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백리(赤白痢) / 소아(小兒)

 익생양술에서 "이질(痢疾)"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적백리(赤白痢)"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법정 전염병의 한 가지이다. 하리(下痢)·적리(赤痢)·이점(痢漸)·이증(痢症) 등 여러 가지 이름이 있으며, 마른 콧물이나 고름처럼 흐들흐들한 곱이 나오는 것이 창자를 씻어 내는 것과 같다 하여 장벽(腸癖·腸澼)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배가 아프고 속이 켕기면서 뒤가 잦고 당기고 무직하며 곱이나 피고름이 섞인 대변을 자주 누는 병증이다. 항문이 벌어져서 오므라들지 않고 통증과 함께 고열이 나는 증세를 보인다. 주로 부패한 음식물, 소화되기 어려운 음식물, 불결한 음료수, 익지 않은 과일 등을 먹었을 때 생기며, 폭음·폭식 또는 기생충이나 알레르기 등에 의해서도 생기고, 배가 차가울 때 많이 일어난다. 12시간에서 3일 정도의 잠복기를 거쳐 열·설사·복통·혈변 등의 전형적인 이질 증세를 보이거나 설사를 주증세로 보이는 경우도 있다. 동의보감에 따르면 이질은 설사와는 달라서 농이 나오기도 하고 피가 나오기도 한다. 또 통증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도 있다. 공통된 점은 모두가 속이 급하고 뒤가 무겁다는 점이다.
·아메바성이질 : 이질 아메바의 경구(經口) 감염으로 생기는 전염병. 열대·아열대 지방에 많다. 대장 점막에 특유한 궤양이 새기고 점혈변(粘血便)의 설사가 며칠 동안 계속된다. 재발하기 쉽다.
·세균성이질 : 이질균의 경구 감염으로 생기는 급성 전염병. 급작스러운 발열과 복통에 이어 점액·혈액이 섞인 설사를 하는 것이 특징이다.
·바이러스성이질 : 유행성이며 심한 물 설사를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에 의한 이질.
·금구리(噤口痢) : 이질로 말미암아 입맛이 없어져서 음식을 먹지 못하는 병.
·냉리(冷痢) : 한냉습(寒冷濕)으로 혈액 순환의 장애를 일으켜 생긴 이질.
적백리(赤白痢)
계통 소아(小兒)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주하적백(注下赤白). 설주적백(泄注赤白). 피곱똥을 함께 누는 이질. 위장에 습열(濕熱)이 몰려서 기분(氣分)과 혈분(血分)이 상하여 생김. 또는 냉열(冷熱)이 부조(不調)하거나, 상랭(傷冷)으로 생긴 수사(水瀉)가 변하여 생기기도 함. 점액과 농혈, 즉 적백색의 협잡물이 나오며 복만창통(腹滿脹痛), 이급(裏急), 구갈인음(口渴引飮), 소변적삽(小便赤澁) 등이 따름.
질병처방 가감평위산(加減平胃散)
가자피(訶子皮)[3]
가자피산(訶子皮散)
감응원(感應元)
강묵환(薑墨丸)
계자(鷄子)[3]
고장탕(固腸湯)
근화(槿花)
난발(亂髮)
노봉방(露蜂房)[1]
마치현(馬齒莧)[2]
부어회(鮒魚膾)
산석류각(酸石榴殼)
소주차원(小駐車元)
수련환(茱連丸)[1]
애엽(艾葉)[3]
영위산(寧胃散)
와(蛙)[3]
우각새(牛角鰓)[2]
입효산(立效散)[4]
저근백피(樗根白皮)[2]
적소두(赤小豆)[2]
제채(薺菜)
지유(地楡)[3]
진인양장탕(眞人養臟湯)
총백(蔥白)[6]
해백(薤白)[1]
호황토(好黃土)
화중음(和中飮)
황금(黃芩)[3]
황련(黃連)[5]
황련아교원(黃連阿膠元)
황자계(黃雌鷄)[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