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통 | 눈(眼) / 외형편(外形篇) |
원인과 증상 | 흑정이 뿌옇게 흐려지고 시력장애가 따르는 것. 간경(肝經)의 풍열(風熱), 또는 간신음(肝腎陰)의 부족, 외상 등으로 생김. |
질병처방 | 감국(甘菊)[2] |
결명산(決明散) | |
경효산(輕效散) | |
공청(空靑)[2] | |
국정원(菊睛元) | |
국화산(菊花散)[1] | |
대명부광산(大明復光散) | |
도인개장산(道人開障散) | |
마예고(磨翳膏) | |
목적(木賊)[1] | |
발운탕(撥雲湯) | |
발운퇴예환(撥雲退翳丸) | |
발운퇴예환정환(撥雲退瞖還睛丸) | |
백점고(白點膏) | |
보양탕(補陽湯) | |
선화산(蟬花散)[1] | |
선화산(蟬花散)[2] | |
신선퇴운환(神仙退雲丸) | |
연백익음환(連柏益陰丸) | |
웅담(熊膽)[2] | |
인뇨(人尿)[1] | |
점안생육예약(點眼生肉瞖藥) | |
점예고(點瞖膏) | |
정전양간원(正傳羊肝元) | |
제채자(薺菜子) | |
진피(秦皮) | |
진피산(秦皮散) | |
초용담(草龍膽)[2] | |
추예환(墜翳丸) | |
춘설고(春雪膏)[1] | |
퇴운산(退雲散)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