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수부족(腎水不足) / 신장(腎臟)

 익생양술에서 "이롱·난청(耳聾·難聽)"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신수부족(腎水不足)"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이롱이란 소리를 듣지 못하는 병증이고, 난청은 청력(聽力)이 저하되어 소리를 잘 듣지 못하는 병증이다. 다만 동의 고전에는 귀가 먹어서 들을 수 없는 것을 이롱무문(耳聾無聞), 소리를 잘 듣지 못하는 난청을 이롱이라고도 하였다. 이롱 및 난청의 원인은 다양하여 귀를 후비거나 사고로 귀를 다친 경우, 고열이나 홍역·성홍열 등의 합병증으로 중이염이 생겨 속귀(內耳)까지 장애가 발생하여 심한 난청이 되는 경우, 태어날 때부터 들리지 않거나 듣기가 어려운 경우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전음성난청(傳音性難聽) : 바깥귀에서 가운뎃귀 사이에 장애가 있는 경우이다. 그 장애가 바깥귀에서 가운뎃귀까지가 고작이어서 증상이 비교적 가볍거나 중간 정도이므로 거의 알아차리지 못하고 방치되는 경우가 많다.
·감음성난청(感音性難聽) : 속귀에서 뇌 사이에 장애가 있는 경우이다. 특히 신경을 써야 하는 것은 날 때부터 귀가 들리지 않거나 듣기 어려운 경우이다.
신수부족(腎水不足)
계통 신장(腎臟)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신음부족(腎陰不足). 신음허(腎陰虛). 하원휴손(下元虧損). 신허(腎虛)의 하나. 색욕과도, 노권내상(勞倦內傷), 오랜 병으로 신정(腎精)이 지나치게 소모되어 일어남. 요산피로(腰酸疲勞), 두훈(頭暈), 이명(耳鳴), 유정(遺精), 조루(早漏), 구건인통(口乾咽痛), 양관조홍(兩顴潮紅), 오심번열(五心煩熱), 또는 오후 조열(潮熱) 등이 있음. 혀는 홍색을 띠고 설태는 없으며, 맥은 세(細)·삭(數)함.
질병처방 가감팔미환(加減八味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