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실금(尿失禁) / 비뇨기 계통

 익생양술에서 "요실금(尿失禁)"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방광허한(膀胱虛寒)"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소변불금(小便不禁)"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유뇨(遺尿)"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임신소변불금(妊娠小便不禁)"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포기불고(胞氣不固)"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오줌을 무의식적으로 싸는 상태를 말한다. 오줌흘리기라고도 한다. 괄약근(括約筋 : 벌어진 것을 오므라지게 하는 근육)에 이상이 있는 경우, 대뇌 중추의 기능 장애나 깊은 잠으로 대뇌의 억제가 잘 되지 않는 경우, 복강 내의 압력이 급히 상승한 경우 등에 일어난다. 재채기·기침·달리기·줄넘기를 할 때, 앉아 있다가 일어날 때 소변이 새어 나오는 증상으로, 심하면 조금만 걸어도 요실금이 있고 대변을 실례하는 변실금까지 발생한다. 이는 모두가 자궁·방광·항문을 지키는 골반저 근육이 약해져서 생긴다. 산후 조리를 못한 경우, 또는 홧병·하복부 냉병·방광염이 있거나, 자궁 적출 수술을 받은 경우 등, 대개 여성들에게 많은 질병이다. 음모 부위 뼈인 치골에서 꼬리뼈에 이르는 근육을 골반 근육이라 하는데, 이 근육은 자궁·질·직장·방광을 받쳐 주는 구조물로, 분만을 하거나 나이가 들어 이 근육의 힘이 약해지면 요실금이 발생한다.
방광허한(膀胱虛寒)
계통 방광(膀胱)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방광의 기능장애로 생긴 유뇨증(遺尿證). 노인, 허약자의 경우와 병후에 신양(腎陽)이 허한 데에 한사(寒邪)를 감수해 방광의 결속 능력을 상실해 생김. 다리 안의 근육이 당기고, 복통, 전근(轉筋), 편고(偏枯), 요통, 외과후통, 이롱(耳聾) 등이 있음.
질병처방 기제환(旣濟丸)[1]
백자인(栢子仁)[2]
오약(烏藥)[2]
소변불금(小便不禁)
계통 소변(小便)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실수(失溲). 소변실금(小便失禁). 소변을 참지 못하여 저절로 나오는 증. 신기(腎氣) 부족으로 하초(下焦)가 허한(虛寒)하면 소변이 무의식적으로 나오고 색이 엷음. 폐(肺)·비(脾)의 기가 부족하여 수액을 통섭하지 못하면 아랫배가 불러오르면서 무직하고 언제나 아래고 처지는 감이 있으며, 배뇨에 힘이 없고, 소변이 방울방울 떨어짐. 방광의 화사(火邪)가 망동(妄動)하면 소변이 잦으며 때때로 저절로 나오고 황적색을 띰. 간울(肝鬱)이면 배가 팽팽히 불어나며, 소변이 소량이나 급박하여 심하면 저절로 나옴.
참고 천금요방(千金要方)
질병처방 가구자원(家韭子元)
기제환(旣濟丸)[1]
기제환(旣濟丸)[2]
대토사자원(大兎絲子元)
비원단(秘元丹)[2]
비해(萆薢)[1]
삼기탕(蔘芪湯)[3]
오자원(五子元)
용향원(茸香元)
익지인(益智仁)[2]
축천원(縮泉元)
유뇨(遺尿)
계통 소변(小便)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1) 야뇨증(夜尿症). 3세 후에도 잠자리에 오줌을 누는 병증. (2) 요실금(尿失禁). 요부절(尿不節)을 볼 것. 신(腎)·소장·방광 3경의 기허(氣虛), 폐허(肺虛), 하초허한(下焦虛寒) 등으로 생김. 또 간경(肝經)의 습열(濕熱)이 방광에 영향을 주어도 생김. 잠들고 2-3시간 후 자리에 오줌을 눔. 찬 날씨나 몸이 차면 더 심함.
질병처방 계장(鷄腸)
모려분(牡蠣粉)[4]
비해(萆薢)[1]
상표소(桑螵蛸)[3]
상표소산(桑螵蛸散)[2]
양두(羊肚)
우슬(牛膝)[1]
웅계비치이황피(雄鷄鼻痔裏黃皮)
저포(猪脬)
평보원(平補元)
임신소변불금(妊娠小便不禁)
계통 부인(婦人)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임신유뇨(遺尿). 임신부가 소변을 참지 못하고 저절로 나오는 병증. 방광열(膀胱熱)로 생기면 심번(心煩)이 있고 소변이 붉은색을 띰. 폐기허(肺氣虛)로 생기면 아랫배가 당기고 창만함. 간신음허(肝腎陰虛)로 생기면 전신노권, 무기력, 불면, 심번이 따름.
참고 부인양방(婦人良方)
질병처방 상표소(桑螵蛸)[4]
포기불고(胞氣不固)
계통 소변(小便)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방광의 기가 허약해 소변을 조절하지 못하는 것. 방광과 신(腎)은 표리 관계에 있어 포기허(胞氣虛)는 신양허(腎陽虛)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 소변임력(小便淋瀝), 소변불금(小便不禁), 잘 때 소변자리(小便自利) 등 증상이 있음.
질병처방 기제환(旣濟丸)[2]
대토사자원(大兎絲子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