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임증(不妊症) / 부인과 계통

 익생양술에서 "불임증(不妊症)"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무사(無嗣)"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무자(無子)"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신허불임(腎虛不姙)"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포랭무자(胞冷無子)"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부부간에 피임을 하지 않고 정상적인 성생활을 계속하는데도 3년 이상 임신이 되지 않는 증상을 흔히 불임증이라 하는데, 남녀 어느 한쪽에 원인이 있는 경우가 많다. 결혼 후에 한 번도 임신하지 못하는 경우를 원발성불임증, 임신했던 여성이 다시 임신을 하지 못하는 경우를 속발성불임증이라 한다. 또한 수태불능인 경우와, 수태는 되지만 자궁의 기능이 약해 본인도 모르는 사이에 자연유산이 되는 경우가 있다. 불임의 원인은 성기발달미숙, 결핵 등의 세균감염, 내분비계의 이상 등이 있으며, 특히 각종 환경오염에 의하여 발생하는 환경 호르몬이 내분계를 교란하여 호르몬결핍을 초래하는 것도 불임의 원인이 되고 있다.
·여성의 경우 : 성기이상, 자궁후굴 또는 전굴, 난관기형 혹은 폐쇄, 배란장애, 자궁염증, 미성숙자궁 등의 원인으로 자궁에 수정란이 착상하는 데 장애가 있다.
·남성의 경우 : 성기이상, 발기부전, 무정자증, 정자감소증, 비활동성정자증 등의 원인 때문이다.
무사(無嗣)
계통 포(胞)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무자(無子). 자식이 없다는 뜻. 불임증의 뜻으로도 쓰임. 질, 경관(頸管), 자궁강, 난관 등의 기질적·기능적 장애로 임신을 못함. 또 성기발육기형 외에 혈허(血虛), 신허(腎虛), 어혈(瘀血), 습담(濕痰), 간기울체(肝氣鬱滯) 등으로도 장애됨. 부부생활을 하면서 3년이 지나도 임신을 못하면 원발성이며, 임신 경험이 있으나 다시 임신을 못하는 것은 속발성임.
질병처방 구사일방(求嗣一方)[1]
구사일방(求嗣一方)[2]
난궁종사환(煖宮螽斯丸)
묵부환(墨附丸)
선천귀일탕(先天歸一湯)
속사단(續嗣丹)
승금단(勝金丹)[3]
오자연종환(五子衍宗丸)
오적어육(烏賊魚肉)
옥약계영환(玉鑰啓榮丸)
온신환(溫腎丸)
이향사신산(異香四神散)
제음단(濟陰丹)
조경종옥탕(調經種玉湯)
종사환(螽斯丸)
무자(無子)
계통 전음(前陰)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생육불능. 불임(不姙). 무사(無嗣). 남자의 정소(精少), 정한(精寒), 정박(精薄), 정열(精熱), 양위(陽萎), 활정(滑精) 등으로 발생함. 원발성 불임과 속발성 불임으로 나눔. 신체가 비만하거나, 담연이 많거나, 혈소(血少)면 얼굴빛이 누렇게 됨. 심간기울(心肝氣鬱)이면 우울하고, 가슴이 답답하고 번거로우며, 잠을 잘 못 자고, 심하면 양위(陽萎)가 됨.
질병처방 가미양영환(加味養榮丸)
가미익모환(加味益母丸)
백자부귀환(百子附歸丸)
사향환(麝香丸)
조경양혈원(調經養血元)
신허불임(腎虛不姙)
계통 부인(婦人)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신허로 생긴 불임증. 선천적으로 허약하고 신기(腎氣)가 부족하거나 오랜 병, 성교, 신기손상 등으로 신정(腎精)이 휴손(虧損)되고 혈이 부족하여 충임맥(衝任脈)·포맥(胞脈)에 영양이 안가서 배태가 안됨. 보통 신경피로, 월경불순, 두훈(頭暈), 요통, 이명(耳鳴), 하지무력 등이 나타남. 신양부족(腎陽不足)이 심하면 추위를 타고, 손발이 차고, 소복냉감이 심함. 신음부족(腎陰不足)이 심하면 양관조홍(兩?潮紅), 도한(盜汗) 등이 따름.
질병처방 고본건양단(固本健陽丹)
포랭무자(胞冷無子)
계통 포(胞)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포한불잉(胞寒不孕). 궁랭불잉(宮冷不孕). 불임증의 하나. 포랭불잉(胞冷不孕) 참조.
질병처방 호박조경환(琥珀調經丸)[1]
호박조경환(琥珀調經丸)[2]