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痰) / 호흡기 계통

 익생양술에서 "담(痰)"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냉담(冷痰)"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노담(老痰)"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담괴(痰塊)"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담궐(痰厥)"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담벽(痰癖)"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식담(食痰)"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완담(頑痰)"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흉협담벽(胸脇痰癖)"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담은 몸의 분비액이 순환하다가 어느 국소(局所 : 몸의 한 부분)가 삐거나 접질렸을 때 거기에 응결되어 결리고 아픈 증상을 말한다. 분비액이 몸 안의 순환을 원활히 하지 못하고 응결되는 증상이 심해지면 어느 부위뿐만 아니라 몸 전체를 움직이지 못하는 증상까지 초래하며, 그대로 방치하면 전신마비로까지 전개될 수 있다. 동의고전에서는 몸 안의 진액이 일정한 부위에 몰려 걸쭉하고 탁하게 된 것을 담이라 하며, 몸 안의 진액이 여러 가지 원인으로 제대로 순환하지 못하고 일정 부위에 몰려 생긴 병증을 넓은 의미에서 담음(痰飮)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걸쭉하고 탁한 것은 담이고, 묽고 맑은 것은 음이다.
·경담(驚痰) : 몹시 놀랐을 때, 담이 가슴 속에 뭉쳐 가슴이 두근거리고 몹시 아픈 증세. 히스테리의 한 가지로 여자들에게 많다.
·습담(濕痰) : 습기로 인하여 생기는 담. 희고 멀건 가래가 많이 나오고 가슴이 답답하거나 메스껍고 숨이 차며 기침을 한다. 배가 더부룩하고 설사하며 누런 기름때 같은 설태가 끼는 증상이 나타난다.
·식담(食痰) : 음식에 체하거나 나쁜 피가 맺혀 덩어리를 이루며 답답하고 퉁퉁해지는 담병. 음식이 잘 소화되지 않아 가슴이 그득하고 막힌 것 같으며 입에서 냄새가 나고 때로 설사하기도 한다.
·열담(熱痰) : 본래 담이 있는 사람이 섭생을 잘 못하거나 외감병을 잘못 치료하여 열이 속에 몰려서 생기는 병증. 화담(火痰)이라고도 한다. 몸에 열이 심하고 얼굴이 충혈되며 눈이 짓무르고 목이 잠긴다. 가래가 누러면서 걸쭉하고 뱉어도 잘 나오지 않으며 번열증이 나고 가슴이 두근거리며 입이 마르고 대변이 굳다.
·조담(燥痰) : 조사로 폐의 진액이 줄어들어 생긴다. 목구멍과 입 속이 마르고 해소가 나며 숨이 차는 병이다. 울담(鬱痰)이라고도 한다. 가래양은 적고 색은 희며 때로 작은 알갱이 같은 것이 잘 뱉어지지 않는다.
·주담(酒痰) : 술을 많이 마셔 생긴 담증을 말한다. 술은 열과 습을 성하게 하는 성질이 있어 담을 잘 생기게 한다. 술을 마신 이튿날 음식이 당기지 않고 가래가 심하며 신물을 토하는데, 술을 마시면 심해진다.
·풍담(風痰) : 풍증을 일으키는 담 또는 풍증으로 말미암아 생기는 담을 말한다. 담이 간경에 몰려 생긴다. 어지럽고 눈앞이 캄캄해지며 얼굴색이 검푸르고 가슴이 답답하며 옆구리가 그득한 감이 있다. 멀건 가래에 거품이 섞여 나오는 경우가 많다.
·한담(寒痰) : 본래 담이 있는데다 한사를 받거나 한습이 성해서 생기는 담병이다. 냉담(冷淡)이라고도 한다. 팔다리가 차고 마비되어 근육이 군데군데 뭉쳐 쑤시고 아프다. 멀건 흰 가래가 나오고 숨이 차며 기침이 나고 목 안이 가렵다. 때로 오한이 나면서 열이 나고 머리가 아프다. 다리와 무릎에 맥이 없고 나른하며 등과 허리가 뻣뻣하고 아프며 뼈마디가 시리고 저리다.
냉담(冷痰)
계통 담음(痰飮)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한담(寒痰). 담증(痰證)의 하나. 신경(腎經)에 습(濕)이 있어 생긴 담(痰). 얼굴이 검고, 배뇨시 급통이 있으며, 발이 차고 궐역(厥逆)하며, 두려움이 많고, 담이 묽고 흰데 간혹 검은 점이 있으며, 맥이 침(沈)함.
참고 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
질병처방 생강(生薑)[3]
노담(老痰)
계통 담음(痰飮)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1) 울담(鬱痰). 담증(痰證)의 하나. 칠정울결(七情鬱結)로 담이 인후에 오래 머물러 생김. 담이 실낱 같고 매핵(梅核) 같아 뱉어도 나오지 않고 삼켜도 내려가지 않으며, 흉격(胸膈)이 답답하고, 메스꺼우며, 맥은 침체(沈滯)하거나 활(滑)함. (2) 조담(燥痰)이 오래된 것. 화(火)로 인해 담이 심폐(心肺)에 쌓여 오래되면 흉격에 엉겨붙어 끈끈해지며, 목에 붙어서 뱉기 어렵고 삼키기도 곤란함. 겸증(兼證)은 피부초고(皮膚焦枯), 인건(咽乾), 구조(口燥), 해수(咳嗽), 천촉(喘促) 등임.
질병처방 과루인(瓜蔞仁)
반하국(半夏麴)
절제화담환(節齊化痰丸)
담괴(痰塊)
계통 담음(痰飮)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담핵(痰核). 피하(皮下)에 담으로 멍울이 생긴 병. 비(脾)가 허(虛)해서 습담(濕痰)을 운화(運化)하지 못해 생김. 크기와 수가 일정치 않고, 발적(發赤)하며, 열감은 없고, 딴딴하거나 아프지 않으며, 누르면 움직임. 목, 아래턱, 사지, 등에 생기기 쉽고 곪거나 터지지 않음. 상반신에 생긴 것은 풍열(風熱)을, 하반신에 생긴 것은 습열(濕熱)을 겸한 것이 많음.
질병처방 가미소위단(加味小胃丹)
개기소담탕(開氣消痰湯)[1]
죽력달담환(竹瀝達痰丸)
담궐(痰厥)
계통 담음(痰飮)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담이 성해서 일어나는 궐증(痰盛氣厥). 한담(寒痰)이 심포에서 헤매고 수도(隧道)가 통하지 않아서 생김. 목에 가래가 끓고, 담연(痰涎)으로 숨이 거칠고, 사지가 궐랭(厥冷)하고, 혼미(昏迷)하고, 설태는 백니(白膩)하고, 맥은 현활(弦滑)함.
참고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
질병처방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3]
청화화담탕(淸火化痰湯)
학정단(鶴頂丹)
담벽(痰癖)
계통 황달(黃疸)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음벽(飮癖). 수음정체(水飮停滯)가 오래되어 생긴 담(痰)이 옆구리에 몰린 것. 큰 병을 앓은 뒤에 명치 밑이 딴딴하고, 신물이 올라오고, 가슴이 쓰림. 찬 기운을 받으면 더하며, 때때로 옆구리가 아픔.
참고 제병원후론 벽병(諸病源候論癖病)
질병처방 기실(枳實)[1]
자상환(紫霜丸)[1]
치끽니방(治喫泥方)
치황달애끽다엽일방(治黃疸愛喫茶葉一方)
치황달애끽잡물일방(治黃疸愛喫雜物一方)
식담(食痰)
계통 담음(痰飮)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음식이 소화되지 않고 오래되어 생긴 담. 뱃속이 더부룩하고, 입에서 냄새가 나며, 간혹 학리(瘧痢)가 되기도 함.
질병처방 정전가미이진탕(正傳加味二陳湯)
완담(頑痰)
계통 토(吐)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끈끈하고 잘 나오지 않는 담. 살지고 습열(濕熱)이 많은 사람에서 담습(痰濕)이 단단하게 엉기고, 또 담이 오래되어 잘 삭지 않아서 발생함. 예를 들면, 효천(哮喘)이 반복 발작하고 담음(痰飮)이 오래도록 낫지 않는 것은 일반적으로 완담이 흉격(胸膈)에 머물러 있어 언제나 막힌 것을 느끼나 잘 뱉어지지 않음.
질병처방 과체산(瓜蒂散)
흉협담벽(胸脇痰癖)
계통 담음(痰飮)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흉협에 있는 담벽. 중초(中焦)의 양기(陽氣) 부족으로 수음(水飮)이 흩어지지 않고 오래되어 담(痰)으로 바뀌어서 늑골 사이에 흘러 들어가 생김. 옆구리 아래가 벅차오르며 명치 밑에 딴딴한 것이 있고 그득하여 때때로 아픔.
질병처방 선복화(旋覆花)[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