납매(納呆) / 유행병(流行病)

 익생양술에서 "위하수(胃下垂)"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납매(納呆)"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위가 정상 위치보다 아래로 처지는 증상이다. 일반적으로 여성에게 많은데, 원인은 선천성 이상이나 개복 수술·출산에 의한 복강압(腹腔壓 : 뱃속의 압력) 저하 등에 있다. 또한 습관적으로 물에 밥을 말아 먹어도 위하수가 올 수 있다. 신경질적이고 무기력하며 피로를 잘 느낀다. 흔히 밥을 먹고 난 뒤에 헛배가 부르고 팽만감이 일어나며 압박감과 함께 명치끝이 아프다. 변이 고르지 못하며 밥맛이 없고 두통과 현기증이 생기며 답답하고 윗배에서는 물 소리가 들린다.
·도포증(倒飽症) : 먹은 음식물이 다 삭아 내릴 만한 뒤에도 소화가 되지 않고 배가 부르며 토할 것 같은 증상이다. 위가 늘어나거나 처져서 생긴다. 위학이나 위하수증에서 나타난다. 비타민 B군이나 칼슘의 부족, 백설탕의 과다 섭취 등도 위벽을 이루는 근육을 이완시켜 이 병을 유발하며 정신 불안증도 발병을 촉진시킨다.
납매(納呆)
계통 유행병(流行病)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위납매체(胃納呆滯). 위(胃)가 음식을 받아들이는 기능이 장애된 것. 체기(滯氣)나 비위(脾胃)의 기능장애로 중초(中焦)에 습담(襲痰)이 몰리는 등으로 생김. 먹은 것이 소화되지 않고, 배가 늘 더부룩하며, 입맛이 없고, 전신이 나른해짐.
질병처방 순(蓴)[2]
영출탕(苓朮湯)[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