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동불안(胎動不安) / 부인(婦人)

 익생양술에서 "유산·조산(流産·早産)"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태동불안(胎動不安)"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임신 기간은 수태로부터 분만까지 283일로 계산한다. 그 안에 태아가 죽어서 나오거나(유산), 달이 차기 전에 해산하는 경우(조산)를 말한다. 임신 제28주 이전에 태아가 몸 밖으로 배출되는 일을 유산이라 하는데, 대부분 태아가 죽어서 나오며, 살아서 나오는 경우에도 거의 죽게 된다. 또 임신 29주 이후부터 38주 미만 사이의 분만을 조산이라 하는데, 이 시기에는 일반적으로 신생아의 발육이 가능하다. 자궁에 이상이 있거나 육체적·정신적으로 심한 충격을 받았을 때 발생한다. 3회 이상 유산이 되는 것을 습관성 유산이라 하는데, 원인을 찾아서 치료해야 한다.
·습관성유산 : 자궁의 발육부전·기형·위치 이상, 만성자궁내막염, 당뇨, 만성신장염, 매독, 과도한 성교, 알코올중독, 니코틴중독, 정신불안, 영양장애, 허약체질 등이 원인이 되어 많이 일어난다. 유산을 피하려면 무거운 짐 운반, 장거리 여행, 심한 운동을 피하고 정신적인 안정과 충분한 영양 섭취를 해야 한다. 또한 유산의 기미가 있으면 안정을 취하고 전문의의 조치를 받도록 한다.
·취생유산(醉生流産) : 별 이상도 없는데 태아가 달이 차기 전에 죽어서 나오는 경우를 일컫는다.
·타태(墮胎) : 임신 3개월 이후에 저절로 태아를 모체 밖으로 배출하는 경우이다. 즉 자연 유산·자연 조산을 말한다. 반산(半産)·소산(小産)이라고도 하며, 한편으로는 유산의 의미도 있다.
·활태(滑胎) : 임신 때마다 거의 같은 시기에 연속해서 두 번 이상 유산 또는 조산되곤 하는 것을 말한다.
·사태(死胎) : 태아가 뱃속에서 이미 죽어서 나오는 경우이다.
태동불안(胎動不安)
계통 부인(婦人)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임신중절이 되려 할 때의 초기 증상 즉 가벼운 소복통, 요통, 소량의 자궁출혈이 있는 병증. 충임맥(衝任脈)이 허해 수태(受胎)가 부실(不實)하여 일어남. 또는 음주나 성교 과도로 태원(胎元)이 상했거나, 칠정(七情)이 펴이지 않아 혈맥을 상하여 발생함. 임신중에 갑자기 태아가 움직이고 복중교통(腹中絞痛)과 하추감(下墜感)이 있으며 심하면 소량의 자궁출혈이 있음. 기가 허하면 신경쇠약, 소기(少氣), 나언(懶言) 등이 나타남. 혈이 허하면 얼굴이 약간 누렇고, 정신이 피로하며, 기운이 없음. 신(腎)이 허하면 현기증, 이명(耳鳴), 요통, 요삭(尿數) 등이 있음. 혈열(血熱)이면 번열(煩熱), 구갈(口渴), 심번(心煩) 등이 있음. 외상으로 일어나면 요산(腰酸), 소복창통(小腹脹痛)이 따름.
참고 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
질병처방 가미양영환(加味養榮丸)
감죽근(甘竹根)
교애궁귀탕(膠艾芎歸湯)
내보환(內補丸)
당귀기생탕(當歸寄生湯)
당귀지황탕(當歸地黃湯)[3]
독성산(獨聖散)[3]
두속환(杜續丸)
불수산(佛手散)[3]
불수산(佛手散)[4]
소교애탕(小膠艾湯)
안태산(安胎散)[1]
안태음(安胎飮)
애엽(艾葉)[6]
저근(苧根)[2]
지모환(知母丸)
총백(蔥白)[18]
총백탕(蔥白湯)[2]
총죽(蔥粥)
치태동일방(治胎動一方)[1]
치태동일방(治胎動一方)[2]
황금탕(黃芩湯)[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