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폐(喉閉) / 인후(咽喉)

 익생양술에서 "인두염(咽頭炎)"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후폐(喉閉)"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인두(咽頭)는 식도 및 후두(喉頭)에 붙어 있는 깔때기 모양의 근육성 기관으로서, 아래쪽은 식도로 이어지고 위쪽은 후두·구강·비강 및 이관(耳管)으로 이어져 있다. 여기에 생긴 염증을 인두염이라 한다. 인두의 점막이 붓고 헐어 목이 쉬는 병증인데, 연하통(嚥下痛)·발열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후폐(喉閉)
계통 인후(咽喉)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후비(喉痺). 인후가 종통(腫痛)하는 병증의 총칭. 외감(外感)·내상(內傷)으로 모두 생기는데, 외감은 풍열(風熱)이고 내상은 음허(陰虛) 때 늘 나타남. 대개 발병과 진행이 급하지 않음. 가벼운 연하곤란이 있고, 목소리가 낮고 잘 안 나오며, 한열(寒熱) 등 증상이 있음.
질병처방 계내금산(鷄內金散)
구인(蚯蚓)[1]
마발(馬勃)
백반(白礬)[8]
사간(射干)[2]
사태(蛇蛻)[3]
청인이격산(淸咽利膈散)
취후산(吹喉散)[3]
칠보산(七寶散)
해독웅황원(解毒雄黃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