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질(痔疾) / 외과 계통

 익생양술에서 "치질(痔疾)"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구치(久痔)"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기치(氣痔)"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오치(五痔)"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장치(腸痔)"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장풍(腸風)"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주치(酒痔)"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치(痔)"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혈치(血痔)"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항문의 안팎에 생기는 병이다. 넓은 의미에서는 치루(痔漏)·치핵(痔核)·치열(痔裂) 따위도 치질의 일종이다. 항문 근처가 부어 올라 아프고 가려우며 변을 보기가 거북하고 출혈이 생겨 심하면 걷거나 앉기도 힘든 경우이다. 항문 주위의 혈관인 치정맥에 압력이 가해지면서 혈관이 늘어나고 확장되어 혈액 순환 장애와 울혈 증상이 생기는 것이 주요 원인이다. 오래 방치하면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못하여 치핵이라는 혹이 생긴다. 항문 속에 치핵이 생기는 것을 암치질, 항문 끝 부근에 생기는 것을 수치질이라 한다. 통증이 심하다.
·외치(外痔) : 항문 밖으로 두드러져 나오는 치질을 말한다. 일명 모치(牡痔)·외치핵(外痔核) 또는 수치질이라 한다. 속에는 피멍이 응고되어 있다. 동의보감에는 항문 둘레에 구슬같이 생긴 군살이 오톨도톨 돋아 있고 때때로 피고름이 섞여 나온다 하였다. 항문 주위에 푸른색의 치핵 결절이 한 개 또는 여러 개 있다. 항문 부위에 이물감과 가려운 감이 있다. 벌겋게 붓고 아프며 곪아 터져 피가 나오고 누가 생기기도 한다. 하루 종일 앉아서 일하는 사람, 습관적으로 배변 시간이 긴 사람, 변비 환자, 폭음·절식하는 사람 등에서 발생 빈도가 높다.
·내치(內痔) : 항문 속에 나는 치질이다. 내치핵 또는 암치질이라고도 한다. 항문 안쪽에 콩알 크기에서 밤알 크기의 결절이 한 개 또는 여러 개 생기는데, 붉은색 또는 푸른 보라색을 띤다. 뒤를 본 후에 피가 자주 나오고 때로 치핵 결절이 항문 밖으로 빠져 나오는데 몹시 아프다. 빠져 나온 것을 제때에 항문 안으로 밀어 넣지 않으면 썩어 떨어져 피가 심하게 나며 치루나 항문옹이 생기기도 한다. 오래 방치하여 악화된 내치핵은 궤양·천공·미란으로 발전하여 크고 작은 출혈로 빈혈성 혼수 상태가 오며 탈항으로까지 발전할 수 있다.
·치루(痔瘻) : 항문 또는 직장 부위에 작은 구멍이 생기고 고름 또는 묽은 똥물이 새어나오는 증세이다. ‘치루’난에 별도로 처방하였다.
·치핵(痔核) : 항문 및 직장의 정맥이 울혈에 의해 항문 둘레에 혹과 같은 결절상의 종창을 이룬 치질을 가리킨다. 질환·임신·변비 등이 원인이다.
·치열(痔裂) : 항문 부위의 점막이 찢어져 쉽게 낫지 않는 난치성 궤양이 된다.
·근혈(近血) : 빈혈의 하나. 항문 근처에서 피가 나오는 병증을 말한다. 주로 치질·치루·치열·식육치(瘜肉痔 : 직장 안에 군살이 생긴 병증) 등 항문·직장에 생긴 병으로부터 생기는 경우가 많다.
구치(久痔)
계통 후음(後陰)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오래 되어도 잘 낫지 않는 치질. 장부(臟腑)에 열독(熱毒)이 오래 쌓였다가 대장(大腸)으로 유주(流注)해 생김. 항문 부위가 부어 아프고 가려움. 피고름이 나오면 잘 낫지 않거나, 나았다가도 재발함.
질병처방 복령면(茯苓麵)
기치(氣痔)
계통 후음(後陰)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근심, 두려움, 분노 등이 있을 때마다 기의 흐름이 저해되어 바로 종통(腫痛)이 생기는 치질. 항문종통, 대변곤란, 변혈(便血), 때로 탈항(脫肛) 등이 따름. 성내거나 기분이 나쁘면 증상이 더 심해짐.
질병처방 가미향소산(加味香蘇散)
오치(五痔)
계통 후음(後陰)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모치(牡痔), 빈치(牝痔), 장치(腸痔), 맥치(脈痔), 기치(氣痔) 등 5종의 치질. 이외에 혈치(血痔), 누치(瘻痔), 주치(酒痔) 등이 있음.
질병처방 괴각원(槐角元)
괴실(槐實)[4]
괴화(槐花)[2]
만리어(鰻鱺魚)[6]
상목이(桑木耳)[2]
신응산(神應散)
신응흑옥단(神應黑玉丹)
여어(蠡魚)[2]
오배자(五倍子)[6]
오치산(五痔散)
위피(蝟皮)
이육(狸肉)[1]
저현제(猪懸蹄)[1]
즉어(鯽魚)[4]
호수자(胡荽子)[1]
장치(腸痔)
계통 후음(後陰)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항문 안에 멍울이 생긴 치질. 습열(濕熱)이 항문에 맺혀 생김. 아프고, 오한 발열이 나고, 때로 피가 나오며, 항문이 뒤집혀 나옴.
참고 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
질병처방 노봉방(露蜂房)[4]
여어(蠡魚)[2]
진교창출탕(秦艽蒼朮湯)
총백(蔥白)[12]
장풍(腸風)
계통 후음(後陰)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장풍변혈(腸風便血). 풍사(風邪)가 경맥으로부터 들어와 장위(腸胃)에 머물거나, 장위간에 습열(濕熱)이 울적(鬱積)해 일어남. 대변을 보기 전에 물을 쏟듯이 선홍색 피가 나옴. 복중동통(腹中疼痛)이 있기도 하고, 항문이 붓고 아프기도 하며, 혀가 짙은 홍색을 띠고, 맥은 삭(數)함.
참고 수세보원(壽世保元)
질병처방 가감사물탕(加減四物湯)[1]
가미괴각환(加味槐角丸)
괴목상이(槐木上耳)
괴실(槐實)[4]
괴화(槐花)[2]
괴화산(槐花散)[3]
괴황탕(槐黃湯)
괴황환(槐黃丸)
궁귀환(芎歸丸)
단홍원(斷紅元)
당귀화혈탕(當歸和血湯)
대수목상기생(大樹木上寄生)
목적(木賊)[2]
백엽탕(柏葉湯)
사과산(絲瓜散)[2]
상목이(桑木耳)[2]
야저육(野猪肉)
오배자(五倍子)[6]
옥설환(玉屑丸)
위피(蝟皮)
작약황련탕(芍藥黃連湯)
장풍흑산(腸風黑散)
저근백피(樗根白皮)[3]
전홍원(剪紅元)
지혈산(止血散)
청영괴화음(淸榮槐花飮)
향부산(香附散)[2]
황련탕(黃連湯)[3]
주치(酒痔)
계통 후음(後陰)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음주 과다로 습열(濕熱)이 대장에 하주(下注)해서 생긴 치질. 술을 마실 때마다 도짐. 치창(痔瘡)이 항문에 생겨 아프고, 때때로 출혈함.
질병처방 건갈탕(乾葛湯)
나복(蘿蔔)[3]
치(痔)
계통 후음(後陰)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치핵(痔核). 치질. 항문의 안팎에 작은 군살이 생긴 것. 본래 습열(濕熱)이 있는 데에 기름진 음식을 과식하거나 취한 후 성교하여 근맥(筋脈)이 풀리고 정기(精氣)가 탈설(脫泄)하여 열독(熱毒)이 유주(流注)해 들어와서 생김. 또는 무거운 짐을 지거나, 부인들이 출산 때 힘을 과도히 썼거나, 음허화성(陰虛火盛)하여 생김. 항문 안팎에 크고 작은 결절이 생겨 가렵거나 배변 때에 아프고 출혈함. 또 항문 밖으로 빠져나오기도 함. 가끔 화끈거려 아프고 대변비(大便秘), 소변불리(小便不利)도 있음.
질병처방 가미괴각환(加味槐角丸)
고치방(枯痔方)
괴목상이(槐木上耳)
백지(白芷)[4]
삼신환(三神丸)[3]
수마산(水馬散)
오공유(蜈蚣油)[1]
오공유(蜈蚣油)[2]
와우산(蝸牛散)[1]
우비(牛脾)
전라고(田螺膏)[1]
조장환(釣腸丸)
축어탕(逐瘀湯)
흑지황환(黑地黃丸)
혈치(血痔)
계통 후음(後陰)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내치(內痔)의 하나. 대변볼 때마다 쏘듯이 맑은 피가 나오는 암치질. 평소에 습열(濕熱)이 속에 쌓이거나, 열성 음식을 과식하거나, 한 자리에 오래 앉아있어 혈행불량(血行不良), 변비 등으로 탁기(濁氣)와 어혈이 항문에 몰려서 생김.
질병처방 계관화(鷄冠花)
목적(木賊)[2]
야저육(野猪肉)
저근백피(樗根白皮)[3]
즉어(鯽魚)[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