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식(喘息) / 호흡기 계통

 익생양술에서 "천식(喘息)"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구천(久喘)"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기허천급(氣虛喘急)"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상한천촉(傷寒喘促)"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천급(喘急)"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폐기상역(肺氣上逆)"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폐창(肺脹)"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폐허천급(肺虛喘急)"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기관지에 경련이 일어나는 병이다. 폐기(肺氣)가 창만해서 기침을 하고 가슴이 답답하며 숨이 차다 하여 폐창(肺脹)이라고도 한다. 천식의 3대 증상은 기침·호흡곤란·천명이다. 천명(喘鳴)은 숨이 차면서 가래가 끼어 목에서 끓는 소리가 나는 것을 말한다. 천식이 오면 심한 기침으로 인해 고통스럽고 숨이 가쁘며 가래가 심하다. 숨을 쉴 때는 그르렁그르렁 소리가 난다. 심하면 안색이 창백해지고 잠을 잘 수가 없으며 앉아서 숨을 쉬게 된다.
·구천(久喘) : 잘 낫지 않고 오래도록 계속되는 숨이 가쁜 증상이다.
·기천(氣喘) : 숨은 가쁘나 가래가 끓는 소리는 없으며 심하면 코를 벌름거리면서 숨을 쉰다.
·담천(痰喘) : 가래가 끓어서 숨이 찬 증상이다. 숨이 가쁘고 기침을 하며 가래 끓는 소리가 나고 걸쭉한 가래가 나오는데 잘 뱉어지지 않는다.
·수천(水喘) : 심장병·신장병 등으로 인하여 생기는 숨이 찬 병이다. 얼굴과 온몸이 붓고 오줌이 잘 나오지 않는다.
·습천(濕喘) : 습으로 인하여 생긴 숨이 찬 증상이다. 숨이 차서 입을 벌리고 숨을 쉰다.
·신허천(腎虛喘) : 신이 허해서 생긴 숨찬 증상이다. 숨이 가쁜 증세가 오래 지속되며, 내쉬는 숨보다 들이쉬는 숨이 더 힘들고 움직이면 더 심해진다.
·열천(熱喘) : 폐에 열이 성해서 생긴 숨찬 증상이다. 담이 기도를 막아 숨이 가쁘면서 누런 가래가 많이 나온다.
·위허천(胃虛喘) : 위가 허해서 숨이 찬 증상이다. 어깨를 들썩거리며 몹시 숨가빠한다.
·음허천(陰虛喘) : 음이 허해서 오는 숨찬 증상이다. 조열(潮熱)·도한(盜汗)·객담(喀痰) 같은 증상을 일으키며, 천식이 심하다.
·종천(腫喘) : 부종이 따르는 천식을 말한다.
·폐허천(肺虛喘) : 폐가 허해서 생긴 숨찬 증상이다. 오랜 병이나 심한 기침으로 생긴다. 기침이 잦으며 말소리와 기침 소리가 낮다.
·풍한천(風寒喘) : 풍한사(風寒邪)가 폐에 침범하여 생긴 숨찬 증상이다. 숨이 차고 호흡이 곤란하여 기침이 많이 나오며 가래는 묽다.
·화천(火喘) : 담화나 충맥의 화가 폐에 치밀어 생긴 숨찬 증상이다. 숨가쁜 증세가 때때로 발작하며 음식을 먹으면 좀 덜해진다. 간혹 피가래를 뱉으며 가만히 있으면 숨쉬기가 편안하고 움직이면 숨이 더 차다.
구천(久喘)
계통 해수(咳嗽)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잘 낫지 않고 오래 끄는 천증(喘證). 오랜 기침으로 폐기(肺氣)가 허한 데에 담(痰)이 생겨 폐규(肺竅)를 막아 생김. 발작하면 기침하고 숨이 차며, 기침에 담이 섞여 나옴.
질병처방 금불환산(金不換散)
납전산(蠟煎散)
단인삼탕(單人蔘湯)
소나조환(小蘿皂丸)
인삼반하환(人蔘半夏丸)
인삼윤폐환(人蔘潤肺丸)
인삼자완탕(人蔘紫菀湯)
기허천급(氣虛喘急)
계통 해수(咳嗽)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기허천(氣虛喘). 기허로 일어나는 천급. 폐에 화사(火邪)가 침범하거나, 또는 오랜 병으로 원기가 부족하여 일어남. 호흡이 급촉(急促)해 잘 이어지지 않고, 자한(自汗)이 나고, 몸이 노곤하여 기운이 없고, 목소리가 낮고 미약함.
참고 병인맥치(病因脈治)
질병처방 단인삼탕(單人蔘湯)
상한천촉(傷寒喘促)
계통 상한(傷寒)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상한 때 일어나는 천증(喘證). 태양병(太陽病) 때 두통, 발열, 요통, 전신의 관절동통, 오풍(惡風), 한불출(汗不出), 기침 등이 있고 구갈은 없음.
질병처방 오미자탕(五味子湯)[2]
천급(喘急)
계통 해수(咳嗽)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천식(喘息). 헐떡거리며 호흡이 급촉한 상태를 말함. 폐신(肺腎)이 허한 데에 화(火)가 상역(上逆)해 기가 내려가지 못하여 일어남. 실천(實喘)은 폐가 사기(邪氣)를 외감(外感)해 기도(氣道)가 막혀서 일어나고, 허천(虛喘)은 신원(腎元)이 휴손(虧損)되어 신기(腎氣)가 받아들여지지 않아 올라와 폐로 나가서 폐가 기충(氣衝)이 되어 스스로 다스리지 못해 일어남. 발작하면 대개 기침이 나고 목에 담명(痰鳴)이 없이 숨찬 것을 주증으로 함. 숨이 몹시 차서 코를 벌름거리고 어깨를 들먹이며 반듯이 눕지 못함. 실천은 갑자기 나타나며, 가슴이 불러오고, 호흡이 거칠고, 숨소리가 큼. 허천은 천천히 나타나고, 병후나 오랜 기침 후에 일어나며, 맥이 허하고, 몸이 노곤하고, 천식할 때 황창(慌脹)하며 기가 약하고 소리도 낮음.
질병처방 목향분기환(木香分氣丸)
분기음(分氣飮)
상백피(桑白皮)[4]
욱리인(郁李仁)[5]
인삼(人蔘)[7]
인삼호도탕(人蔘胡桃湯)
자소자(紫蘇子)
자완용탕(紫菀茸湯)
정력산(葶藶散)
정력자(葶藶子)[2]
해금사산(海金砂散)[3]
행삼산(杏蔘散)[2]
호도(胡桃)[1]
폐기상역(肺氣上逆)
계통 해수(咳嗽)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폐기가 위로 치밀어 오르는 병증. 폐가 풍한(風寒)을 외감(外感)하면 폐기가 통창(通暢)하지 못하고 위로 거슬러 올라 생김. 해수(咳嗽), 기촉(氣促), 담다(痰多), 흉격창민(胸膈脹悶) 등이 나타남.
질병처방 단육(貒肉)[1]
보폐산(補肺散)
사백산(瀉白散)
사백산우방(瀉白散又方)
폐창(肺脹)
계통 해수(咳嗽)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1) 천해(喘咳)의 하나. (2) 창병(脹病) 때 가슴이 그득하고 기침이 나면서 숨이 찬 증. 담(痰)이 어혈을 껴서 기기(氣機)를 조애(阻碍)해 일어남. 또는 풍한(風寒)이 폐 속에 막혀 내보내지 못하거나, 수음(水飮)이 불화(不化)해 폐기(肺氣)가 내려가지 못하거나, 신허(腎虛)로 신수(腎水)가 폐에 미치지 못해 일어남. 움직이면 천만(喘滿)하고 호흡이 급하여 숨쉬기 힘듦. 또는 상기(上氣)해 붓고 어깨를 들먹이며 숨을 쉼. 물이 들어가면 토하기도 하고, 마른 기침을 하기도 하고, 바로 눕지 못하고, 숨이 헐떡거려 코가 벌름거리기도 함.
질병처방 월비탕(越婢湯)[1]
폐허천급(肺虛喘急)
계통 폐장(肺臟)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폐허천(肺虛喘). 폐가 허해서 생긴 천증(喘證). 오랜 병, 심한 기침으로 폐기(肺氣), 폐음(肺陰)이 부족하여 생김. 기천(氣喘), 소기(少氣), 호흡곤란 및 폐신음허(肺腎陰虛)와 폐비양허(肺腎陽虛)나 비신양허(脾腎陽虛) 증상이 따름.
질병처방 마두령(馬兜鈴)[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