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생원인과 증상
과음 과식, 부패물 섭취, 감염증, 피로 등에 의해 음식물이 충분히 소화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소화가 안 되어 헛배가 부르고 트림이 나고 메스꺼우며 식욕부진·복통·구토·설사 등의 증상이 뒤따른다.
·식상(食傷) : 먹은 음식이 소화가 안 되고 복통과 토사 등의 급성병변을 일으키는 증상.
·손설(飧泄) : 소화력이 약해서 먹는 대로 설사를 하는 병증. 젖을 뗀 후의 유아에게 많이 나타난다.

계통 | 적취(積聚) / 잡병편(雜病篇) |
원인과 증상 | 복강내의 적괴(積塊). 고대의 적병(積病)과 징병(癥病). 징가적취(癥瘕積聚)로 나타남. 음식으로 상하여 비위(脾胃)가 휴손(虧損)되어 흉상(胸上)에 사기(邪氣)가 쌓여 기도(氣道)를 막아 기가 통하지 않고 담(痰)·식(食)·혈(血)이 서로 뭉쳐서 생김. 또는 우사울결(憂思鬱結), 비습기체(脾濕氣滯)로도 생김. 피내막외(皮內膜外)에 있음. 혈적(血積)은 왼쪽에, 식적(食積)은 오른쪽에, 담음(痰飮)은 중간에 있음. 징가와 비슷하나 있었다가 없어졌다가 함. 삼초(三焦)에 관격(關格)이 있어 흉민(胸悶)하고, 호흡이 촉박하고 불안하며, 맑은 물을 구토함. 명치 밑에 생기면 입맛이 없으며, 먹은 것이 잘 안 내려감. 옆구리에 생기면 옆구리가 그득하고 아프며, 성질이 조급함. 식적으로 생기면 먹은 것이 소화되지 않음. |
질병처방 | 가미시평탕(加味柴平湯) |
개회산(開懷散) | |
궤견탕(潰堅湯) | |
궤견환(潰堅丸) | |
보화환(保和丸)[1] | |
소괴환(消塊丸) | |
소적보중환(消積保中丸) | |
시향산(柴香散) | |
연라환(連蘿丸) | |
오선고(五仙膏) | |
첩비고(貼痞膏) | |
형봉전원(荊蓬煎元) | |
화괴환(化塊丸) | |
화벽여신산(化癖如神散) | |
화비단(化痞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