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광염(膀胱炎) / 비뇨기 계통

 익생양술에서 "방광염(膀胱炎)"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기림(氣淋)"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소변불통(小便不通)"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신산(腎疝)"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요폐(尿閉)"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융폐(癃閉)"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임(淋)"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임폐(淋閉)"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포비(胞痺)"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하초열(下焦熱)"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세균에 감염되거나 자극성 음식물·감기·변비 등으로 인하여 방광 점막에 생기는 염증을 말한다. 오줌이 자주 마렵고 오줌을 눌 때 몹시 아프며 오줌 색깔이 탁하다. 또 열이 나며 소변을 참을 수 없어 하루에도 몇 번씩 오줌을 누고 밤중에는 이런 현상이 더욱 심하다. 특히 결혼한 여성들에게 많으며, 세균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간혹 신경성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기림(氣淋)
계통 소변(小便)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기륭(氣癃). 오림(五淋)의 하나. 비(脾)·신(腎)이 허해 방광에 열이 생겨 일어남. 아랫배가 창만하고, 음낭이 붓고 아프며, 소변이 껄끄럽고 잘 통하지 않으며 통증이 있음. 비위(脾胃)의 기가 허하면 소변을 본 후에도 한두 방울 떨어지고 아픔. 허증(虛證)은 아랫배가 처져 내려가는 듯하고, 배뇨에 힘이 없음. 실증(實證)은 기가 막혀 소변이 잘 통하지 않고, 배뇨통이 심하고, 아랫배가 창만하면서 아픔.
질병처방 침향산(沈香散)
침향음(沈香飮)[1]
통비산(通秘散)
소변불통(小便不通)
계통 소변(小便)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소변폐(小便閉). 융폐(癃閉) 참조. 기허(氣虛), 혈허(血虛)나 열(熱)·담기(痰氣)로 수도(水道)가 막힌 것임. 방광열 때문이거나, 비습(脾濕)으로 비기의 운행이 안되면 정(精)이 상승하지 못하여 폐가 수(水)를 생성하지 못하거나, 기체(氣滯)로 수도를 통윤(通潤)하지 못하거나, 분노로 기가 맺혀 수도를 막을 수도 있음. 소변삽체(小便澁滯)로 동통이 있는 것, 배뇨가 잘 안되고 소량인 것, 방광배뇨근 마비로 소변이 폐지된 것 등이 있음.
질병처방 가미오령산(加味五苓散)[1]
견우자(牽牛子)[2]
구인즙(蚯蚓汁)[1]
규자탕(葵子湯)
난발회(亂髮灰)[2]
누고(螻蛄)[1]
도기제조탕(導氣除燥湯)
도적원(導赤元)
만전목통산(萬全木通散)
복령(茯苓)[2]
선기산(宣氣散)
우뇨(牛尿)
자신환(滋腎丸)
저담(猪膽)[1]
저령(猪苓)
저령탕(猪苓湯)[1]
지부자탕(地膚子湯)[1]
지부초(地膚草)[1]
청폐산(淸肺散)[1]
통관산(通關散)[1]
통관환(通關丸)
투천산(透泉散)
신산(腎疝)
계통 전음(前陰)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신경(腎經)과 관련된 산증(疝證). 신이 허한(虛寒)한 데에 기가 몰려 일어남. 배꼽 아래의 한 부분이나 전체가 갑자기 찌르듯이 아프며, 소변이 잦고 맑음. 오맥(五脈)이 모두 홍완(洪緩)·색침하며 허(虛)한데 신맥만이 급하지 않음.
질병처방 귤핵(橘核)[2]
요폐(尿閉)
계통 소변(小便)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소변불통(小便不通). 소변이 방울방울 떨어지거나 거의 나오지 않는 증. 방광열(膀胱熱)이나 폐조(肺燥)로 수(水)를 생성하지 못해 기화가 안되거나, 비습(脾濕)으로 운화가 안되어 정(精)이 오르지 못하고 폐가 수를 생성하지 못하거나, 신수조열(腎水燥熱)로 방광이 불리(不利)하거나, 기가 막혀 수도(水道)가 통조(通調)되지 않거나, 심화(心火)가 성해 소장에 열이 많거나, 분노로 기가 맺혀서 일어남.
질병처방 해금사(海金砂)
융폐(癃閉)
계통 소변(小便)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융(癃). 폐륭(閉癃). 요폐(尿閉). 소변이 임력(淋瀝)하고 하복부가 창만(脹滿)하는 증후. 어혈(瘀血)로 생기면 심한 경우 오심구토, 기천(氣喘), 의식장애 등이 있음. 방광습열(膀胱濕熱)로 생기면 소변이 잘 나오지 않고 황적색을 띠며, 하복부가 그득하고 딴딴하며, 입안이 씀. 폐열(肺熱)로 생기면 구조(口燥), 인건(咽乾)이 따름. 신허(腎虛)나 방광외상(膀胱外傷)으로 생기면 소변이 임력하고 때로 잘 나오지 않으며, 하복부가 찌르는 듯이 아픔. 중기허약(中氣虛弱)으로 생기면 전신이 노권하고, 배뇨에 힘이 없으며, 숨이 차고, 어지러움.
질병처방 견우자(牽牛子)[2]
구맥(瞿麥)[3]
석위(石韋)[2]
울금황련환(鬱金黃連丸)
차전초(車前草)[2]
팔정산(八正散)
임(淋)
계통 소변(小便)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임력(淋瀝). 소변이 방울방울 떨어지는 병증. 하초(下焦)의 습열(濕熱)이 방광에 몰리거나, 신기(腎氣)가 허해서 방광의 기화(氣化) 작용이 장애되어 생김. 노인, 허약인은 중기하함(中氣下陷)으로 일어남. 원인과 증후에 따라 기림(氣淋), 노림(勞淋), 혈림(血淋), 고석림(膏石淋), 냉림(冷淋) 등으로 분류됨. 소변이 급박하며 양이 적고 빈번하며 삽통(澁痛)이 있음.
질병처방 사신탕(瀉腎湯)
석위산(石韋散)
제림통치약일방(諸淋痛治藥一方)
필효산(必效散)[1]
임폐(淋閉)
계통 부종(浮腫)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요폐(尿閉). 소변이 안 나오는 증.
질병처방 삼화신우환(三花神祐丸)[2]
포비(胞痺)
계통 소변(小便)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포비증(胞痺症). 방광비(膀胱痺). 방광기능약화. 대개 방광은 진액을 간직하고 기화(氣化)하는데 사기(邪氣)가 이 기능을 약화시켜 수기(水氣)가 돌지 않고 비축되면 열이 되고 쌓여서 일어남. 노인들에서 음허천갈자(陰虛泉竭者)가 많이 앓음. 아랫배가 창만(脹滿)하고 동통(疼痛)이 나는데 손으로 누르면 덜하며, 소변이 잘 안 나오고, 멀건 콧물이 흐름.
질병처방 온신탕(溫腎湯)
파극환(巴戟丸)[2]
하초열(下焦熱)
계통 화(火)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하초의 축열증(蓄熱症). 명문화(命門火)가 성해져 방광에 열이 생겨 일어남. 대개 요혈임폐(尿血淋閉), 소변적삽(小便赤澁), 대변비결(大便秘結), 혹은 소변불리(小便不利) 등이 나타남.
질병처방 방풍당귀음자(防風當歸飮子)
오령산(五苓散)[2]
입효산(立效散)[8]
좌금환(佐金丸)
황백환(黃柏丸)
회금환(回金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