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혈(尿血) / 비뇨기 계통
익생처방관련 약초
부인요혈(婦人尿血)
소변적삽(小便赤澁)
소변적탁(小便赤濁)
요혈(尿血)
적탁(赤濁)
혈림(血淋)
익생원인과 증상
오줌에 피가 섞여 나오는 병증이다. 혈뇨(血尿)라고도 한다. 덩어리 피(응혈 : 凝血)에서부터 현미경으로 보아야 알아낼 수 있는 정도까지 출혈량과 형태는 여러 가지이며, 병변의 정도와 위치에 따라 다르다. 방광이나 신장의 종양에서는 출혈을 하다가 때때로 멎는 수도 있으며, 방광 내의 결석이나 유주신(遊走腎 : 신장의 고정이 불충분하여 누웠을 때보다 섰을 때에 두드러지게(5cm 이하) 신장이 아래로 이동하는 신하수증) 등은 대개 몸을 많이 움직인 후에 출혈량이 많아진다. 사구체신염(絲球體腎炎)이나 신장 결핵 등에서도 요혈이 나타난다.
·오줌을 눌 때 처음과 마지막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경우는 주로 요도의 질환으로, 임균(淋菌)에 의한 요도염인 경우이다.
·피가 구별 없이 섞여 나오는 경우는 신장과 방광의 질환으로, 방광결석·방광염·신결석·신염·신종양 등으로 인한 경우이며, 자주 요의를 느끼고 오줌을 눌 때 통증이 따른다.
·그 외 약물 중독·외상·담낭염·맹장염·췌장염 등이 원인일 수도 있다.
부인요혈(婦人尿血)
계통 |
혈(血) / 내경편(內景篇) |
원인과 증상 |
임신소변불리(姙娠小便不利). 노역(勞役)으로 심화(心火)가 동하여 열이 소장(小腸)으로 옮겨지거나, 후미(厚味)로 생긴 열이 소장에 쌓이거나, 간경혈열(肝經血熱)이나 비열(脾熱)이 방광에 스며들어 기화작용이 장애를 받아 일어남. 먼저 소변이 나온 후에 피가 섞여 나오고 구갈(口渴), 심번(心煩)이 따름. |
질병처방 |
당귀산(當歸散)[1]
|
소변적삽(小便赤澁)
소변적탁(小便赤濁)
계통 |
혈(血) / 내경편(內景篇) |
원인과 증상 |
적탁(赤濁). 요혈(尿血). (1) 요탁(尿濁)의 하나. 소변이 흐리고 벌건 증. 심혈(心血)이 허하거나, 하초(下焦)에 습열(濕熱)이 몰릴 때 생김. (2) 외뇨도에 늘 피가 섞인 혼탁물이 조금씩 나오는 증. 소변볼 때 작열감이 있고 소변색은 붉지 않음. |
질병처방 |
가미청심음(加味淸心飮)
|
|
금련환(金蓮丸)
|
|
녹각교환(鹿角膠丸)[1]
|
요혈(尿血)
적탁(赤濁)
계통 |
허로(虛勞) / 잡병편(雜病篇) |
원인과 증상 |
소변적탁(小便赤濁). 소변이 붉고 혼탁한 증. 요혈(尿血)과 같음. 사려 과도로 심경(心經)에 열이 있거나, 주색(酒色)이나 노권(勞倦)으로 진음(眞陰)이 모상(耗傷)되거나, 양약(凉藥)을 복용하여 생김. 배뇨시 따갑고 화끈거리며, 소변이 붉고 소량임. |
질병처방 |
구원심신환(究原心腎丸)
|
혈림(血淋)
계통 |
소변(小便) / 내경편(內景篇) |
원인과 증상 |
임증(淋症)의 하나. 소변이 껄끄럽고 아프면서 피가 섞여 나오는 증. 열이 성해 혈을 쳐서 혈이 상도(常道)를 벗어나 소장(小腸)을 거쳐 포중(胞中)으로 하주(下注)해 소변과 함께 나옴. 또 혈허(血虛), 하원허랭(下元虛冷), 어혈정축(瘀血停蓄) 등으로 일어남. 하원이 허랭하면 배뇨시에 동통이 심하지 않고, 소변이 담홍색이며, 맥이 허삭(虛數)함. 혈랭(血冷)이면 얼굴이 마르고 희며, 척맥(尺脈)이 침지(沈遲)함. 혈열(血熱)이면 소변이 나올 때 따갑고 아프며, 혈이 선홍색임. 혈어(血瘀)면 아랫배가 딴딴하고, 소변이 나올 때 요도가 칼로 찌르는 듯이 아프고, 혈이 선홍색이고, 맥이 유력(有力)함. |
참고 |
의학입문(醫學入門) |
질병처방 |
금황탕(金黃湯)
|
|
소계음자(小薊飮子)[2]
|
|
증미도적산(增味導赤散)
|
|
치자(梔子)[4]
|
|
황금(黃芩)[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