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감상한(兩感傷寒) / 상한(傷寒)

 익생양술에서 "열병(熱病)"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양감상한(兩感傷寒)"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높은 열을 수반하는 질병으로서, 외감(外感) 열성 질병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열성병(熱性病)·양병(陽病)이라고도 한다. 발열과 함께 두통·불면증·식욕부진 등의 증세가 따른다.
·백합증(白合症) : 급성 열병을 앓고 난 뒤 조리를 잘못하여 식욕부진ㆍ불면증ㆍ한열왕래(寒熱往來) 등이 오며 오줌이 불그스름하고 약도 먹는 대로 토해 버리는 병증이다.
·열창(熱脹) : 열로 인해 복부가 부풀어오르는 증상을 말한다. 술이나 기름진 음식에 의해 습열이 중초에 몰리거나 기울이 화로 변하여 생긴다. 입이 마르고 찬 것을 즐기며 대변이 굳고 오줌은 벌겋다.
양감상한(兩感傷寒)
계통 상한(傷寒)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육경맥 중 각기 표리 관계에 해당되는 양경(陽經)과 음경(陰經)에 상한의 병증이 동시에 나타나는 것. 즉 태양경(太陽經)과 소음경(少陰經), 양명경(陽明經)과 태음경(太陰經), 소양경(少陽經)과 궐음경(厥陰經)에 동시에 상한의 증상이 나타남.
질병처방 대강활탕(大羌活湯)[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