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롱·난청(耳聾·難聽) / 이비인후과 계통

 익생양술에서 "이롱·난청(耳聾·難聽)"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구롱(久聾)"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노롱(勞聾)"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농외(聾聵)"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신수부족(腎水不足)"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신허이롱(腎虛耳聾)"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이롱(耳聾)"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졸롱(卒聾)"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졸이롱(卒耳聾)"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풍롱(風聾)"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이롱이란 소리를 듣지 못하는 병증이고, 난청은 청력(聽力)이 저하되어 소리를 잘 듣지 못하는 병증이다. 다만 동의 고전에는 귀가 먹어서 들을 수 없는 것을 이롱무문(耳聾無聞), 소리를 잘 듣지 못하는 난청을 이롱이라고도 하였다. 이롱 및 난청의 원인은 다양하여 귀를 후비거나 사고로 귀를 다친 경우, 고열이나 홍역·성홍열 등의 합병증으로 중이염이 생겨 속귀(內耳)까지 장애가 발생하여 심한 난청이 되는 경우, 태어날 때부터 들리지 않거나 듣기가 어려운 경우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전음성난청(傳音性難聽) : 바깥귀에서 가운뎃귀 사이에 장애가 있는 경우이다. 그 장애가 바깥귀에서 가운뎃귀까지가 고작이어서 증상이 비교적 가볍거나 중간 정도이므로 거의 알아차리지 못하고 방치되는 경우가 많다.
·감음성난청(感音性難聽) : 속귀에서 뇌 사이에 장애가 있는 경우이다. 특히 신경을 써야 하는 것은 날 때부터 귀가 들리지 않거나 듣기 어려운 경우이다.
구롱(久聾)
계통 귀(耳)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오랜 난청. 인체의 정명(精明)한 기의 대부분이 이규(耳竅)를 지나 청각이 생기므로, 이 중에서 한 경락이라도 허실(虛失)이나 실조(失調)가 발생하면 청각장애가 일어남. 귀가 잘 안 들리고 몸이 약하면 정기(精氣)가 부족한 것으로서 허증(虛證)이고, 몸이 건장한데 잘 들리지 않으면 정기가 폐색(閉塞)된 것임. 또 큰소리나 경기(驚氣)를 감촉하여 간담(肝膽)이 응할 때 담맥(膽脈)이 귀를 얽매면 그 풍화(風火)가 진동해 이규를 막음. 또 심신(心腎)이 허하면 간화(肝火)가 항역(亢逆)해 내풍(內風)이 생겨 이규를 덮어서 발생함. 두현목훈(頭眩目暈), 요슬산연(腰膝痠軟), 이명(耳鳴)이 따름.
참고 의방유취(醫方類聚)
질병처방 감수(甘遂)[1]
귀뇨(龜尿)[1]
서담(鼠膽)
여생지(驢生脂)
자석(磁石)[2]
노롱(勞聾)
계통 귀(耳)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이롱(耳聾)의 하나. 기혈부족(氣血不足)으로 생긴 난청. 귀가 잘 안 들리고 울리며, 허리와 무릎이 저리고, 기운이 없고 피로하며, 꿈이 많고, 뺨이 붉고, 손·발바닥에 열감(熱感)을 느낌.
질병처방 보골지환(補骨脂丸)
소신산(燒腎散)
농외(聾聵)
계통 귀(耳)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1) 날 때부터의 귀머거리. (2) 이롱(耳聾).
질병처방 색이단(塞耳丹)
신수부족(腎水不足)
계통 신장(腎臟)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신음부족(腎陰不足). 신음허(腎陰虛). 하원휴손(下元虧損). 신허(腎虛)의 하나. 색욕과도, 노권내상(勞倦內傷), 오랜 병으로 신정(腎精)이 지나치게 소모되어 일어남. 요산피로(腰酸疲勞), 두훈(頭暈), 이명(耳鳴), 유정(遺精), 조루(早漏), 구건인통(口乾咽痛), 양관조홍(兩顴潮紅), 오심번열(五心煩熱), 또는 오후 조열(潮熱) 등이 있음. 혀는 홍색을 띠고 설태는 없으며, 맥은 세(細)·삭(數)함.
질병처방 가감팔미환(加減八味丸)
신허이롱(腎虛耳聾)
계통 허로(虛勞)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신허이명(腎虛耳鳴). 신기(腎氣)가 허해 생긴 난청. 허약자나 노인에게 많음. 파도 소리나 매미 소리 같은 이명이 끊임없이 있으며, 밤에 잠들면 북치는 소리 같음. 수족이 당기고 아프며, 귀 안에서 바람 부는 소리가 나면서 가렵기도 하고, 입안이 마르고 번조(煩燥)하며, 손·발바닥에 열이 나고, 양쪽 척맥(尺脈)이 대(大)하거나, 또는 왼쪽맥이 허(虛)·대(大)함.
질병처방 강갈산(薑蝎散)
구미안신환(九味安腎丸)[2]
익신산(益腎散)
자석(磁石)[1]
이롱(耳聾)
계통 허리(腰)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이폐(耳閉). 농외(聾聵). (1) 난청. (2) 귀머거리. 귀가 잘 안 들리는 것. 허증(虛證)은 귀의 기능장애, 전신 장기계통의 병 때문이거나, 또는 선천적으로 기허(氣虛)·혈허(血虛)하거나, 늙어서 몸이 쇠약하고 정력이 부족해져서 생기며 두훈목현(頭暈目眩), 요슬산연(腰膝酸軟), 무력(無力), 이명(耳鳴)이 따름. 실증(實證)은 풍열(風熱), 풍한(風寒), 간화(肝火) 등으로 생기며 두통, 비색(鼻塞), 구고(口苦), 귓구멍의 폐쇄감, 이명이 따름.
질병처방 감수산(甘遂散)[3]
개자(芥子)[2]
계향산(桂香散)[1]
구미안신환(九味安腎丸)[1]
구인즙(蚯蚓汁)[2]
냉보환(冷補丸)
만형자산(蔓荊子散)
복총탕(復聰湯)
비마자(蓖麻子)[1]
사고(蛇膏)
사향(麝香)[3]
삼선단(三仙丹)
생지황(生地黃)[4]
서각음자(犀角飮子)
시호총이탕(柴胡聰耳湯)
용담탕(龍膽湯)[1]
우슬모과탕(牛膝木瓜湯)
웅묘뇨(雄猫尿)
이어담(鯉魚膽)[2]
자석양신환(磁石羊腎丸)
자음지황탕(滋陰地黃湯)
창포(菖蒲)[2]
통신산(通神散)[2]
투철관법(透鐵關法)
파두(巴豆)[1]
형개연교탕(荊芥連翹湯)[1]
졸롱(卒聾)
계통 귀(耳)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폭롱(暴聾). 졸이롱(卒耳聾). 갑작스런 청력장애나 귀머거리가 되는 것. 신기(腎氣)가 허약한 데에 풍사(風邪)가 경락에 전입해 생김. 갑자기 귀가 안 들리고, 눈도 잘 보이지 않으며, 현기증과 두통이 남.
질병처방 투이통(透耳筒)
졸이롱(卒耳聾)
계통 귀(耳)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갑작스런 난청. 이롱(耳聾)을 볼 것.
질병처방 용뇌고(龍腦膏)[2]
포황고(蒲黃膏)
풍롱(風聾)
계통 귀(耳)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이롱(耳聾)에 풍을 낀 것. 귀의 경맥(經脈)이 허한 틈을 타고 풍사(風邪)가 들어가 경기(經氣)를 막아 일어남. 반드시 때때로 두통이 있고, 귀가 잘 들리지 않으며 귀 안이 가려움.
질병처방 궁귀음(芎歸飮)
궁지산(芎芷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