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분증(氣分證) / 부종(浮腫)

 동의보감에서만 "기분증(氣分證)"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기분증(氣分證)
계통 부종(浮腫)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온병(溫病)의 화열(火熱) 단계로 위분증(衛分證)이 발전되거나, 또는 속에 잠복된 열로 병세가 깊어진 것임. 기분(氣分)은 폐(肺), 담(膽), 비(脾), 위(胃), 대장(大腸) 등 장부가 포함되어 범위가 넓음. 오한 없이 발열하고, 땀이 나고, 구갈이 나고, 얼굴이 붉고, 호흡이 거칠고, 숨이 차고, 소변이 황적색이고, 대변이 굳고, 설태가 황니(黃膩)한 것이 특징임. 부녀자에게 많음. 열이 위에 침입하면 고열이 나고, 얼굴과 눈이 붉고, 땀이 많고, 심한 구갈로 물을 당기고, 설태는 황갈색이고, 맥은 홍(洪)·대(大)함. 대장에 침입하면 저녁때 조열(潮熱)이 나고, 아랫배가 그득하고 경통(硬痛)이 있으며, 변비가 되거나 물같은 설사를 하고, 설태는 황갈색으로 후니(厚膩)하고, 혓바늘이 돋고, 맥은 침(沈)·실(實)함. 습열이 기분에 머물면 열이 계속되고, 전신이 노곤하고, 가슴이 답답하고, 심하비만(心下痞滿)하고, 식욕이 부진하고, 설사 또는 변비가 있고, 설태가 황니(黃膩)하고, 맥은 완(緩)함. 병이 오래 감.
질병처방 계출탕(桂朮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