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생원인과 증상
발작적인 호흡곤란을 일으키는 증세이다. 가정 내의 먼지·진드기·곰팡이·꽃가루 등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이 주원인이지만, 부교감 신경의 긴장이상상태 등에서도 볼 수 있다. 발작이 시작되면 안색이 변할 정도로 기침이 심하다. 발작이 일어나는 정도에 따라 심장성·자극성·위장성·신경성·반사성·증도성 등이 있다.
기상충(氣上衝)
계통 | 상한(傷寒) / 잡병편(雜病篇) |
원인과 증상 | 내려가야 할 기(氣)가 위로 치밀어 오르는 증. 기역상(氣逆上) 참조. 성을 내면 기가 거슬러 올라오고, 심하면 구혈(嘔血)과 손설(飱泄)이 있음. |
참고 | 소문거통론(素問擧痛論) |
질병처방 | 감리근탕(甘李根湯) |
담천(痰喘)
계통 | 해수(咳嗽) / 잡병편(雜病篇) |
원인과 증상 | 담탁(痰濁)이 폐를 막아 생긴 천증(喘證). 호흡이 곤란하고, 천식(喘息)이 심하고, 담명(痰鳴)이 있고, 기침하고, 땀이 나고, 가슴 속이 더부룩하고 답답하며, 끈끈한 가래가 잘 뱉어지지 않음. |
참고 | 단계심법(丹溪心法) |
질병처방 | 가감삼기탕(加減三奇湯) |
거담환(祛痰丸) | |
대나조환(大蘿皂丸) | |
소자도담강기탕(蘇子導痰降氣湯) | |
윤폐고(潤肺膏)[2] | |
이(梨)[7] | |
이모산(二母散)[1] | |
자소반하탕(紫蘇半夏湯) | |
정천화담산(定喘化痰散) | |
정천화담탕(定喘化痰湯) | |
천민도담탕(千緡導痰湯) | |
천민탕(千緡湯) | |
패모산(貝母散)[2] | |
평폐산(平肺散) | |
호도(胡桃)[4] |
효천(哮喘)
계통 | 해수(咳嗽) / 잡병편(雜病篇) |
원인과 증상 | 효증(哮證)과 천증(喘證)이 합해 나타나는 병증. 화(火)가 역상(逆上)해 폐기(肺氣)의 숙강 작용이 장애되고 신원(腎元)이 모손(耗損)되어 신(腎)의 납기(納氣) 작용이 방해 받아 폐로 나와서 폐가 기충(氣衝)이 되어 스스로를 다스리지 못해 일어남. 효와 천은 인과 관계에 있으며, 효는 발작적인 숨가쁨과 목에 가래 끓는 소리가 나는 것이 주증이고, 천은 숨가쁨이 주증으로 호흡이 거칠어 입을 벌리고 어깨를 들먹이며 몸을 흔들고 심하면 배까지 들석임. |
참고 | 단계심법(丹溪心法) |
질병처방 | 계자(鷄子)[6] |
두령환(兜鈴丸) | |
묘두골(猫頭骨)[1] | |
삼백환(三白丸) | |
오호이진탕(五虎二陳湯) | |
입정산(立定散) | |
자금단(紫金丹)[1] | |
자금단(紫金丹)[2] | |
저마근(苧麻根) | |
정천탕(定喘湯)[2] | |
청금환(淸金丸)[3] | |
탈명단(奪命丹)[3] | |
해표이진탕(解表二陳湯) | |
행교음가감방(杏膠飮加減方)[10] | |
행교음가감방(杏膠飮加減方)[11] | |
행교음가감방(杏膠飮加減方)[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