분비물. 월경 전, 배란기, 임신기 외에 비정상적으로 많거나 수반 증상이 있으면 병적임. 병적인 것은 비허(脾虛), 신허(腎虛), 간울(肝鬱), 습열(濕熱) 등으로 생김. 색깔, 양, 성상, 냄새 등이 증상에 따라 다름. (2) 옛날에 부인과 질병을 총칭한 것.
질병처방 금백저피환(芩柏樗皮丸)
만리어(鰻鱺魚)[1]
복룡간(伏龍肝)[1]
상목이(桑木耳)[1]
상실각(橡實殼)
수근(水芹)[2]
애엽(艾葉)[2]
자부환(煮附丸)
작육(雀肉)[2]
잠퇴지(蠶退紙)[1]
종려피(棕櫚皮)
치대하일방(治帶下一方)
오색대하(五色帶下)
계통 포(胞)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습독대하(濕毒帶下). 여성 성기에서 나오는 여러 색의 대하. 습열(濕熱)이 하초(下焦)에 훈증되고 적체되어 독으로 변해 쌓여서 충임맥(衝任脈)을 손상해 생김. 악취가 나고 오랫동안 가려우며 소변단적(小便短赤), 구고인건(口苦因乾) 등이 따름.
질병처방 별갑(鱉甲)[1]
복룡간산(伏龍肝散)
온청음(溫淸飮)
지유산(地楡散)[2]
향부산(香附散)[1]
적백대하(赤白帶下)
계통 포(胞)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습독대하(濕毒帶下). 여성의 음문에서 희고 붉은 점액이 흐르는 것. 간기울결(肝氣鬱結)이 비(脾)를 침범하고 충맥(衝脈)·임맥(任脈)·대맥(帶脈)에 습열(濕熱)이 하주(下注)해서 생김.
참고 성제총록(聖濟總錄)
질병처방 고련환(苦楝丸)
교맥면(蕎麥麵)
녹각교(鹿角膠)[2]
녹용(鹿茸)[3]
대계(大薊)
모려(牡蠣)[3]
백작약산(白芍藥散)
백지(白芷)[1]
산장초(酸漿草)[1]
소계(小薊)[1]
오령지(五靈脂)
온제두두방(溫臍兜肚方)
우각새(牛角鰓)[1]
익모초(益母草)[1]
저근백피(樗根白皮)[1]
지유(地楡)[2]
촉규화(蜀葵花)[1]
포황(蒲黃)[2]
황구두골(黃狗頭骨)[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