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궤양(胃潰瘍) / 소화기 계통

 익생양술에서 "위궤양(胃潰瘍)"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식비(食痺)"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식상(食傷)"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위완옹(胃脘癰)"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위완통(胃脘痛)"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위풍(胃風)"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조잡(嘈雜)"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위에 생긴 병증이 위점막에 이르러 궤양을 일으킨 경우이다. 때때로 밤중 또는 식후에 명치끝에 통증이 오며 어깻죽지까지 치밀 때가 있고 뒤쪽이 아플 때도 있다. 위산과다증이 있는 사람에게 많은데, 위에 염증을 일으켜 헐어서 짓무르고 결국에는 위벽에 구멍이 뚫려 복통이 심하며 토혈하는 경우도 생긴다. 반수 이상의 환자들이 구토를 한다. 피가 섞여 나오거나 강한 산성을 띠는 증상을 볼 수 있으며, 변이 검을 때는 위궤양을 의심해볼 수 있다. 심하면 위의 내용물이 복강(腹腔)으로 유출되어 급성 화농성 복막염을 일으키게 된다. 하혈·복부팽만감·토혈이 갑자기 일어난다. 여자보다는 남자에게 많고, 30~40대에서 가장 많이 일어난다. 정신적 스트레스나 알코올의 과음 등이 주요 원인이다.
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계통 내상(內傷)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비위허한(脾胃虛寒)으로 일어난 위통(胃痛). 공복시에 더욱 심해지고, 배부르고 따뜻이 하면 완화됨. 사지가 무겁고, 적게 먹으며, 대변이 굳고, 맥은 세(細)·침(沈)하며 무력(無力)함.
질병처방 곡신탕(穀神湯)
관중진식환(寬中進食丸)
백출화위환(白朮和胃丸)
보진고(補眞膏)
불환금정기산(不換金正氣散)[2]
승양익위탕(升陽益胃湯)
안위산(安胃散)
운림윤신환(雲林潤身丸)
위령탕(胃苓湯)[2]
이국원(二麴元)
조위산(調衛散)
조중익기탕(調中益氣湯)
창출고(蒼朮膏)
평위산(平胃散)[2]
황백산(黃白散)[2]
후박탕(厚朴湯)[3]
식비(食痺)
계통 구토(嘔吐)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위병((胃病)의 일종. 간기(肝氣)가 비위(脾胃)를 침습하거나 담음(痰飮), 어혈(瘀血)이 위완(胃脘)에 머물러 발생함. 음식을 먹으면 명치 밑이 더부룩하면서 아프고, 토하면 편해짐.
참고 소문맥요정미론(素問脈要精微論)
질병처방 금화환(金花丸)
맥천탕(麥天湯)
백출복령탕(白朮茯苓湯)
복령반하탕(茯苓半夏湯)[3]
수자금화환(水煮金花丸)
식상(食傷)
계통 내상(內傷)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상식(傷食). 식체(食滯), 식상풍(食傷風). 음식으로 비위(脾胃)가 손상된 병증. 불쾌한 정서 상태에서 먹거나 과식하면 비(脾)의 운화기능이 실조(失調)됨. 대개 폭식, 폭음, 또는 불결한 음식이나 날것, 찬것을 먹어서 생김. 실증(實證)과 허증(虛證)으로 나눔. 실증은 초기에 흉완비민(胸脘痞悶), 썩는 냄새 나는 트림, 불식(不食), 오심, 구토, 설사 등이 나타나며 오래되면 숙식(宿食)이 됨. 허증은 음식을 조금만 먹어도 배가 부르고 맛을 모르며, 전신이 노곤하고, 먹고 나면 곧 토하고, 명치 밑이 아프고, 설사함. 외감(外感)을 겸했을 때엔 오한, 발열, 기침, 두통 등 외감 증상을 동반하며 소화가 안되고 답답하며 배가 부르고 토함.
질병처방 가감보화환(加減保和丸)
가미평위산(加味平胃散)
건비환(健脾丸)
건위보화원(健胃保和元)
곡신원(穀神元)
국얼기출환(麴蘖枳朮丸)
귤련기출환(橘連枳朮丸)
귤반기출환(橘半枳朮丸)
기실대황탕(枳實大黃湯)[2]
기출환(枳朮丸)
녹두분(綠豆粉)
대금음자(對金飮子)
두구귤홍산(豆蔲橘紅散)
반하기출환(半夏枳朮丸)
삼출건비탕(蔘朮健脾湯)
생숙탕(生熟湯)[1]
소체환(消滯丸)
양비환(養脾丸)
음양탕(陰陽湯)
응분(鷹糞)
자비환(滋脾丸)
제원산(除源散)
조육평위산(棗肉平胃散)
청피(靑皮)[5]
칠진산(七珍散)[1]
팔진산(八珍散)[1]
향각환(香殼丸)[2]
위완옹(胃脘癰)
계통 옹저(癰疽)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위옹(胃癰). 위완부에 생긴 옹종(癰腫). 음식이 적취(積聚)되거나, 술이나 기름에 지진 음식을 좋아하여 열이 쌓이거나, 칠정(七情)이 오랫동안 막혀 열독(熱毒)이 속에 누적되어 위중(胃中)의 청기(淸氣)가 하함(下陷)하여 생김. 초기에는 위완부가 은근히 아프고 편평하게 불어나며, 한열이 학질 같고, 피부가 거칠어지고, 국소가 점점 딴딴해지며 아픔이 계속되고, 간혹 기침하고, 피고름을 토하며, 소변이 붉고 껄끄러움. 맥이 침(沈)·세(細)하다가 홍(洪)·삭(數)하면 이미 곪은 것임.
질병처방 내소옥설탕(內消沃雪湯)
동원탁리산(東垣托裏散)
사간탕(射干湯)[2]
첨과자(甛瓜子)
위완통(胃脘痛)
계통 흉(胸)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위통(胃痛). 위심통(胃心痛). 심하통(心下痛). 심흉통(心胸痛). 명치 밑이 은은히 아픈 증. 장기간의 음식부절과 기포노권(飢飽勞倦)으로 비위(脾胃)가 허한(虛寒)하거나, 정지(情志)가 울결(鬱結)하거나, 찬 음식을 먹은 뒤에 시원한 바람을 쐬어 한기(寒氣)가 장위에 머물거나, 어혈로도 생김. 비위허랭이면 탄산(呑酸), 애역(呃逆), 희안(喜按), 청수토역(淸水吐逆), 수족랭(手足冷) 등이 따름. 위음부족(胃陰不足)이면 구건순조(口乾脣燥), 오식(惡食), 대변비결(大便秘結) 등이 따름. 간기울결(肝氣鬱結)은 기체(氣滯), 화울(火鬱), 어혈증으로 나뉨. 기체면 위완부가 창만하고, 통증이 옆구리까지 미치며, 트림과 한숨이 남. 화울이면 통증이 급격하고, 가슴이 답답하고, 신물이 올라오고, 입안이 쓰고 마르며, 성질이 조급해짐. 어혈이면 고정된 곳에 자통(刺痛)이 있고, 간혹 구혈(嘔血)과 변혈(便血)이 있음. 한습(寒濕)이 위(胃)에 있으면 몸이 무거워 가라앉고, 얼굴이 누렇게 됨.
질병처방 온위탕(溫胃湯)[2]
청열해울탕(淸熱解鬱湯)
위풍(胃風)
계통 얼굴(面)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풍사가 위에 침습해 생긴 증. 옛날 병명. 음식이 소화되지 않고, 설사하며, 배와 옆구리가 그득하고, 장명(腸鳴)이 나며 아픔. 이 때 습독(濕毒)이 장위에 미치면 콩죽 같은 변을 보고, 간혹 어혈(瘀血)을 밤낮으로 쏟음.
질병처방 승마위풍탕(升麻胃風湯)
조잡(嘈雜)
계통 적취(積聚)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심조(心阻). 가슴이 쓰리고 얼얼한 증. 폐음(肺陰)이 불충분해 간화(肝火)가 장위를 훈증하여 간위불화(肝胃不和)를 일으켰거나, 중초(中焦)에 담음(痰飮)이 있거나, 비기허한(脾氣虛寒)으로 소화가 안되어 일어남. 속이 비어 배가 고픈 것 같기도 하고 아픈 것 같기도 하며 괴롭고 답답한데, 때로 증상이 일어났다가 멎었다가 하고, 음식을 먹으면 그쳤다가 다시 일어남. 담음으로 오면 심하비만(心下痞滿)이 있고, 트림이 나고, 메스껍고, 점차 심하통(心下痛)이 나타남. 비기허한이면 신물이 올라오고, 썩은 냄새가 나는 트림을 하고, 메스껍고, 음식 냄새가 싫고, 심하비만이 있음. 위열(胃熱)로 오면 위 속이 매운 감이 있고, 냄새 나는 신물을 게움. 위한(胃寒)으로 오면 시고 멀건 물이 올라오고, 심하통이 있는데 찬 음식을 먹으면 더하며, 심복비만(心腹痞滿)이 따름. 간위불화면 신물이 올라오고 심번(心煩), 심하비만, 협통, 구고(口苦), 오심 등이 있음.
질병처방 교태환(交泰丸)
당귀보혈탕(當歸補血湯)[4]
반하온폐탕(半夏溫肺湯)[1]
삼성환(三聖丸)[1]
소식청울탕(消食淸鬱湯)
순기화중탕(順氣和中湯)[2]
양혈사물탕(養血四物湯)
연라환(連蘿丸)
자음건비탕(滋陰健脾湯)
청담환(淸痰丸)
출련환(朮連丸)
평간순기보중환(平肝順氣保中丸)
평위분소음(平胃分消飮)
화담청화탕(化痰淸火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