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장염(胃腸炎) / 소화기 계통

 익생양술에서 "위장염(胃腸炎)"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건곽란(乾霍亂)"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관격(關格)"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습열설사(濕熱泄瀉)"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식적복통(食積腹痛)"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열사(熱瀉)"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한설(寒泄)"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위와 장에 생기는 염증이다. 위염과 장염은 독립적으로 일어나기도 하지만, 대개의 경우 동시에 발생하여 하나의 질병 상태를 나타낸다. 식중독, 약물중독, 전염병의 일부, 특히 음식물에 섞여 들어간 대장균·장티푸스균·이질균·콜레라균·인플루엔자균 등은 물론 폭식, 폭음, 불결한 음료수까지도 원인이 될 수 있다.
·급성위장염 : 느닷없이 설사·구토·구역질이 나고 뱃속에서 물소리가 나며 열이 나고 탈수 현상도 있다. 대변에 점액이나 피가 섞이기도 하고 고약한 냄새가 난다.
·만성위장염 : 급성장염이 반복되면 나타나기도 하지만, 만성 소화장애나 문맥울혈(門脈鬱血), 심장·신장 질환 등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복부팽만감·불쾌감이 따르며 설사는 없지만 대변에 점액이 섞여 나온다.
건곽란(乾霍亂)
계통 곽란(霍亂)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교장사(絞腸沙). 교각사(絞脚沙). 곽란의 하나. 위기(胃氣)가 부족한 데에 변질된 음식을 먹거나, 또는 시행역기(時行疫氣) 감수로 예독(穢毒)이 흉복지간(胸腹之間)을 막아서 발생함. 돌연 온 몸이 검보라색이 되고, 뱃속이 쥐어짜듯이 아프고, 토하고 싶어도 토해지지 않고, 설사할 것 같으면서 안 나오고, 답답하며, 번조 불안함. 심하면 얼굴이 창백하고, 사지가 차고, 식은땀이 나고, 맥이 잘 안 잡힘.
참고 외대비요(外台秘要)
질병처방 강염탕(薑鹽湯)
생숙탕(生熟湯)[2]
연녹피(烟鹿皮)
염(鹽)[6]
조각(皂角)[2]
관격(關格)
계통 하(下)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1) 소변을 못 보고 계속 구토하는 병증. 융폐(癃閉)가 더욱 진행된 것. 소변불통이 관(關)이고, 구토가 멎지 않는 것이 격(格)임. 음양의 역위(易位)로 일어남. 양기가 막혀 끊어지고 설태가 희게 끼며 수분이 내려가지 못하여 격(格)이 되고, 열이 단전(丹田)에 있어 소변이 나가지 못하므로 관(關)이 됨. (2) 토하면서 점차 대소변을 못 보는 증. 열격의 위중한 단계임. (3) 대소변불통. 대변불통을 내관(內關), 소변불통을 외격(外格)이라고도 함. 복창만, 수족궐랭(手足厥冷) 등이 따름.
질병처방 구맥(瞿麥)[3]
기축이진탕(枳縮二陳湯)
망초탕(芒硝湯)
염초(焰硝)[1]
욱리인(郁李仁)[3]
습열설사(濕熱泄瀉)
계통 대변(大便)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습열이 장위에 응체(凝滯)해 일어나는 설사. 배가 아픈 뒤에 설사하고, 입안이 마르고, 가슴이 답답하고, 대변은 누렇고 역한 냄새가 나며, 항문에 작열감이 있고, 소변이 황적색이고, 설태는 황니(黃膩)함.
질병처방 창출(蒼朮)[4]
식적복통(食積腹痛)
계통 배(腹)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식적으로 일어난 복통. 음식부절(飮食不節)로 비기(脾氣)가 허해 운화기능이 장애되어 음식물이 위장에 정체해서 발생함. 복부가 딴딴하고 그득하며 몹시 아픈데 누르면 통증이 더해짐. 입맛이 없고, 트림이 나고, 신물이 올라오고, 변비가 생기거나, 또는 심한 통증과 함께 설사가 나는데 설사후 통증이 덜해지며, 권태감이 있고, 설태는 기름때 같고, 맥은 활삭(滑數)함.
참고 수세보원(壽世保元)
질병처방 목향빈랑환(木香檳榔丸)[3]
이기환(利氣丸)
정향비적환(丁香脾積丸)
열사(熱瀉)
계통 대변(大便)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열설(熱泄). 화설(火泄). 화사(火瀉). 열사가 장위에 침범해 생긴 설사. (1) 황적색 변을 보고, 항문에 작통(灼痛)이 있고, 입안이 마르고 번갈(煩渴)이 나며, 소변이 잘 나오지 않음. (2) 맥이 삭(數)·질(疾)하거나 홍대(洪大)하고, 입안이 건조하며, 갑작스럽게 설사함. (3) 몸에 열이 나고, 소변이 껄끄럽고, 구갈(口渴)이 나고, 후중(後重)이 심하고, 배가 아픈 후에 설사하고, 설사후에도 막힌 감을 느낌.
참고 병인맥치(病因脈治)
질병처방 차전초(車前草)[3]
한설(寒泄)
계통 대변(大便)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한사(寒瀉). 목당(鶩溏). 한사(寒邪)를 외감(外感)하여 한기가 장위에 머물러서 생긴 설사. 배가 불어나고, 장명(腸鳴)이 있으며, 찌르는 듯한 통증과 함께 맑은 물을 내림. 음식을 먹으면 구토하거나, 신랭(身冷)이나 구갈(口渴)은 없고, 맥이 침세(沈細)하거나 현지(弦遲)함.
질병처방 부자온중탕(附子溫中湯)
사주산(四柱散)
유황(硫黃)[1]
육주산(六柱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