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통 | 소아(小兒) / 잡병편(雜病篇) |
원인과 증상 | 촬구(撮口). 금풍(噤風). 풍축(風搐). 칠일구금(七日口禁). 사륙풍(四六風). 칠일풍(七日風). 신생아 파상풍. 주로 탯줄을 너무 짧게 자르거나 잘 묶지 않아서 풍랭(風冷), 수습(水濕)이 침습해 심비(心脾)로 흘러들어가서 생김. 배가 불어나고 배꼽이 부으며, 몸이 무겁고, 팔다리가 잘 움직여지지 않으며, 밤낮으로 욺. 심하면 풍축이 되어 이를 악물고, 작은 자극에도 눈썹을 움직여 이마를 찡그리고, 경련성으로 웃어대고 경련이 자주 일어 심할 때는 온 몸에 강직성 경련이 있음. 중증이면 얼굴이 창백하고 호흡이 급박하며 사망하기도 함. |
질병처방 | 갈초산(蝎梢散)[2] |
금오산(金烏散) | |
백강잠(白殭蠶)[3] | |
백묵산(柏墨散) | |
선풍산(宣風散)[1] | |
오통고(五通膏) | |
조기익황산(調氣益黃散) | |
향라고(香螺膏) | |
호분(胡粉)[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