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생원인과 증상
췌장(膵臟 : 이자)에 이상이 생겨 혈액 또는 오줌에 당분이 증가되어 그 당뇨가 오래 계속되는 병이다. 췌장의 베타 세포에서 분비하여 혈당을 조절하고 당질의 세포 내 흡수를 도와주는 인슐린의 생산·분비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부족한 때에 발병하는 대사장애이다. 주로 지방분이 많은 육류를 섭취하는 사람이 많이 걸리며 유전적 원인이나 비만·임신·심신의 과로·간장병·동맥경화·매독 등이 원인이 되어 발병하기도 한다. 초기에는 심한 갈증이 오고 밤중에 5~6회 정도 배뇨를 하게 된다. 밤에 눈을 떴을 때 입 안이 말라 혀가 잘 돌아가지 않고 신체 여러 부위가 가려우며 습진이나 부스럼이 생기는 수도 있다. 오줌의 양이 점점 많아지고 오줌에서 독한 냄새가 나며 거품이 많이 일어난다. 또한 식욕이 왕성해지며 단것을 좋아하고, 남자는 음위증(陰痿症), 여자는 월경 이상이 생기고, 신경통이나 협심증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또는 피부에 가려움증·부스럼이 생기고 조그마한 상처에도 잘 곪게 되며 쉽게 피로하고 전신권태 증상이 나타나며 신경질적으로 변한다. 당뇨병은 환자 자신이 발병 여부를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혈당 농도 검사를 통한 조기 발견만이 최선이다. 단, 혀에 백태(白苔)가 전혀 끼지 않는 경우에는 당뇨병을 의심할 수 있다.
소갈(消渴)
계통 | 소갈(消渴) / 잡병편(雜病篇) |
원인과 증상 | 소갈(消渴), 소단(消癉), 삼소(三消). (1) 물을 많이 마시고 음식을 많이 먹으나 소변이 많아 몸이 여위는 병증. (2) 구갈(口渴)이 계속되는 증상. 기욕부절(嗜欲不節), 희노불신(喜怒不愼), 모신과도(耗神過度) 혹은 병후혈쇠(病後血衰)나 고량진미로 장위(腸胃)가 마르고 기가 펴이지 않아 습열(濕熱)이 넘치고 달궈져 일어남. 초기에는 폐열(肺熱)과 위열(胃熱) 실증(實證)이 주로 나타나며, 오래되면 신허증(腎虛證)이 주로 나타남. 경과 과정에 몸에 옹저(癰疽)가 생기고, 시력장애가 있음. 병태, 병상 및 진행단계에 따라 상소(上消), 중소(中消), 하소(下消)로 구분됨. |
참고 | 소문기병(素問奇病) |
질병처방 | 가미전씨백출산(加味錢氏白朮散) |
갈근(葛根)[7] | |
과루근(瓜蔞根)[2] | |
나미(糯米)[4] | |
난향음자(蘭香飮子) | |
녹두(綠豆)[4] | |
녹용환(鹿茸丸) | |
대황감초음자(大黃甘草飮子) | |
마인(麻仁)[2] | |
매화탕(梅花湯) | |
맥문동(麥門冬)[5] | |
문동음자(門冬飮子) | |
미후도(獼猴桃)[4] | |
방합(蚌蛤)[3] | |
백아(白鵝)[2] | |
삼소환(三消丸) | |
상근백피(桑根白皮) | |
상백피탕(桑白皮湯) | |
생지황고(生地黃膏) | |
생지황음자(生地黃飮子) | |
생진감로탕(生津甘露湯) | |
석고(石膏)[10] | |
속미감(粟米泔)[2] | |
순(蓴)[4] | |
숭채(菘菜)[4] | |
여지고(荔枝膏) | |
오매(烏梅)[10] | |
오미자(五味子)[7] | |
오즙옥천환(五汁玉泉丸) | |
옥천산(玉泉散) | |
옥천환(玉泉丸) | |
우유(牛乳)[7] | |
위생천화원(衛生天花元) | |
이(梨)[6] | |
인동초(忍冬草)[2] | |
자음양영탕(滋陰養榮湯) | |
저두(猪肚)[3] | |
전라(田螺)[5] | |
죽력(竹瀝)[6] | |
죽엽(竹葉)[3] | |
지골피(地骨皮)[3] | |
천화산(天花散)[1] | |
청량미(靑梁米)[2] | |
청신보기탕(淸神補氣湯) | |
청저즙(淸苧汁) | |
현토단(玄菟丹) | |
화혈익기탕(和血益氣湯) | |
활석(滑石)[3] | |
활혈윤조생진음(活血潤燥生津飮) | |
황기(黃芪)[5] | |
황기탕(黃芪湯)[5] | |
황련(黃連)[10] | |
황련저두환(黃連猪肚丸)[1] | |
황백(黃柏)[6] | |
황자계(黃雌鷄)[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