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내염(口內炎) / 이비인후과 계통

 익생양술에서 "구내염(口內炎)"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구미(口糜)"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구설생창(口舌生瘡)"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구창(口瘡)"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백구창(白口瘡)"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아구창(鵝口瘡)"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주마아감(走馬牙疳)"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치감닉(齒疳䘌)"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구내염은 입 안의 점막에 생기는 염증으로서 특히 어린아이들에게 많은 병이다. 구강에 원형 혹은 타원형의 작은 궤양이 생기고 백색의 엷은 위막이 붙어 있으며 심한 통증을 유발하여 음식물의 섭취나 발음을 힘들게 한다. 구강 궤양은 붉은 반점으로 시작되다가 곧 얇은 궤양으로 진행되며 궤양 부위에 심한 통증을 동반하는데 뜨겁거나 매운 음식을 먹을 때 심한 통증이 따르는 등 일상 생활에 큰 불편을 주게 된다. 구강염(口腔炎), 구염이라고도 한다.
(1) 카타르성구내염 : 입 안의 침샘이 붉게 부어올라 통증이 심하고 자주 염증을 일으키며 위장장애·정신쇠약 등의 증세를 함께 보인다. 음식을 마음대로 먹을 수가 없고 입 안에서 악취가 풍기는 것이 특징이며 위장장애와 깊은 관계가 있다.
(2) 구각궤양(口角潰瘍) : 입술 양 끝의 입아귀 언저리가 빨갛게 되고 갈라져서 부스럼이 되는 병이다. 증세가 진행되면서 입아귀가 하얗게 부풀어 헤져서 진물이 나오고 그 통증으로 말을 잘 못할 정도이다. 입을 움직이면 찢어지면서 피가 나오고 열통(熱痛)과 함께 궤양이 생긴다. 구각미란증(口角糜爛症)·구각창·구문창(口門瘡)이라고도 한다.
(3) 아프타성구내염 : 악성염증으로 감기나 홍역이 원인이 되는 수도 있고 위장장애에서 오는 경우도 있다. 입술 안쪽이나 혀·입천장 등의 점막에 노란색의 둥글고 작은 반점이 생겨 수종이 되어 부어오른다. 심한 통증으로 음식도 먹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 병이다. 월경기의 여성에게서 많이 볼 수 있다.(※ 구창(口瘡) 참조)
(4) 궤양성구내염 : 이가 난 뒤의 영양불량이나 병후 쇠약한 어린이에게 생기는 드문 구내염이다. 발열·침 흘리기·구취가 나타나며, 충치로부터 생기기 쉽고 잇몸의 종창·출혈·궤양이 일어난다. 병변이 잇몸에서 시작되어 점차 혀·뺨·점막·목구멍 등으로 퍼진다. 심하면 음식을 먹지 못한다. 구미(口糜)라고도 한다.
(5) 내감창(內疳瘡) : 입 안 윗잇몸에 나는 종기이다. 윗잇몸에 생긴 종기가 뿌리는 가늘고 아래로 처져 점점 커지는 증상이다.
구미(口糜)
계통 구설(口舌)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구파(口破). 어린이의 입안이 헐고 흰 반점이 나타나는 증. 음허화왕(陰虛火旺), 방광의 수화작용장애, 비경(脾經)의 오랜 습열(濕熱)로 열독이 되어 습열이 위구(胃口)를 훈증해 생김. 병후나 허약한 어린이에게 잘 생김. 잇몸에서 시작해서 점차 혀, 목구멍까지 퍼짐. 빨갛게 되어 심하게 짓무르고 궤양이 생겨 피가 나며, 윗면에 황회색의 반점이 생기고, 압통이 뚜렷함. 입안에 냄새가 나고, 침을 흘리며, 음식을 먹지 못함. 심하면 발열, 두통, 번조, 변비 등이 따름.
참고 소문기궐론(素問氣厥論)
질병처방 승마산(升麻散)
시호지골피탕(柴胡地骨皮湯)
옥지음자(玉芝飮子)
이열탕(移熱湯)
구설생창(口舌生瘡)
계통 화(火)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구창(口瘡). 입안과 혀가 허는 것. 심맥(心脈)은 혀 위에 분포되므로 만약 심화(心火)가 위로 타오르면 입에 훈증하여 입과 혀에 부스럼이 생김. 비맥(脾脈)은 혀 밑에 분포하므로 비에 열이 있으면 담(痰)이 생겨 열과 담이 뭉쳐서 발생함. 구강내 점막에 담황색의 콩알 만한 헌데가 생겨 주위가 붉고 표면이 함몰되며 국부가 따갑고 아프며 통증이 반복됨, 식욕이 없고, 음식을 삼킬 수 없음.
질병처방 가미서각소독음(加味犀角消毒飮)
겸금산(兼金散)
벽설(碧雪)
붕사원(硼砂元)
빈랑(檳榔)[4]
빙벽환(氷蘗丸)
상청원(上淸元)[1]
세심산(洗心散)
십미도적산(十味導赤散)
양격산(凉膈散)
용석산(龍石散)
장미근(薔薇根)
전라(田螺)[3]
탁족법(濯足法)
포황(蒲黃)[3]
호박서각고(琥珀犀角膏)
황련(黃連)[7]
회춘양격산(回春凉膈散)
흑삼환(黑參丸)
구창(口瘡)
계통 화(火)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입안이 허는 병증. 상초실열(上焦實熱), 중초허한(中焦虛寒), 하초허열(下焦虛熱)인 경우에 생김. 구강내 점막상에 회백색이나 담황색으로 콩알 만하게 짓무르고, 주위가 붉고 열감이 있으며, 국부가 따갑고 아프며, 반복되면 식욕이 없고 음식을 삼킬 수 없음.
질병처방 가감감로음(加減甘露飮)
고죽엽(苦竹葉)[3]
녹포산(綠袍散)[2]
누고(螻蛄)[2]
담반(膽礬)[1]
밀(蜜)[5]
백반(白礬)[6]
백양수지(白楊樹枝)
부연산(赴宴散)[1]
부연산(赴宴散)[2]
부연산(赴宴散)[3]
부연산(赴宴散)[4]
사황산(瀉黃散)
서과(西瓜)[1]
수유산(茱萸散)
승마(升麻)[2]
오배자(五倍子)[4]
우황산(牛黃散)
유향산(乳香散)[1]
이열탕(移熱湯)
인유즙(人乳汁)[2]
작약탕(芍藥湯)[2]
죽력(竹瀝)[2]
즉어(鯽魚)[6]
홍설통중산(紅雪通中散)
환금산(換金散)
황백(黃柏)[3]
황백산(黃白散)[1]
백구창(白口瘡)
계통 구설(口舌)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색이 희고 붉어지지 않는 구창. 심비(心脾)의 열이 올라와 입에서 훈증되어 생김.
질병처방 몰약산(沒藥散)[1]
청금산(靑金散)
아구창(鵝口瘡)
계통 소아(小兒)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아구(鵝口). 아구감(鵝口疳). 백구창(白口瘡). 설구(雪口). 입병의 하나. 어린이에서 설사, 이질, 감증(疳證), 천해(喘咳) 등을 앓은 뒤에 심(心)·비경(脾經)의 태열(胎熱)이 올라와 생김. 입안 가득히 흰 반점이 여러 개 생겨, 심하면 서로 합해져 입안 전체에 흰막이 덮힌 것 같음. 입과 혀가 몹시 아파 젖을 먹이기 어렵고 몹시 욺. 심하면 전신발열, 번조증이 나타남. 만약 목 안에서 톱 켜는 소리 같은 게 울리고, 눈을 곧추 뜨고, 얼굴이 검푸르고, 젖을 안 먹으면 고치지 못함.
질병처방 보명산(保命散)
일념금산(一捻金散)
주반산(朱礬散)
주마아감(走馬牙疳)
계통 소아(小兒)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주마감(走馬疳). 아감(牙疳) 증상의 변화가 급박해서 붙인 이름. 어린아이의 기가 허한 데에 한사(寒邪)를 받거나, 숙식(宿食)이 정체(停滯)하거나, 달고 맛있는 음식을 좋아해 오래되어 온열(蘊熱)이 올라와 훈증하거나, 벽질적화(癖疾積火)나 두진여독(痘疹餘毒)으로 인하여 생김. 처음에 입에서 냄새가 나고 점차 이가 검어지며, 열이 성하면 잇몸이 짓무르고 뜨거운 피가 나온 후 곪음. 치료를 눚추면 이가 다 빠지고, 얼굴이 번들거리고, 호흡이 가쁘고, 담(痰)이 그렁거리며, 턱뼈가 보이고 죽음. 대개 열사(熱邪)가 상초(上焦)를 바로 막아 그 병세가 빠름.
질병처방 동청산(銅靑散)
요백산(尿白散)
유향환(乳香丸)
입효산(立效散)[10]
치감닉(齒疳䘌)
계통 치아(齒牙)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구치감(口齒疳). 주마아감(走馬牙疳)을 가볍게 오래 앓는 병증. 양명위경(陽明胃經)의 화독(火毒)이나 습열(濕熱)이 치밀어 올라와 생김. 입술이 가렵고 아프며, 이가 검어지고, 잇몸이 벌겋게 붓고 짓무르며, 뺨이 붓고, 혀가 헐고, 입에서 냄새가 심하게 남.
질병처방 혈갈산(血竭散)[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