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면(嗜眠) / 비장(脾臟)

 동의보감에서만 "기면(嗜眠)"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기면(嗜眠)
계통 비장(脾臟)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기와(嗜臥). 다매(多寐). 선면(善眠). 다와(多臥). 노곤해 잠을 많이 자거나 계속 조는 병증. 비기(脾氣)가 허하거나, 담(膽)에 열이 있거나, 습(濕)이 성해 생김. 또 평소 몸이 약해 기후 변화에 적응을 못하거나, 폐병으로 양기(陽氣)가 펴지지 않아 생김. 비기가 허하면 명치 밑이 그득하고, 전신이 노곤하며 졸리고, 식사 후 더 심해짐. 담열이 있으면 입안이 쓰고, 정신이 혼미하고, 입맛이 없고, 땀을 흘리고, 추워하고, 손발이 차며, 종일 잠만 잠. 습이 성하면 몸이 무겁고, 명치 밑이 비만하고, 설사하며, 심하면 부종이 생김. 양기가 퍼지지 못하면 가을에 몸이 무겁고, 추위를 타고, 잘 먹지 않고, 여름엔 움직이기 싫어하고고, 앉으면 졺.
질병처방 고채(苦菜)[1]
다(茶)[1]
마두골(馬頭骨)
복익(伏翼)[2]
사삼(沙蔘)[1]
초결명자(草決明子)
통초(通草)[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